[[분류:부산진구의 고등학교]][[분류:부산광역시의 남자고등학교]][[분류:1953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고등학교)] ||<-2> '''{{{#white {{{+1 부산동고등학교}}}[br]Busan DONG High School[br]釜山東高等學校}}}''' || ||<-2> || ||<-2>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동고등학교, 너비=100%)] || || {{{#black '''개교'''}}} || 1953년 4월 20일 || || {{{#black '''분류'''}}} || 일반계 고등학교 || || {{{#black '''성별'''}}} || 남자 || || {{{#black '''설립구분'''}}} || 사립 || || {{{#black '''설립유형'''}}} || 단설 || || {{{#black '''학교법인'''}}} || 구암학원 || || {{{#black '''교장'''}}} || 노태윤 || || {{{#black '''교감'''}}} || 정성민 || || {{{#black '''교훈'''}}} || 진실 • 노력 • 창조 || || {{{#black '''교화'''}}} || 배롱꽃 || || {{{#black '''교목'''}}} || 은행나무 || || {{{#black '''학생 수'''}}} || 324명[br](2023년 3월 기준) || || {{{#black '''교직원 수'''}}} || 50명[br](2023년 3월 기준) || || {{{#black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 {{{#black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부산)|동성로]]30번길 36([[전포동]]) || || {{{#black '''3학년 재학생'''}}} || {{{#373a3c 68기}}} || || {{{#black '''2학년 재학생'''}}} || {{{#373a3c 69기}}} || || {{{#black '''1학년 재학생'''}}} || {{{#373a3c 70기}}} || || {{{#black '''홈페이지'''}}} || [[http://donggo.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black '''총동창회'''}}} || [[http://www.busandonggo.com/home/busandonggo/index.ph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black '''학교알리미'''}}} ||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f01_l0.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로 학교법인 구암학원 소속. 같은 재단 학교인 [[부산동중학교]]와 [[운동장]]과 별관 건물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 부산의 번화가 [[서면]]에 위치하고 있다. == 학교 연혁 == || '''날짜''' || '''내용''' || ||[[1953년]] [[4월 20일]]||평화중학교 개교, 초대 이상순 이사장 취임|| ||[[1954년]] [[4월 20일]]||평화고등학교 개교, 초대 안용준 교장 취임|| ||[[1954년]] [[7월 27일]]||학교법인 평화학원 설립인가|| ||[[1956년]] [[1월 28일]]||평화중·고등학교 설립인가|| ||[[1957년]] [[2월 26일]]||제1회 졸업식|| ||[[1970년]] [[12월 23일]]||평화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 ||[[1973년]] [[10월 27일]]||부산동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 총 30학급 인가|| ||[[1974년]] [[9월 19일]]||실내체육관 신축|| ||[[1984년]] [[7월 6일]]||학교법인의 명칭을 구암학원으로 변경|| ||[[2002년]] [[10월 15일]]||본관 건물 5층 증축|| ||[[2013년]] [[3월 1일]]||인조 잔디 운동장 조성|| ||[[2015년]] [[6월 9일]]||제3대 최순자 이사장 취임|| ||[[2018년]] [[2월 13일]]||제62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0,115명)|| ||[[2018년]] [[3월 1일]]||제16대 이영묵 교장 취임|| ||[[2021년]] [[12월 31일]]||제66회 졸업식(졸업생 총수 20,794명)|| ||[[2022년]] [[9월 1일]]||제18대 노태윤 교장 취임|| == 교훈 및 상징 == === 교훈 === >'''진실 / 노력 / 창조''' === 학교 상징 === || '''교목''' || '''교화''' || ||[[파일:attachment/c0026408_4b7e0fe4327b0.jpg|width=300]]||[[파일:external/cfs9.tistory.com/48a3cf1ce2f9c?.jpg|width=300]]|| || [[은행나무|{{{#000000,#e5e5e5 은행나무}}}]] || [[배롱나무|{{{#000000,#e5e5e5 배롱꽃}}}]] || ==== [[교가]] ==== 황령산 정기 속에 드높이 솟은 젊은 꿈이 모여 이룬 배움의 전당 진실 노력 창조 가슴에 안고 내일의 새 역사를 갈고 닦으리 보아라 여기는 학문의 요람 그이름도 빛나리 부산동고교 그이름도 영원하리 부산 동고교 ==== [[응원가]] ==== 부산동고등학교는 다른 학교보다 응원가에 대한 자부심이 높다. '''< 응원가 1 - 부라보 동고>''' 선대 교장이었던 김봉환 선생이 작사하였다. 야 어이 야 어이 부라보 동고 야 어이 야 어이 부라보 동고 산천을 주름잡는 지상의 왕자 우리는 피끓는 젊은 사자들 내일의 조국은 우리들의 것 적진을 향해 돌진할땐 노도 같지만 이쁜처녀 앞에서는 수줍은 총각 야 어이 야 어이 부라보 동고 야 어이 야 어이 부라보 동고 산천을 주름잡는 지상의 왕자 얼마 전 부산갈매기를 개사한 새로운 응원가가 추가되었다. 하지만 무슨 일인지 2021년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 응원가 2 - 부산갈매기 개사버전 >''' 1절 지금은 그 어디서 내 생각 잊었는가 꽃처럼 어여쁜 그 이름도 고왔던 동고 동고야 파도치는 부둣가에 지나간일들이 가슴에 남았는데 부산동고교 부산동고교 너는 정녕 나를 잊었나 빠빠빠 빠빠빠 빠빠빠 빠빠빠 2절 지금은 그 어디서 내 모습 잊었는가 꽃처럼 어여쁜 그이름도 고왔던 동고 동고야 그리움이 물결치며 오늘도 못잊어 네 이름 부르는데 부산동고교 부산동고교 너는 벌써 나를 잊었나 부산동고교 부산동고교 너는 벌써 나를잊었나 부산갈매기 라는 노래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학교 특징 == 총동창회의 규모가 웅장하게 큰 편이며 졸업생들이 지원 역시 많이 해준다. 월목 야자 시작 전 6시 20분 부터 6시 30분까지 방송부 학생들이 진행하는 사연 라디오 `스피커디오`가 있었다. 즐거운(?) 야자를 앞두고 학생들에게 위안이 되는 시간이다. 원한다면 자기가 직접 라디오에 게스트 참여하듯 참여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 부분은 과거의 이야기이고 현재는 야자 시간이 7시 이후로 변경되었을 뿐더러 거의 시행하지 않고 있다. == 학교 시설 == 본관, 체육관, 별관이 있고 옆에 [[부산동중학교]]가 있다. 본관은 1970년대 초~중반 무렵[* 서류상으로는 1985년 완공이지만 1970년대 중반 졸업앨범 사진에도 해당 건물이 있는걸로 봐서 고교 평준화 실시를 전후하여 완공된 것으로 추정. 완공 당초인 1970년대 중반에는 4층이었으며 2000년대 초반 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지어진 1층~4층과 그리고 2002년에 증축된 5층이 있다. [* 그 이전에 쓰이던 舊 본관은 덕명여자중학교 방면에 있었던 개교 당초에 지어진 박공 지붕 형태의 오래된 건물이었으나 1970년대에 철거되었다.] 규모는 별로 크지 않고 한 층에 보통 12개 정도의 교실이 있다. 최근 별관이 내부공사를 끝냄에 따라 별관 구조가 바뀌었다. 원래 별관 3층에 정독실과 음악실이 있었지만 다목적실 공사 계획에 따라 음악실은 본관 5층으로, 정독실은 본관 3층으로 이동하게 되고(현재는 다시 2층으로 이동하였다.), 별관 3층은 '구암관'이라는 이름의 다목적실이 들어섰다.(학교 졸업생 국회의원 중 한 분이 예산을 주어 진행하였다.) 2019년 5월 방송실 리모델링 공사로 거의 모든 방송 장비들이 교체되었으며 스튜디오와 조정실 에어컨과 카메라2대 생겼다. 새 장비 도입으로 인해 FHD 화질로 방송을 송출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 일반 7번이었던 채널이 4-1, 6-1, 8-1번으로 바뀌었다. 2019년 7월 현재 체육관 리모델링 공사 완료. 2021년 전교에 와이파이 공유기가 설치. 2023년 스마트기기 지원사업으로 전교생에게 크롬북이 지급되었다. ||<-2> '''본관''' || || '''1층''' ||교장실, 행정실, 회의실, 보건실, 부원박물관, 동맥꿈터, 홈베이스, 학부모 회의실, 3학년실, 3학년 5반 ~ 3학년 8반 교실|| || '''2층''' ||교무실, 방송실, Wee클래스, 진로상담센터, 공강학습실(정독실), 교직원 화장실, 3학년 1반 ~ 3학년 4반 교실|| || '''3층''' ||수학교과실1, 영어전용실[* 일명 '진실의 창'이 존재한다.], 미술실, 국어교과교실, 사회교과교실, 2학년실, 2학년 교실|| || '''4층''' ||수학전용실, 수학교과실2[* 구 논술지도실], 컴퓨터실, 무한상상실, 1학년실, 1학년 교실|| || '''5층''' ||도서관, 과학1실~4실(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음악실|| ||<-2> '''별관''' || || '''1층''' ||매점, 조리실, 교직원 식당, 3학년 식당, 체육교사 휴게실|| || '''2층''' ||1·2학년 식당, 중학교 음악실, 중학교 과학실|| || '''3층''' ||다목적 강당(구암관)||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행사 명칭''' || '''개최 시기''' || '''행사 내용''' || || '''동맥체육한마당'''[* 2021년도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실내 반대항 미니게임 대회로 대체함. ] || 5월 중순 개최 ||다른 학교와 마찬가지로 연례적으로 이루어지는 체육대회다.|| || '''동맥제'''[* 2020년도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e스포츠 대회로, 2021년도에는 실내 반대항 미니게임 대회로 대체함.] || 12월 기말고사 연후 개최 ||말 그대로 학예제라고 보면 된다|| === 계열 === ==== 이과 ==== 남자 고등학교답게 자연계열 몰림 현상이 매우 심하다. 2016년도 입학생들은 지구과학Ⅰ을 1, 2학년 두 해에 걸쳐 의무적으로 수강했었다. 과학Ⅰ과목군과 과학Ⅱ과목을 모두 가르친다. 최근에는 고교학점제 시범학교로 선정되어 과목 선택이 가능해졌고, 과학중점 학생들은 필수적으로 I 과목 전체, II 과목+실험, 고급 과목 중 3개를 수강하게 된다. 또한 몇몇 I과목의 경우에는 1학기때 무학년제로, 2학년과 3학년이 같이 내신산출이 되는 시험을 치게 된다. ==== 문과 ==== 부산동고등학교의 문과는 소수 정예를 표방한다. === 운동부 === 배드민턴부가 있다. == 출신 인물 == || '''이름''' || '''소개''' || || [[강인순|{{{#000000,#e5e5e5 강인순}}}]] ||전 [[육군|{{{#000000,#e5e5e5 육군}}}]] [[소장(계급)|{{{#000000,#e5e5e5 소장}}}]], 전 [[제20기계화보병사단|{{{#000000,#e5e5e5 제20기계화보병사단}}}]]장|| || [[김기현|{{{#000000,#e5e5e5 김기현}}}]] ||현 국민의힘 당대표, 울산 남구 을^^4선^^ 국회의원 전 [[울산광역시장|{{{#000000,#e5e5e5 울산광역시장}}}]]|| || [[김도읍|{{{#000000,#e5e5e5 김도읍}}}]] ||현 미래통합당 소속 [[국회의원|{{{#000000,#e5e5e5 국회의원}}}]]. 부산 북·강서 을^^3선^^|| || [[김영춘|{{{#000000,#e5e5e5 김영춘}}}]] || 현 [[국회사무총장|{{{#000000,#e5e5e5 국회사무총장}}}]], 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 국회사무총장은 취임과 동시에 당적 박탈] 소속 전 국회의원^^3선^^, 전 [[해양수산부장관|{{{#000000,#e5e5e5 해양수산부장관}}}]] || || [[김문수(배드민턴)|{{{#000000,#e5e5e5 김문수}}}]] ||전 배드민턴선수, 바르셀로나 올림픽 메달리스트|| || [[박수영(정치인)|{{{#000000,#e5e5e5 박수영}}}]] ||현 국회의원, 전 경기도 행정부지사|| || [[박중묵|{{{#000000,#e5e5e5 박중묵}}}]] ||현 부산시의회의원|| || [[배창한|{{{#000000,#e5e5e5 배창한}}}]] ||전 김해시의회의원|| || [[박태상|{{{#000000,#e5e5e5 박태상}}}]] ||배드민턴코치, 전 배드민턴선수|| || [[손식|{{{#000000,#e5e5e5 손식}}}]] ||현 [[육군|{{{#000000,#e5e5e5 육군}}}]] [[대장|{{{#000000,#e5e5e5 대장}}}]], 현 [[지상작전사령관|{{{#000000,#e5e5e5 지상작전사령관}}}]]|| || [[송호창|{{{#000000,#e5e5e5 송호창}}}]] ||변호사, 전 국회의원^^1선^^|| || [[석동현|{{{#000000,#e5e5e5 석동현}}}]] ||변호사, 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윤형모|{{{#000000,#e5e5e5 윤형모}}}]] ||자유한국당 인천 남동구 갑 당협위원장|| || [[이명원(1963)|{{{#000000,#e5e5e5 이명원}}}]] ||전 해운대구의회의원|| || [[이병진(공무원)|{{{#000000,#e5e5e5 이병진}}}]] ||부산광역시 행정부시장, 부산광역시장 권한대행, 부산교통공사 사장|| || [[이상우(가수)|{{{#000000,#e5e5e5 이상우}}}]] ||가수|| || [[이상호(정치인)|{{{#000000,#e5e5e5 이상호}}}]] ||정치인|| || [[이재화(1963)|{{{#000000,#e5e5e5 이재화}}}]] ||법조인|| || [[임태현|{{{#000000,#e5e5e5 임태현}}}]] ||프로야구 전 [[NC 다이노스|{{{#000000,#e5e5e5 NC 다이노스}}}]] 응원단장|| || [[조형근|{{{#000000,#e5e5e5 조형근}}}]] ||프로게이머 || || [[장항석|{{{#000000,#e5e5e5 장항석}}}]] ||의사, [[연세대학교|{{{#000000,#e5e5e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황상민|{{{#000000,#e5e5e5 황상민}}}]] ||심리학자, 전 [[연세대학교|{{{#000000,#e5e5e5 연세대학교}}}]] 교수|| || [[정병두|{{{#000000,#e5e5e5 정병두}}}]] ||전 춘천지방검찰 검사장, 인천지방검찰 검사장. 현 변호사.||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노선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부산진여자중학교(05260) || [[부산 버스 54|54]], [[부산 버스 85|85]], [[부산 버스 160|160]] || || 부산진여자중학교(마을버스) || [[부산 버스 남구10|남구10]], [[부산 버스 부산진12|부산진구12]] || || 동성고교(05263) || [[부산 버스 54|54]], [[부산 버스 85|85]] [[부산 버스 160|160]] || || 전포삼거리(05273, 05274) || [[부산 버스 82|82]] || === [[도시철도]]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전포역]] === 사건 및 사고 === 언론에 등재된 사건사고만 서술합니다. * 2015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 당시 1학년 수학시험 유출 의혹으로 곤혹을 치렀다. [[http://news1.kr/articles/?2471309|#]] 이후 해당 교사는 담임 및 해당 학년 수업에서 전면 배제되었다. 이후 교육청의 시험문제 유출 자제 진상조사 및 경찰조사 이후 무죄로 판정되었다. == 기타 == * 학교에 [[비타500]] 이벤트를 통해 [[원더걸스]]와 [[수지(1994)|수지]]가 왔다갔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