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8년 개교]][[분류:부산진구의 중학교]][[분류:국제중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국내 유네스코 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제중학교)] [include(틀: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중학교)] [[파일:external/www.mybop.co.kr/1027_2153_345.jpg|width=1000]] ||<-2> {{{#white {{{+1 '''부산국제중학교'''}}}[br]'''釜山國際中學校'''[br]'''B'''usan '''I'''nternational '''M'''iddle '''S'''chool}}} || ||<-2> [[파일:external/gukje.ms.kr/logo.png|width=200]] || ||<-2>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국제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98년]] || || {{{#white '''유형'''}}} || [[특성화중학교]] [[국제중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남녀 성비가 불균형하다. --남자 1명에 여자 2명 정도. 보통 한 학년에 63~ 64명 뽑는데 20~25명 정도가 남자다-- 2018년부터는 남녀 1대 1 비율로 뽑았다고 한다] || || {{{#white '''형태'''}}} || [[공립]] || || {{{#white '''교장'''}}} || 장한구 || || {{{#white '''교감'''}}} || 이원주 || || {{{#white '''교훈'''}}} || [[자주]], 협동, 창의 || || {{{#white '''교화'''}}} || [[동백꽃]] || || {{{#white '''교목'''}}} || [[소나무]] || || {{{#white '''학생 수'''}}} || 178명[br][*기준 2023년 3월] || || {{{#white '''교직원 수'''}}} || 21명[br][*기준] || || {{{#white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 남부교육지원청 || || {{{#white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관문로]] 105-70[br]([[당감동]]) || || {{{#white '''홈페이지'''}}} || [[http://gukje.m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Eyes towards the world, Hearts full of dreams!''' 1998년 개교한 부산광역시 소재 전국 유일 [[공립]] [[국제중학교]]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중학교]]이자 최초의 [[특성화중학교]] 이며, 체육중학교를 제외하고는 1969년 [[대한민국]] 중학교 평준화 정책 이후에 처음으로 등장한 비평준화 중학교이기도 하다.[* 하지만 개교 당초에 오래간만에 재등장한 비평준화 중학교 논란 때문인지는 몰라도, 실제 특성화중학교 인가는 1999년 11월 17일로 미뤄진듯...] 그리고 현재 대한민국 유일의 공립 국제중학교이다. 설립 추진 초기에는 [[특성화중학교]]라는 개념이 없다보니 대한민국 초중등교육법상 체육중학교를 제외한 비평준화 중학교는 절대로 인정되지 않아서, 각종학교인 가칭 [[http://www.law.go.kr/flDownload.do?flSeq=3731092|부산국제고등학교병설국제학교]]로 설립이 추진되었으나 개교 직전인 1997년에 [[특성화중학교]] 정책이 발표되어 1998년 부터 시행되면서, [[특성화중학교]]로서 정식 중학교 인가를 받아서 개교하였다. == 역사 == || '''{{{#fff 부산국제중학교 역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1900년대 || 96년 || 12월가칭부산국제중·고등학교설립계획발표 || || 97년 || 11월부산국제중학교신입생선발(특별24,반36계60명) || || 98년 || 03월초대허경덕교장부임 || || 98년 || 03월개교및제1회입학식 || || 99년 || 02월부산국제중학교로교명변경 || || 99년 || 11월2000학년도신입생선발(특별20,반40계60명) || || 99년 || 11월특성화중학교로지정 || ||<|37> 2000년대 ||00년|| 09월제2대신철안교장부임 || || 01년 || 02월제1회졸업식(56명) || ||01년|| 09월제3대정현경교장부임 || ||02년|| 03월2003.02.시교육청지정국제이해교육시범학교운영 || ||03년|| 03월2004.02.시교육청지정국제이해교육시범학교운영 || ||04년|| 03월2005.02.시교육청지정과학싹잔치중심학교운영 || ||05년|| 03월2006.02.시교육청지정국제이해교육연구학교운영 || ||05년|| 09월제4대류안근교장부임 || ||06년|| 03월외국인유학생본교입학 || ||06년|| 09월학교상징탑(알바트로스)제막 || ||07년|| 03월2008. 02. 28 방과후학교 교육부 시범학교 지정 및 운영 || ||07년|| 05월캐나다 욕리젼교육청과의 교육협약체결 || ||08년|| 09월제5대 목종옥 교장 부임 || ||09년|| 02월제9회 졸업식(졸업생 62명, 누계 531명) || ||09년|| 03월제12회 입학식(61명) || ||10년|| 02월제10회 졸업식(졸업생 62명, 누계 593명) || ||10년|| 03월제13회 입학식(61명) || ||11년|| 02월제11회 졸업식(졸업생 62명, 누계 655명) || ||11년|| 03월제14회 입학식(62명) || ||12년|| 02월제12회 졸업식(졸업생 57명, 누계711명) || ||12년|| 03월제15회 입학식(66명) || ||12년|| 09월제6대 박인순 교장 부임 || ||13년|| 02월제13회 졸업식(졸업생 61명, 누계772명) || ||13년|| 03월제 16회 입학식(66명) || ||14년|| 02월제14회 졸업식(졸업생55명, 누계827명) || ||14년|| 03월제17회 입학식(64명) || ||15년|| 02월제15회 졸업식(졸업생 65명, 누계892명) || ||15년|| 03월제18회 입학식(65명) || ||16년|| 02월제16회 졸업식(졸업생 65명, 누계 957명) || ||16년|| 03월제7대 허윤욱 교장 부임 || ||16년|| 03월제19회 입학식(63명) || ||17년|| 02월제17회 졸업식(졸업생 6?명, 누계 98?명) || ||17년|| 03월제20회 입학식(64명) || ||18년|| 02월제18회 졸업식(졸업생 23명, 누계 10??명) || ||18년|| 03월제21회 입학식(66명) || ||18년|| 09월제8대 정경순 교장 부임 || ||23년|| 03월IB교육과정 기반 수업 및 평가 혁신 방안 연구학교 지정 || }}} || == 상징 == [[파일:external/gukje.ms.kr/ed9cda8c-3c34-4c6d-bdc1-00b9ced4b270-8994.jpg]] == 학교 특징 == === 기숙사 === 전원 기숙은 아니며, 희망자 중 원거리 거주자순으로 기숙사생을 정한다. 다만, 국제고등학교와 기숙사를 공유하는 형태이기에 공급량이 그렇게 많지는 않다. 만약 기숙사에 입사하게 된다면 여자에 한해 여자 기숙사인 소담관에서 국제고 중국인 유학생과 같이 1층을 쓰게 된다. 2인 1실을 원칙으로 하며, 각 방마다 개인 책상과 옷장 그리고 침대가 있다. 여름철이면 벌레가 튀어나온다. [* 주로 [[돈벌레]]. 간혹 큰 [[바퀴벌레]]나 [[지네]]가 나오기도 한다.] 기숙사 중간에 화장실과 세탁기가 있으며, 여기서 빨래를 해도 된다. 잘 안쓰긴 하지만 운동실도 있다. [* 런닝머신 뛰면 고3들에게 맴매 맞는다 카더라(고3들은 매일쓴다....). 소리가 크긴 하다.] == 복장 == [[파일:RkYnQJ2.png|width=300]] 다만 개교 초기에는 지극히 평범한 [[테일러드 재킷|블레이저]] 형태의 교복이었지만 2002년 제5기 신입생이 입학할 때[* 이 덕분에 당시 신입생은 학교에서 선배 구별이 매우 쉬웠다.(교복이 자신과 다른 학생 = 선배)] 지금의 [[가쿠란]]과 [[세일러복]] 형태의 교복으로 변경되었는데, 1990년대 이후에 한국의 중고등학교 중에서 남학생 교복이 블레이저 형태에서 가쿠란으로 회귀한 사례는 일부 존재하지만, 여학생 교복이 블레이저 형태에서 세일러복 형태로 회귀한 사례는 부산국제중고등학교가 유일한 것으로 보인다. 2017년부터 여학생의 바지교복 착용이 가능해졌다.[* 화장실 공사로 인해 학교 복도가 완전히 뚫려 있는 상황이었으므로... 당시 생활지도부장 선생님과 학생들의 치열한 접전 끝에 허가되었다. ~~전설의 스타킹 3개 신어~~] 교복착용에 대한 규정이 매우 까다로운 편이다. 여학생 치마 길이가 무릎 오금선을 넘어야 한다. 성장으로 인해 치마가 짧아진다면 새로 사입어야 했다. 2018년을 기점으로 어느정도 완화되었다. 참고로 교복은 [[부산국제고등학교]]와 공용으로 사용한다.[* 그렇지만 국제고등학교 학생이 교복을 입고 있는 모습은 드물다. 국제고는 복장자유이기 때문....] *체육복 : 기존에는 학생 수가 적은 관계로 외부 브랜드([[Kappa]], [[Adidas]] 등 다양했음)에서 단체 주문하여 자수를 박아 주문제작 했지만 2015년 18기부터 학교 자체 체육복으로 바뀌었다. [* 첫 시도인지라 실험정신 투철하게 엄청난 명시성의 ~~형광~~ 연두색과 곤색 조합이 채택되었는데.. 교사들도 구린걸 아는지 18기 이후로 그 체육복을 착용한 기수는 없다 카더라.. 18기 ~~23명~~ 졸업과 동시에 형광 체육복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고 하지만 그럴리가 없지. 현 24기가 착용하고 있다. ~~당연히 24기생들의 불만이 가득하다.~~] 참고로 2016년 입학한 19기는 곤색 바탕에 민트색과 흰색 조합의 상의와 삼선 하의 ~~고인물들의 구술사 듣지 말고 나무위키를 탐독하는 애교심 넘치는 21, 22, 23기 친구들이 있다면 체육복이 궁금할 미래의 국제인들을 위해 지금의 체육복 구성을 써보자.~~ 24기는 ~~형광~~ 연두색. 25기는 청록색. 26기는 노란색. 이 3가지를 돌려가며 사용한다. 체육시간 2교시 전후로 착용 가능했으나[* 전후 두 번의 '''쉬는시간'''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사태로 인하여 탈의실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자 체육복을 착용하 등교가 가능해졌다. *생활복: 교내에서는 여타 중학교와 다르게 동복 생활복 자켓 [[야구잠바]]가 있기 때문에 사복 외투 착용에 대한 제재가 엄격한 편이다. *동복 생활복: 학교에서 단체 주문하는 동복 생활복은 진감색+회색의 야구잠바처럼 생겼으며 기수별로 자수의 색이 다르다. 파란색, 초록색을 돌아가며 썼다. 처음 생활복 수혜를 입은 15기가 초록색, 16기가 빨간색, 17기가 파란색 자수였다.그리고 18기는 초록색, 19기부터는 21기까지 파랑색, 23기와 24기는 황금색이다. 25기부터 다시 파란색으로 바뀌었다가 26기에는 또또 황금색으로 바뀌었다. *하복 생활복: 상/하의가 있는데, 모두 교내에서는 물론 등하교 시에도 착용이 가능하다. 상의는 흰 폴라반팔티에 팔 끝부분과 목 칼라에 체크무늬가 있다. 목 칼라가 상당히 따가워 민감한 학생들은 체육 시간에 생활복을 입지 않는다. 국제고 생활복과 똑같은 색으로 변경되었다. [* 기존 생활복도 착용 가능]. 매년 4월 신청을 받는다고 한다. 바지는 일자형의 5부 반바지이며, 진감색에 하늘색으로 학교 로고 자수가 박혀있다. 22기부터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가 25기에 사복 관련 규정이 바뀌며 다시 등장했다. 이로 인해 현재 교칙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 학교 시설 == '''교육시설''' || 국제이해실 || 과학실_1,2) || 영어전용실(E.O.Z) || 스마트실 || || 진로진학상담실 || Wee Class || 알바트로스실 || 꿈모리실 || || 수학교과실(1,2) || 영어교과실(1,2) || 모둠학습실 || || '''특수시설''' || 자치회의실 || 자기주도학습실 || 대강당 || 테니스장 || || 수영장 || 골프장 || 세미나실 || 지하실 || *학교 내에 운동장은 기본이고 테니스장, 농구장, 골프장, 심지어 수영장[* 2020년 코로나 대유행으로 현재까지 쓰여지지 않고 있다.]까지 구비되어 있다. 골프장은 예전부터 체육관 건물 오른쪽 구석탱이에 쳐박혀져 방치되있었지만 2023 신 예체방과후 골프반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농구장은 농구 코트만 2개가 나란히 있는 식이라서 실제로 농구는 대부분 체육관에서 한다. *원래는 컴퓨터실이 부산국제고에만 있었지만 2020년 고등학생 컴퓨터실에 있던 컴퓨터들이 모두 5층 EOZ실로 옮겨져 정보시간이나 과탐시간 등 수업시간에 활용되고 있다. (가끔씩 컴퓨터 배경화면이 애니캐릭터로 바뀌는 경우가 생긴다...) *급식실 건물 지하로 내려가면 숨겨진 지하실이 있다. 학교의 배수관, 상수도관, 보일러관 등 여러가지 기계들이 있는 장소인데 규모가 꽤 넓다. 안에 모니터와 휴지(?)같은게 있는걸 보니 교사들의 휴게소로도 쓰이는 것 같다. 가끔씩 관계자분들이 들락날락거리긴 하는데 자주 그러진 않아서 선생님들 눈길을 살짝만 피하면 쉽게 들어갈 수 있다. 꽤 지하 깊은 곳에 있으니 주의 == 학교 생활 == === 일과 === 2022년 학교 일과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는 기숙사학생용) ||시간||일정|| ||06:30〜08:05||※기상, 식사 및 등교|| ||08:00~08:20||등교|| ||08:20~08:45||독서|| ||08:45~08:50||아침 조례|| ||08:50~09:35||1교시|| ||09:45~10:30||2교시|| ||10:40~11:25||3교시|| ||11:25~12:15||중식|| ||12:15~13:00||4교시|| ||13:10~13:55||5교시|| ||14:05~14:50(화,목)||6교시|| ||15:00~15:45(월,수,금)||7교시|| ||15:45~16:05, 14:50~15:10(화,목)||청소|| ||16:05~16:15 15:10~15:20(화,목)||종례|| ||16:15~17:00||교과 방과후 (월. 수)|| ||15:20~16:30||예체능 방과후 (화. 목)|| ||17:00~18:00||석식|| ||18:00~18:50||※자습 1교시|| ||19:00~19:50||※자습 2교시|| ||20:00~20:50||※자습 3교시|| ||21:00~23:00||※자유 시간 및 취침 (밤늦게까지 공부하는것을 막기위해 새벽 1시에는 기숙사 전체소등)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국제프라자아파트(05097)'''}}}}}} || || [[일반시내|{{{#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17|{{{#ffffff 17(국제백양)[* 버스가 유턴 후 5~10 분 정도 회차 휴식을 한다. 급한 일이 있을 때 참고해두면 좋다.]}}}]]}}}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3|{{{#ffffff 23(감만동)}}}]]}}}{{{+1 }}}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179|{{{#ffffff 179(회동동)}}}]]}}} || || [[급행|{{{#ffffff 급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95em" [[부산 버스 1004|{{{#ffffff 1004(국제여객터미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8220; font-size: .95em" [[부산 버스 1009-1|{{{#ffffff 1009-1(서면)[* 서면한전 쪽으로 갈 때는 1009-1번 보다는 1004번 이용을 추천한다. [[굴곡 노선/버스|부산시민공원 쪽으로 둘러서 가기 때문에]] 시간이 더 소요되기 때문이다. 단 1004번은 강서차고지 관련 감차로 인해 배차간격이 30분대로 길어졌으니 주의.]}}}]]}}} || || [[마을|{{{#ffffff 마을}}}]]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사상6|{{{#ffffff 사상6(냉정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사상8|{{{#ffffff 사상8(가야홈플러스)}}}]]}}} {{{+1 }}} ||}}} 초행길 또는 등교시에는 대중교통을 추천하지 않는다. 학교가 백양산기슭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서 300M 가량 등산 해야한다. 근데 못갈건 못 된다. 목숨걸고 올라갈 때는 3분 정도 걸렸고 그냥 걸어가면 10분정도 걸렸다. 갈만하다. 하다보면 익숙해진다. --어차피 남학생들은 나중에 군대가면 행군한다.--[* 택시를 타자][* 운동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