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광역시의 고등기술학교]][[분류:1956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고등기술학교)] || [[파일:부산국제영화고 전경사진.jpg]] || {{{#black 학교 전경}}} || ||<-2>
'''{{{#black {{{+1 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br]釜山國際映畵高等學校[br]Busan International Film High School}}}''' || ||<-2> [[파일: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jpg]] || ||<-2>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black '''개교'''}}} || [[1956년]] [[5월 2일]][* 한국고등기술학교 기준.] || || {{{#black '''유형'''}}} || [[특성화 고등학교]] || || {{{#black '''성별'''}}} || [[남녀공학]] || || {{{#black '''형태'''}}} || [[사립]] || || {{{#black '''학교법인'''}}} || 숭덕학원 || || {{{#black '''교장'''}}} || 제9대 김창길 || || {{{#black '''교감'''}}} || 김철환 || || {{{#black '''교훈'''}}} || 성실(誠實), 협동(協同), 창조(創造) || || {{{#black '''교화'''}}} || [[국화]] || || {{{#black '''교목'''}}} || [[편백]] || || {{{#black '''학생 수'''}}} || 125명(남: 53명, 여: 72명)[br]2021.12.14 || || {{{#black '''교직원 수'''}}} || 25명(남: 18명, 여: 7명)[br]2021.12.14 || || {{{#black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 {{{#black '''주소'''}}} ||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고관로]] 68 ([[초량동]]) || || {{{#black '''홈페이지'''}}} || [[http://bifh.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는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초량동]]에 위치한 [[남녀공학]] [[사립]] '''[[고등기술학교]]'''로 1956년에 개교한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학교다. == 학교 연혁 == === 1900's === * 1956년 03월: 학교법인 숭덕학원 설립인가(교육부) * 1956년 05월: 한국고등기술학교 설립인가(교육부) * 1972년 07월: 무선종사자 인정 교육기관 지정(체신부) * 1973년 07월: 학급증설 인가(38학급) * 1976년 10월: 신관교사 4층 준공 * 1977년 04월: 신관교사로 일반교실 이전 * 1979년 03월: 초대 김광한 교장 취임 * 1986년 11월: 총 30학급: 주 18학급, 야 12학급 * 1987년 03월: 3대 반태형 교장 취임 * 1991년 09월: 4대 류쾌봉 교장 취임 * 1996년 10월: 한국공업고등기술학교로 교명 변경 === 2000's === * 2000년 06월: 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로 교명변경 및 학과개편 * 2001년 04월: 5대 최헌식 교장 취임 * 2005년 02월: 6대 최준철 교장 취임 * 2018년 03월: 7대 고인철 교장 취임 * 2020년 03월: 8대 석상규 교장 취임 * 2022년 02월: 제51회 졸업(46명) (누계 : 9,660명) * 2022년 09월: 9대 김창길 교장 취임 == 교훈 및 상징 == 출처: 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표 === [[파일: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jpg]] === 교화 === [[국화]] === 교목 === [[편백]] === 교훈 === >'''성실(誠實), 협동(協同), 창조(創造).''' === 교가 === == 학과 == * 영상연예과 (연극전공, 영화전공) 연극, 영화, 방송 분야의 기초 지식과 현장 중심 교육을 실시하고 창조적인 능력과 자질을 계발하여 미래의 지도자로 육성하고, 1인 1기를 통해 상상력, 표현력, 집중력을 키우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 * 영상그래픽과 (C.G.) 컴퓨터 그래픽, 웹툰, 애니메이션, 콘텐츠제작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 교육을 실시하여 창조적인 능력과 자질을 개발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의 선두주자로 활동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영상헤어디자인과 (헤어전공, 피부전공, 분장전공, 네일전공) 미용사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직업기초능력 및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여 미용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NCS 과정평가형 국가자격 운영을 통하여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미용 인재 양성 == 학교 특징 == ※ 교육청이 인증한 우수진로체험처(`21-`23)로 중학생 직업체험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본교의 학과별 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함으 건전한 직업의식 함양 ※ 현장 맞춤형 우수 기술인재 배출을 위한 미용 분야 NCS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도입 ※ 영상헤어디자인과 졸업과 동시에 미용 분야 취업 및 창업이 가능한 미용사 종합면허증 발급 ※ 소프트웨어 중심의 디지털 방식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영화제작 실무능력 양성교육 실시 ※ 취업을 대비한 각종 자격증 취득과 아울러 각종 대회를 통한 역걍 강화로 취업 전문성 신장 ※ 다양하고 알찬 동아리 활동과 전공 관련 직업 체험의 기회를 통하여 직업 선택의 기회 강화 == 본교 교육 목표 == 미래 영상 산업을 주도할 유능한 인재 양성 == 교육 중점 과제 == ※ 학생성장 중심의 수업 혁신 ※ 핵심역량을 키우는 창의융합 교육 강화 ※ 존중과 배려의 인성 교육 ※ 출발선이 같은 교육 ※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 더불어 성장하는 맞춤형 교육 ※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교육 생태계 확산 ※ 교사를 지원하는 청렴한 교육 == 출신 인물 == * [[박우진]]([[AB6IX]])[* 재학 중 [[한국예술고등학교]]로 전학.]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파일: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 버스.jpg]] === 도시철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초량역]], [[부산진역]] 고관입구 근처인 인창병원 옆에 학교가 위치해있어서 사실상 초량역과 부산진역 사이에 학교가 있다. 따라서 두 역에서 충분히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거리다. == 사건·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 [include(틀:포크됨2, title=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 d=2022-07-14 10:2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