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개편]][[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eCageyAndTypicalRoll, 합의사항1=개편의 현황 항목을 최초 개편 이후 6개월 경과시점부터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 [include(틀:부산 시내버스 개편)] [목차] == 개요 == 2013년에 시행될 부산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열거하는 문서이다. 이전 개편인 [[청강리 사태]]를 수습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개편으로 83-1번 [[성지로(부산)|성지로]] 양방향 경유, 148-1번 금정구청 단축, 520번 신평 단축 등 역대 노선 개편중 2010년과 대등할 양호한 노선 개편이었다. == 개편 내역 == === 2013년 5월 25일 === || 노선 번호 || 기존 노선 || 변경 노선 || 사유 || || 58 || 가덕도선창-부산신항만-신항배후단지-녹산공단-화전산단-명지-하단역-동아대입구 || 가덕도선창-부산신항만-'''신항서문 입구-신항국제물류-'''신항배후단지-녹산공단-화전산단-명지-하단역-동아대입구 || 신항만 근로자 출퇴근 편의제고 || || 83-1 || 민락동-부암교차로-삼광사입구-어린이대공원-사직동-부산진고-부산국악원-부암교차로-민락동 || 민락동-부암교차로-'''부산국악원-부산진고'''-사직동 || 성지로 구간으로 쌍방향 변경 운행 || || 139 || 청강리-기장읍사무소-기장1주공-교리초교-대변입구-해운대시장-대변입구-교리초교-기장1주공-기장읍사무소-청강리 || 청강리-'''대청중교-기장종합사회복지관'''-기장1주공-교리초교-대변입구-해운대시장-대변입구-교리초교-기장1주공-'''기장종합사회복지관-대청중교-'''청강리 || 대청로 구간(청강사거리-읍사무소) 대신 차성로 구간(대청중-기장1주공)으로 노선 변경 운행 || || 1007 || 정관면사무소-현진에버빌-정관센트럴파크-곰내터널-철마-번영로(반여동)-센텀시티 || 정관면사무소-'''서희스타힐스-달산마을-'''현진에버빌-정관센트럴파크-곰내터널-철마-번영로(반여동)-센텀시티 || 정관 방곡리, 달산리 버스노선 확충 || || 1008 || 동남권원자력의학원-정관신도시-철마면사무소-구서IC-부산대-동래역 ||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안읍사무소(좌천삼거리)'''-정관신도시-철마면사무소-구서IC-부산대-동래역 || 좌천리 주거 지역 추가 경유 || || 1009 || 금곡동-화명동-구포역-강서구청-김해공항-삼성자동차-녹산공단-신항배후단지-부산신항만-가덕도선창|| 금곡동-화명동-구포역-김해공항-'''서부산유통단지'''-삼성자동차-녹산공단-신항배후단지-'''신항국제물류-신항서문 입구'''-부산신항만-가덕도선창 || 서부산 유통산단, 신항만 근로자 출퇴근 편의 제고 || * [[2012년]] [[11월 17일]] 이후에 하는 2013년 첫 개편이다. 거의 단순 변경이 대부분이다. 83-1번 같은 경우에는 [[사직동(부산)|사직동]] 방향은 [[새싹로]], [[민락동(부산)|민락동]] 방향은 [[성지로(부산)|성지로]] 경유로 반쪽짜리 노선이었는데 이번 개편으로 성지로 구간으로 노선이 통일되면서 성지로에서 최단거리로 사직동으로 갈수 있게 되었다. === 2013년 10월 26일 === ||
노선 번호 || 기존 노선 || 변경 노선 || 사유 || || 7 || 광명고-남포동-송도윗길-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국제수산물도매시장 || 광명고-남포동-송도윗길-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국제수산물도매시장-'''수산가공선진화단지''' ||<|4> 수산가공단지 교통불편 개선 및 환승편의 도모 || || 9 || 봉래동-영도대교-남포동-송도윗길-암남공원-감천항동편부두 || 봉래동-영도대교-남포동-송도윗길-암남공원-'''수산가공선진화단지'''-감천항동편부두-'''감천사거리''' || || 9-1 || 영도원우A-남포동-송도아랫길-암남공원-감천항동편부두 || 영도원우A-남포동-송도아랫길-암남공원-'''수산가공선진화단지'''-감천항동편부두-'''감천사거리''' || || 71 || 광명고-남포동-송도아랫길-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국제수산물도매시장 || 광명고-남포동-송도아랫길-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국제수산물도매시장-'''수산가공선진화단지''' || || 148-1 || 엄궁농산물시장-감전동-서부터미널-덕천역-신만덕-대동병원-명장동-부곡동-구서동-노포동터미널 || '''학장동-장인로'''-엄궁농산물시장-감전동-서부터미널-덕천역-'''덕천주공A'''-신만덕-'''동래역-온천장-부산대-금정구청-롯데마트''' || 버스노선 중복구간 단축 및 교통 불편지역 경유 || || 520 || 용원-가덕도-중소기업청-삼성자동차-을숙도대교-신평역-하단역-사하전화국-괴정-대신동-남포동-부산역 || 용원-가덕도-'''보람공원'''-중소기업청-삼성자동차-을숙도대교-신평역-하단역-'''신평배고개-사하소방서-한성기린A''' || 도시철도 중복구간 단축 및 교통 취약지역 경유 || || 1007 || 가동마을-서희스타힐스A-중앙중학교-평전마을-현진에버빌-한진해모르-정관산단입구-곰내터널-번영로(반여동)-센텀시티 || 가동마을-서희스타힐스A-'''LH5단지-구연마을'''-평전마을-현진에버빌-'''이지더원A-모전마을'''-한진해모르-곰내터널입구-번영로(반여동)-센텀시티 || 신규 아파트단지 입주민 교통 불편 개선 || || 1010 || 가동마을-이지더원A-한진해모로A-곰내터널입구-금사동-안락교차로-연산교차로-서면 || 가동마을-이지더원A-한진해모로A-'''구연동-센트럴파크A-정관산단입구'''-곰내터널입구-금사동-안락교차로-연산교차로-서면 || 신흥 주거지 및 정관산단 교통 불편 개선 || * 약 5개월 만에 하는 개편으로 부산시 역대 개편안중 베스트에 뽑힐만한 개편이다. 148-1번의 경우에는 아예 다른 노선으로 뜯어고친거나 마찬가지인데 [[반송로(부산)|반송로]]와 [[서동로(부산)|서동로]] 구간을 없애고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와 [[온천장로]]를 경유하게끔 직행화한 덕분에 구.130번을 상호 보완하게 되었고 [[온천장로]]에 단독 구간이 존재하게 된 점에서 꽤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2013년 12월 2일 === ||
노선 번호 || 기존 노선 || 변경 노선 || 사유 || || 139 || 청강리-대청중-대변입구-송정-신도시시장-좌동재래시장-장산역-해운대시장 || 청강리-대청중-대변입구-송정-'''동신아파트-동해남부선 해운대역-해운대교육지원청'''-장산역-해운대시장 || 동해남부선 해운대역 이전에 따른 이용시민 불편 해소 || * 이전 개편까지는 그럭저럭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해당 개편은 오히려 추가된 [[신해운대역]]이 굴곡 구간이라서 노선이 산으로 가는 개편이 되어버렸다. [[해운대역]] 이용시민들 불편 해소 때문에 기장주민 불편은 안중에도 없는 개편. 부산시의 윗선의 개입이 있었다는 카더라가 있다. ==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 >이 항목은 특정년도에 시행된 노선조정에 대해서 서술한 내용이므로 2020년의 상황과는 완전히 다를 수 있으므로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 === {{{#blue 성공사례}}} === >'''{{{#blue 파란색}}}''' 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누가봐도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 {{{#blue '''83-1번 노선의 경우는'''}}} * 상행은 [[새싹로]], 하행은 [[성지로(부산)|성지로]] 경유 때문에 사직동 연장 당시에 반쪽 노선이라는 오명을 썼다. 이는 초읍까지만 운행했을때 새싹로>어린이대공원>성지로>부암교차로 식의 단선순환 형식으로 회차를 하였기 때문에 계속 이렇게 다녔었는데 [[미남역]](사직3동)까지 연장된 이후부터 [[성지로(부산)|성지로]] 연선 지역 주민들이 [[월드컵대로(부산)|초읍고개]]를 넘어 [[사직동(부산)|사직동]]으로 왕복으로 갈 수 없어 그 동안 큰 불편을 겪었다. 그 결과 새싹로 구간을 과감히 포기하고 양방향 성지로를 경유하게 되었는데 [[성지로(부산)|성지로]]에서 서면으로 가장 빠르게 가는 노선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서면으로 가는 수요 뿐만 아니라 [[홈플러스 아시아드점]]을 경유하기때문에 쇼핑수요가 생겨났고 서면 수요 뿐만 아니라 성지로에서 초읍고개 건너 사직동 방면으로 넘어가는 수요까지 새로 창출되었다. [[새싹로]] 구간은 81번, 133번 등으로 충분히 대체가 되기에 다행히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다만 적은 운행대수로 인해 배차간격이 아쉽다. * 2017년 12월 30일 [[부산 버스 105|105번]]이 신설되는 바람에 2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10분 가량 크게 넓어져 수요 급감하였다. * {{{#blue '''148-1번 노선의 경우는'''}}} * 이전 노선은 148번 노선에 서부터미널~엄궁동 복붙해놓은 노선으로 논란이 되어 욕을 크게 먹은 노선으로 후임 담당관이 심각성을 인지하고 노선에 대수술을 감행한다. 동래역 이후부터 완전히 다른 노선이 되었는데 온천장, 부산대를 경유하면서 북구~부산대 노선이 탄생하여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그리고 [[금정구]] [[수림로(부산)|수림로]] 구간은 시내버스 노선이 전무했었는데 이번에 최초 도입하게 되면서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수림로 구간(롯데마트 금정점, 부곡동 쌍용아파트 인근) 주거지가 중산층 이상되는 가구들이 거주하는 지역이다보니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장전역]]까지 걸어가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이용하는 패턴이 익숙한 상황이라 수요가 전혀 유입되지 않아 아쉽게도 [[수림로(부산)|수림로]] 구간은 실패로 끝이 났다. 다만 이번 개편 덕분에 북구~부산대 노선으로 자리잡을 수 있게 되면서 해당 개편의 담당관 송 모씨는 이미지가 상당히 좋아졌으며 이 노선의 운송수입금도 39만원대가 되었기에 성공사례에 포함시켰다. * 2015년 12월 27일, 노선단축으로 부산대~장전역~금정경찰서~금정구청→수림로~장전역 구간 폐지되었다. * 2016년 4월 23일, 기존 북구~부산대 통학생들의 민원으로 [[부산대학교]] 구간이 복구되었다. 하지만 이전 노선과는 다르게 금강로[* 금강공원입구~온천시장~식물원입구~금정초등학교] 연선지역으로 운행중이다. === {{{#red 실패사례}}} === >누가봐도 실패한 사례들을 다룬다. '''{{{#red 빨간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해당개편으로 인해 수요가 급감했거나 크게 논란이 일고 있는 경우다. * {{{#red '''139번 노선의 경우는'''}}} * 기장사회복지관 경유까지 그나마 의도가 좋았는데 [[12월 2일]] 개편때 해운대 신시가지 북측과 전혀 관련이 없는데도 [[신해운대역]]을 경유하는 바람에 불난 집에 기름을 붓는 노선개편이 되고 말았으며, 표정속도가 크게 떨어지면서 그나마 기장읍~장산역 셔틀용으로 이용했던 [[기장읍]] 주민들에게 불만을 가중시키는 노선개편으로 남고 말았다. 거기다 노선 굴곡으로 인하여 배차간격까지 늘어났고 급기야 장산역>기장읍 편도 구간은 자사노선 182번이 더 최단거리로 가기에 이 노선의 상황은 참으로 암담해졌다. 결국 실패사례로 남았다. * {{{#red '''1009번 노선의 경우는'''}}} * 급행버스임에도 불구하고 서부산유통단지를 경유하게 되면서 표정속도를 크게 떨어뜨리고 말았다. 문제는 해당 구간에서 수요는 거의 없다시피다. 안그래도 6대 밖에 안되는 운행대수로 배차간격이 45~50분 수준인데 신항 내부를 돌면서 소요시간만 쓸데없이 늘어났다. 서부산유통지구 경유는 엄연히 굴곡구간이고 경전철도 다니고 있기에 강서3번, 강서13번으로 족하지, 급행버스인 1009번이 들어갈 곳은 절대로 아니다. === {{{#purple 애매한 사례}}} === >성공/실패를 판가름하려면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한''' 노선변경사례를 다룬다. 의도는 좋았으나 수요가 저조하다거나 수요는 많지만 노선형태에 문제가 있어보이는 사례도 여기에서 다룬다. '''{{{#purple 보라색}}}''' 글씨의 노선은 일각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의도는 좋았다|다른 이유로 인해서 안타까운 노선들]]을 다룬다. * {{{#purple '''감천부두에서 감천사거리까지 연장된 노선들의 경우는'''}}} [* [[부산 버스 9|9]], ~~[[부산 버스 9-1|9-1]]~~] * 7번/71번과 함께 수산가공화단지의 대중교통 부재로 연장이 되었는데, 괴정행 노선이 필요해서 이 노선들은 특별히 감천사거리까지 연장되었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이들보다 운행대수가 더 여유가 있는 7번과 71번이 감천사거리까지 가지 않고 운행대수가 여의치 않은 이 노선들이 감천사거리까지 운행하게 된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7번과 71번 쪽이 운송수입금이 훨씬 더 높은 노선들이다보니 섣불리 연장을 시키면 배차간격이 늘어나므로 30번과 같은 노선에게 수요를 빼앗길 우려가 보여 9번과 9-1번을 연장을 감행했다는 의견이 있다.] 연장과 동시에 9-1번은 9번/9-1번 전용 예비차량 1대를 공수해와서[* 이때 9번은 예비차량으로 대형차량이 투입된 적이 있었다.] 평일에 6대를 운행하게 되었지만 문제는 운행대수가 3대뿐인 9번의 경우에는 증차가 아예 없었기때문에 배차간격이 더 늘어나면서 없던 존재감이 더 없어져버렸다.(...) 송도해수욕장 인근 주민들이 괴정행 노선을 끊임없이 요구했지만 감천사거리에서 끊기는 이 노선에 아쉬움을 표했다.[* 다대포<>괴정<>송도로 표기되어있는 96번의 경우에는 충무동~부평시장~서대신동~대티고개로로 크게 돌아간다.] 아무래도 여의치 않은 운행대수 때문에 감천사거리에서 끊은 듯 하다. 의도나 전체적인 평가는 나쁘지 않았으나, 문제는 9번만 홀로 너무나 큰 희생을 당하였으므로 애매한 사례에 포함되었다. * 결국 2017년 4월 22일에 9번 노선은 송도~암남공원~모지포마을 미경유 조치가 되었다. * '''{{{#!html 58번 노선의 경우는}}}''' * 이번개편으로 부산신항을 아우로는 노선에 되어 신항 근로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였으나, 부산신항만~하단역의 셔틀버스가 이미 존재하는지라 수요로써는 크게 성공한 수준이 아니었기에 애매한 사례에 포함시켰다. === {{{#green 실패복구(극복) 사례}}} === >'''{{{#green 녹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노선 복구/수습으로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 '''{{{#!html 520번 노선의 경우는}}}''' * 급행버스로의 전환이 무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부산역 행 노선으로 방치되어 버스 동호인들에게 하루가 멀다 까이는 신세였는데 올해 개편때 드디어 노선단축이 이루어졌다. 신평 한성기린아파트까지 운행하며, 113번의 역방향 구간으로 운행되고 있지만 배차간격이 안좋기에 아쉽지만 효과는 없다. 운송수입금도 여전히 최하위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