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부산 버스 88)]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CrookedAndLoutishPet, 합의사항1=해결방안 항목 삭제)] [include(틀:2015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개편 목록)] [목차] == 개요 ==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때 88번에 행해진 인가대수 대량 감차에 대한 비판을 하는 문서다. == 원인 == === 신규노선 개통과 세진여객 영도노선 차량감축 === 이 노선은 '''차량총량제의 대표적인 희생양'''이다. 사실 이건 세진여객만 감싸고도는 부산시의 한심한 작태라고 볼수 있다. 준공영제 시행 당시 88번의 대수는 21대였다. 그러나 승객회전율이 떨어지는 영향이 커 타 노선보다 운송수입금이 떨어지는 이유로 [[신한여객]] 자사노선들 중 감차 1순위로 꼽히고 있었다. 첫번째로 2010년 4월 8일, 세진여객 188번과 1007번의 증차로 인해 190번이 감차되면서 이걸 메꾸기 위해 2대가 감차되었다. 두번째로 2012년 8월 1일에 [[부산 버스 66]]이 노선 조정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늘어나서 이걸 해결하기 위해 1대를 감차했다. 세번째로 2012년 11월 17일에 [[세진여객]]의 정관영업소로의 차량차출 때문에, 190번의 공백을 메꾸기 위해 신한여객에서는 이 노선에서 1대를 감차시켜 190번 노선에 투입하였다. 그래서 총 17대만 남게되었는데 초기에는 [[태종로(부산)|태종로]] 연선주민들이 불편을 겪다가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니 적응이 된건지 별 불만이 없었던 상황. === 인가대수 대량 감차 논란 === >'''[[차량총량제]]의 문제점을 말할때의 대표적인 교본''' >1011번 노선 신설계획 → 운행권을 제안하였지만 여러 업체에 퇴짜맞고, 결국엔 [[부일여객]]이 선정됨 → 차량조달을 위해 '''부일여객 1010번 철수''' → [[세진여객]] 단독이 된 1010번 차량 대수 보충, 경찰청 및 [[국토교통부]]의 오전 1007번 입석승객 안전문제 거론[* 오전에 입석승객을 꽉꽉 채운 채로 자동차전용도로인 [[번영로(부산)|번영로]]를 지났기 때문이다.]으로 일반노선 107번으로 형간전환 및 [[고급좌석버스|고급좌석차량]] 1010번으로 전량 이동 → 1007번 '''입석 형간전환 및 차량수급을 위해 186번 철수''' → 186번의 운행업체로 [[신한여객]]이 선정됨 → 135번 폐선으로 나온 잉여차량을 186번, 190번에 배치 → 그러나, 186번 인가대수에 135번 차량 대수는 턱없이 부족, 신한여객 노선중 '''88번이 타깃이 되어 186번 차량 부족 분량 조달을 위해 인가대수 감차''' → 88번 인가대수 감차로 인한 지선노선 유지 불가로 '''지선노선을 66번에 양도하여 노선 단일화, 인가대수 추가 감축'''으로 이어졌다. 진정한 [[나비효과]]라는게 과언이 아니다(..) [[2015년]] [[11월 28일]]에 부산시 대중교통과가 [[부산 버스 1011|1011번]] 노선을 신설했는데, 운수회사가 마땅치 않아 부일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실제로 시에서 여러 회사에 운행을 요청했지만 부일여객 말고는 전부다 1011번이란 노선 자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 이유는 신설 당시만 해도 버스회사 입장에서는 모험적이었기 때문이었으며,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이 상당하여 이런 형태의 노선은 부산에서는 아주 생소했기 때문이다. 결국 이 노선의 성공으로 인해 증차분 수급 목적으로 해동여객이 참여하게 되었고 영도 구간에서의 승차거부로 인해 1006번이 신설되었다.] 그 영향으로 부일여객이 [[부산 버스 1010|1010번]] 배차를 철수하여, 차량공수를 위해 1007번 급행버스 차량을 빼갔고, 1007번 노선 차량수급 및 증차를 이유로 세진여객이 [[부산 버스 186|186번]]노선 배차에서 완전 철수 함에 따라, 신한여객이 단독운행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이 노선의 인가대수 4대는 186번으로 이동하였고, [[부산 버스 190|190번]] 노선의 한국해양대학교 연장으로 인하여 2대가 이동하였다. 많은 감차대수로 인해 현행 A, B노선 운행은 불가능하게 되니 부산역까지 다니던 [[부산 버스 66]] 노선을 동평로 지역을 경유하여 당감주공아파트까지 연장시키게 조치함으로[* 이때의 시 행정을 보면 분리노선 일부의 일원화를 추진한 것 같다고 추정될 정도다. 당시 1007번도 107번으로 형간전환하면서 노선의 일원화를 추진했다가 무산되었고, 몇달 뒤에 301번은 노선변경 및 일원화를 시행하였다.] 이 노선에서 3대가 감차되었다. 대량 감차된 것은 88번이나 차량투입은 신한여객 대부분 노선을 대상으로 차돌리기가 행해졌다. 현재는 그야말로 초막장 상태. 배차간격은 평시엔 20분에 달하며 주말에는 28~30분 정도 기다려야 1대 올까말까하는 수준이다. 게다가 태종로일대에서 [[서면]]으로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라 수요가 높은 상태에서 이런 사단이 나고 만 것이다. --결국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노선]] 문서에 이 노선이 추가되었다(...).-- 변경 전에는 평일 평시에도 82번, 85번보다 88번 이용객이 더 많았는데 배차가 두 배 이상으로 벌어진 후 그야말로 [[아비규환]]이 따로 없어졌다.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차량총량제임을 망각하고 [[부산 버스 1011|1011번]] 신설 추진을 무리한 스케줄로[* 많은 노선이 조정대상으로 포함되어 3회차까지 예정되었던 2015년 하반기 노선개편에서 늦게 시행 해도 무방한 노선 신설 건부터 1회차에 시행되어서 그야말로 졸속이 따로 없을정도로 노선폐지와 대량감차라는 막장으로 차량공수를 했다.]하여 [[세진여객]]이 [[부산 버스 107|107번]] 운행을 위해 186번을 철수함에 따라 186번의 운행 업체를 논의한 결과, 태종로가 다른 동네보다 압도적으로 버스대수가 많았기에 과잉공급 해소 목적으로 [[신한여객]]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2017년 7월 현재 [[절영로]]와 영도산복도로로 운행하는 노선은 합쳐서 96대, [[태종로(부산)|태종로]]를 운행하는 노선은 합쳐서 142대.(예비차 제외) 단순히 숫자로만 보면 과잉공급같이 보이나 동삼동에서 수요가 가장 많이 나오는 [[동삼로(부산)|동삼로]] 구간(동삼삼거리~동삼동국민은행)만 놓고 보면 109대로 줄어든다. 더군다나 동삼동의 수요는 [[절영로]] 구간을 제외하면 죄다 동삼로로 집중되는 모양새를 보이기 때문에 '''물량공세로 밀어붙여도 가축수송을 할 정도로 답이 없다.''' 이 때문에 [[태종로(부산)|태종로]]의 청학동, 봉래동 구간(영도구청~해동병원)은 출근시간에는 아예 승차거부까지 당할 정도(특히 8번과 101번). 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일부 감차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더 심해졌다.] 또한 88번의 주 수요구간인 [[부산역]]까지는 [[부산 버스 101|101번]]이 있고, [[부산 버스 190|190번]]이 해양대까지 연장된 것도 한몫 했다. --서면은 부산역에서 [[환승저항|환승해서 가야지?]] 어 근데 [[당감동]]이 단독구간이라 죽이지는 못하고 [[이중구(신세계)|살려는 드릴게]]...-- 그러나 [[태종로(부산)|태종로]] 연선 지역에서 서면을 가는 노선은 88번 하나 뿐이라는게 문제다.[* 85번은 영도중복도로 방면으로 운행하며 그마저도 [[신암로(부산)|신암로]]를 통해서 빙 돌아간다(..)] 당감동까지 연장하고 증차하면서 88번과 비슷해진(..) 66번이 88번과 노선과 거의 겹쳐지게 되었지만 '''결정적으로 66번은 [[해양로(영도구)|해양로]]로 다닌다.''' 지도에서 보면 태종로와 해양로는 나란히 놓여있는데 고저 차이가 많이 심하며[* 영도 지형 특성상 고저 차이가 많이 심하기 마련인데 주거지역인 태종로와 공업지역인 해양로는 [[절벽]]을 사이에 두고 위 아래로 위치해 있다.] 공업지역이 대부분이라, 태종로 생활권과는 사실상 단절되어 있다. 일각에서는 "66번을 태종로로 올리면 되지 않냐"고도 하지만 66번은 해양로 연선 소규모 공장지대 근로자들과 [[국립해양박물관]] [[관광]] 수요를 위해 개통된 정책노선이며 단독구간들도 있는지라 절대 불가능하다. 결국 태종로 연선 주민들은 순식간에 [[번화가]]인 [[서면]]가는 버스가 [[농어촌버스]] 배차간격이 되어 버린 셈이다. 게다가 '''환승대기시간이 30분'''이라, 66번과 겹치는 쪽은 '''환승대기시간이 60분인 66번을''' 여유있게 타는 경우가 많다, 88번은 오면 타고 안오면 버리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아우 노선인 88-1번보다 노선이 훨씬 길지만, 운행대수는 오히려 2대가 더 적은 노선이 되었다. 이젠 일일 평균 승객수도 이 노선이 88-1번보다 약 2천명이 더 적다. 배차간격이 20~25분 이상인 노선들 중에서는 환승대기시간이 60분인 노선이 많으나 이 노선은 환승대기시간이 30분으로 설정되어있다. 환승대기시간 관련하여 부산시에 민원을 낸 결과 88번의 경우는 동일 구간을 2회 환승으로 이동가능하기에 환승을 활용하길 바라며[* 83-1번, 301번 등도 배차간격에 비해 환승대기시간은 30분이었는데 88번과 동일한 이유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2021년 하반기에 83-1번과 301번은 환승대기시간이 1시간으로 늘어났다.] 환승시간연장은 검토해보겠다고 했다.--[[우린 안될거야 아마|그러나 안 될거야 아마]]...-- 2015년 시내버스 개편 계획으로 [[2016년]] [[3월 12일]]에 단순 개편만 실시되었다. [[상공회의소]]에서 지오플러스를 거친 다음 [[신천대로(부산)|신천대로]]를 거쳐 우회하는 기존 노선을 서면 직통으로 바꾸었다. 어차피 이건 배차간격 단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이 교통량분산 차원의 단순 변경일 뿐이었다. 또한 [[2017년]] [[11월 4일]]에 [[국립부산해사고등학교]]를 직접 경유하도록 노선이 조정되었으나 이미 186번이 경유하고 있기에 이 노선이 굳이 들어올 필요가 없어보인다. 이것 또한 마찬가지로 대중교통 소외지역인 해양로 연선의 노선 투입 차원에서 변경한 것이기에 배차간격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본 노선은 증차를 하지 않는 이상 절대로 [[기사회생]]할 수가 없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의 비판과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