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폐선된 51번/51-2번, rd1=부산 버스 51(폐선))]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51H.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51HL.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1번}}}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금정공영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동천초등학교) || ||<|2> 종점[br]행 || 첫차 || 04:50 ||<|2> 기점[br]행 || 첫차 || 05:30 || || 막차 || 21:20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출퇴근 6분 / 평시 8분 ||<-2> 주말배차 || 9분 || ||<-2> 운수사명 || [[화신여객]] ||<-2> 인가대수 || 34대(전용예비 2대)[*주말 토요일 31대 / 공휴일 30대 운행] || ||<-2> 노선 ||<-4> [[금정공영차고지]]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요산문학관 - [[부산외국어대학교]] - 남산119안전센터 - [[구서역]].구서시장 - 장전초등학교 - (→ 장전동어린이놀이터 → 현대아파트 →/← [[장전역]] ←)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동래노인복지관 - 동래전화국 - [[교대역(부산)|교대역]] - [[연산역(부산)|연산역]].[[연산교차로]] - 신리삼거리 - [[배산역]] - 부산울산지방병무청 - 수영교차로.[[수영역]] - [[광안역]] - [[금련산역]] - 대남교차로.[[남천역]] - [[경성대학교]] - [[대연역]].부산은행 → [[부산공업고등학교|부산공고]] → 우암자유아파트 → 동천초등학교 → 시립박물관 → [[대연역]].부산은행 → 이후 역순 || ||<-6><^|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51번_노선도.png|width=100%]]}}}}}}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1번}}}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금정공영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동천초등학교) || ||<|2> 종점[br]행 || 첫차 || 21:40 ||<|2> 기점[br]행 || 첫차 || 23:20 || || 막차 || 22:00 || 막차 || 23:30 || ||<-2> 배차간격 ||<-4> 20분 (1일 2회) || ||<-2> 운수사명 || [[화신여객]] ||<-2> 인가대수 || 2대 || ||<-2> 노선 ||<-4> '''주간 노선과 동일'''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동천초등학교''' 방향 ||우암자유아파트 05:27[* 일부 차가 [[금정공영차고지]]에서 우암자유아파트까지 공차회송한 후 중간 출발한다.]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입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0.2km다. [[http://map.naver.com/?busId=71035|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1년 51번 좌석노선으로 신설되었으며 금강여객, 금정여객, 화신여객이 공동배차하였다. 기점은 화신여객 기준, [[구서동|구서2동]][* 현재 구서동 푸른숲요양병원 건물의 자리가 예전 화신여객의 구서2동 영업소 및 차고지였다. 해당 차고지는 2000년대에도 잘 유지되었으나 화신여객 대표이사의 [[노름]]으로 인해 큰 빚을 지게 되면서 해당 차고지를 매각하였다고 한다.]에서 출발하여 문현교차로.배정고교까지 운행했으며 문현지하차도 위에서 회차하였다. 초기에는 전포동에서 회차하는 방식이었다. * 51번 좌석노선을 운행하던 금강여객은 주택은행 구서동지점(구서동 457-2)에서 출발했다고 하며 금강여객 소속 51번 좌석노선은 단축노선을 운행했었다고 카더라로 전해지는데 엘지마트 금정점(중앙대로 1731) 출발 노선이 있었고 금정여객 폐업 이전에는 부산대학교 후문 출발 노선이 있었다고 한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95411|관련 게시물]] * 1992년 8월에 우암초등학교~전포동 구간이 완전히 폐지되었고, 현재의 회차방식으로 단축되었다. * 1995년 금정여객이 금강여객으로 합병되어 금강여객, 화신여객 2사 공동배차로 운행되었다. * 1998년 금강여객이 폐업하면서 화신여객에서 단독으로 운행하게 된다. 이때 화신여객은 금강여객에서 운행하던 51번 차량을 대부분 사들임에 따라 운행 대수는 별 차이 없이 운행하게 된다. * 동년 기준으로 [[우암동(부산)|우암동]] 유엔로 연선지역에 일신보라아파트가 완공되고 입주가 시작되면서 대량 민원이 발생하여 이때 좌석 51번이 당시 우암동에 있던 [[부산외국어대학교]]까지 노선이 단축되면서 [[유엔로]][* 참고로 그 전까지 정상적인 노선이 하나도 없었다. 그나마 하나 남아있었던게 1996년 재개통된 유령노선 구.34번.]를 편도 단선 순환식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동시에 [[부산 버스 51(폐선)|일반 51번 노선]]과 구분하기 위해 '''노선번호가 51-1번으로 변경되었다.''' 노선번호가 변경되었어도 2001년까지는 좌석전용 노선으로 운행했다. * 2001년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이 연장개통하면서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이 때문에 2000년대 중후반까지 51-1번의 차량은 대부분이 좌석개조차량이었다. 요금이 줄면서 수요가 대폭 늘어나 3호선 개통, 환승제 시행 전까지만 해도 꾸준히 흑자를 기록할 정도였고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이 상당하였다. * 2005년 11월에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이 개통되고 나서 구.51번과 함께 수요에 꽤나 큰 타격이 갔었다. 연이어 2006년 5월에 환승제가 시행되면서 운송수입금도 크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도시철도 1, 2, 3호선의 번거로운 환승구조에 등을 돌린 승객들이 다시 이 노선을 찾기 시작해서 준공영제까지 이어졌다. 2007년 4월까지만 해도 24대였으며 그 때는 [[구서동|구서2동]] 기점이어서 구서1동 시절보단 길었다.[* 현재는 노포동이 종점이라 지금보다는 짧다.] 배차간격은 8분 수준이었다. * 2007년 5월 준공영제 대개편 때 [[부산 버스 51(폐선)|구.51번]]을 살리고 이 노선을 폐선할 예정되었으나 화신여객, [[유엔로]] 연선 지역 주민들이 역민원을 넣으면서 이 노선이 살아남고 [[부산 버스 51(폐선)|구.51번]]이 폐선됨에 따라 인가대수가 24대에서 35대로 대폭 증차되어 평일 6분, 공휴일 7~8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07년 6월 5일 구서2동 차고지의 수용 한계 문제로 인가대수가 적은 [[부산 버스 19|구.19번]]과 기점이 트레이드 되었다. 따라서 이 노선은 구서1동으로 단축되고 배차간격이 대폭 짧아졌다. 대신 [[부산 버스 19|구.19번]]이 구서2동까지 연장되었고, 배차간격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증차 차원으로 세진여객이 공동배차를 하게 되었다. * 2008년 9월 1일 지선번호 정리에 따라 번호가 51-1번에서 5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3월 19일 [[화신여객]]이 [[금정공영차고지]]에 입주함에 따라 금정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다만 연장 거리에 비해 단 한대도 증차되지 않아 배차간격은 2분 가량 늘어났으며 '''막차시간은 기점 기준 22시 40분에서 21시 20분으로 무려 1시간 20분이나 앞당겨졌다.''' * 2017년 11월 25일 [[심야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 2018년 9월 30일 신설노선 [[부산 버스 300|300번]]으로 차량이 1대 차출되어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었다. 그리고 전용예비차량 1대마저도 300번에게 내주었다. === 구.151번/구.151-1번 === [[파일:부산 버스 151-1번 노선.jpg]] 화신여객, 금강여객, 금정여객이 공동배차했던 노선으로, 1985년도에 신설되어 구서아파트에서 감만1동[* 현재 감만현대아파트가 있는 위치까지 운행된 것으로 추정된다.]까지 운행하였다. 1987년도에 [[용당동(부산)|용당동]]까지 연장되어 운행했었다. 용당동의 회차방식이 상당히 특이했는데 편도 단선순환 회차방식으로 경성대>부경대 대연캠퍼스>시립박물관>남광시장>감만시장>용당동>한신문화타운>경성대 순으로 회차하였다. 151-1번은 151번의 남구구간 역방향 노선이었다. 즉, [[유엔로]]를 탔다는 이야기이며, 두 노선 모두 51번과는 달리 우암동쪽으로는 가지 않았다. 운행 초기부터 수익성이 낮아 금강여객과 금정여객은 1991년도에 철수했으며, 1993년도까지 화신여객이 단독운행했다.[* 두 노선 모두 1993년도에 폐선] == 특징 == * '''[[화신여객]]의 주력/간판노선이자, [[부산 버스 80|80번]]과 함께 금정공영차고지 착발 주력/간판 노선들 중 하나이다.''' 특히 이 노선은 [[금정공영차고지]] 시종착 노선들 중에서도 가장 많은 승객수를 보유 중이다. * 중간출발로 우암자유아파트(05:27)와 동천초등학교(05:30)가 있는데, 이는 금정공영차고지에서 [[번영로(부산)|번영로]]를 통해 공차회송을 하여 해당 정류장에서부터 승객을 받는 형태이며 동천초등학교에서 잠깐 휴식한 후 정규노선대로 금정공영차고지로 간다. 이런 공차회송 운영은 [[부산 버스 51(폐선)|구.51번]]이 했는데 2007년 5월 15일에 51번이 폐선되면서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 조정되는 노선들은 기존 승객의 불편이 우려된다 해도 이런 식으로 공차회송을 운영하지 않고 첫차 시각을 그냥 늦춰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2021년의 [[부산 버스 101|101번]], [[부산 버스 1003|1003번]]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101번은 [[부산항대교]], 1003번은 [[광안대교]] ~ [[부산항대교]] ~ [[영도대교]] 혹은 [[금사램프]] ~ [[번영로(부산)|번영로]]를 통해 회차지로 공차회송을 하면 첫차 시각을 앞당기거나 (101번) 사실상 원상복구 (1003번) 시킬 수 있는데, 그렇지 않아 기존 이용객들의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각각 101번은 대연5동과 문현안동네, 1003번은 원도심에서 첫차 시각이 25 ~ 30분 이상 늦어져 큰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 노선이 개편되며 [[금정구]] 구간에서 [[구서 롯데캐슬 골드]], 구서 쌍용예가, 금정산 쌍용예가 등과 같은 대단지 아파트와 직접 연계되면서 승객이 크게 늘었다. 1일 평균 총 21,000명의 승객이 이 노선을 이용할 정도로 인지도가 매우 높은 노선이다. 그러나 승객 수 대비 운송수입금이 크게 떨어지는 노선이다.[* 이 부분은 2006년 5월 15일에 시행된 환승제가 운송수입금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다. 그 전까지만 해도 이 노선은 흑자를 기록했을 정도였다. 이 노선의 일일 평균 승객수는 약 2만1천~2만2천여명이다. 비슷한 수준의 노선으로 [[부산 버스 16|16번]], [[부산 버스 67|67번]], [[부산 버스 87|87번]], [[부산 버스 169|169번]]이 있다. 문제는 이들의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모두 60만원을 넘기고 있지만 51번은 환승 수요가 너무 많아서인지(특히 [[유엔로]]/[[석포로(부산)|석포로]]~[[대연역]] 구간) 실제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약 56만원대에 불과하다. 이는 노선이 너무 긴 것도 한몫한다. 위에 언급된 4개의 노선들과 비교해봐도 51번이 월등히 길다.] * 이 노선은 그야말로 노선 대부분이 알짜배기 황금구간이다. 특히 [[부산외국어대학교|부산외대]], [[남산동(부산)|남산동]] [[금샘로]], [[감만동|감만2동]], [[우암동(부산)|우암동]], [[대연동|대연4동]] 주민들에게는 아주 고마운 노선 중 하나다.[* 실제로 지하철을 타기 위해서는 [[대연동]]에 있는 도시철도역들인 [[대연역]]이나 [[못골역]], [[경성대·부경대역]]으로 가야하는데 그 중 마을버스인 [[부산 버스 남구6|6번]]이 못골역, 51번은 대연역~수영역 구간을 운행한다. 다만 못골역보다는 대연역이 최단거리라서 후자를 더 선호하는 편. [[부산 버스 68|68번]]과 함께 이 지역 수요를 양분한다. 68번은 [[서면]] 갈 때 이용.] 감만동에서 지하철을 타지 않고 동래구, 금정구, 해운대구, 수영구 방면으로 가기 위해선 필수적으로 타게 되는[* 도시철도를 탄다고 한들 서면 방면이 아닌 이상 51번은 자연스럽게 타게 된다. 해당 지역은 노선도 별로 없고 환승이 번거로워 우암동, 감만2동에서 동래~부산대까지 이 버스만 쭉 타고 가는 용자들도 있다. 그런데 경성대에서 이 노선으로 동래나 부산대까지 갈 경우 서면에서 환승해서 가는 것보다 실제로 더 빠르다.] 이 노선이 만약 폐선된다고 생각하면 안그래도 대중교통이 비교적 열악한 수준인 감만동, 우암동 주민들은 [[충공깽]]에 빠지게 된다. 그리고 [[금정공영차고지]]로 연장돼서 [[남산동(부산)|남산동]] [[금샘로]]를 경유하게 되었는데 금정구와 동래구의 명소와 대표 번화가인 부산대, 온천장, 동래를 한꺼번에 가는 덕분에 [[금샘로]] 연선지역 주민들과 [[부산외대]] 학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50km 정도의 장거리 노선인데도 인가대수가 무려 34대다. * [[부산 버스 101|101번]], [[부산 버스 138|138번]]과 함께 대연동부산은행([[대연역]])을 양방향 경유해서 환승이 용이하다. [[부산 버스 10|10번]]은 편도로 경유하기 때문이다. * [[부산외국어대학교|부산외대]] 남산캠퍼스와 우암캠퍼스, [[경성대학교|경성대.]][[부경대학교|부경대역]], [[부산대학교]]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러시아워]]나 주말 등 피크시간대는 콩나물 시루가 발생하는 현상도 보여준다. [[부산 버스 68|68번]]과 함께 황금노선 달성... 특히 감만2동~[[수영로(부산)|수영로]] 구간. 게다가 대연사거리 ~ 용소삼거리는 [[헬게이트]]다. 출.퇴근 시간에는 걸어서 10분 거리가 차로 10분이 되는 위엄을 보여주기도 한다. [[연수로(부산)|연수로]]에서 유일하게 [[연산교차로]]로 유일하게 빠져 동래, 온천장, 부산대로 향하는 형태라서 [[연수로(부산)|연수로]] 쪽에서도 인기가 많다. 원래 물만골역/연산초등학교 쪽은 이 노선 외에 36번과 55번(일신여객)도 같이 다녔으나 36번은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조성과 함께 노선이 대폭변경, 일신여객 55번은 적자가 심해지면서 폐선되어 한동안 51번만이 단독으로 운행하고 있었으나 2016년 3월 12일에 [[부산 버스 189|189번]]이 노선연장으로 추가로 들어왔다.[* 다만 [[부산 버스 189|189번]]은 연산초등학교가 회차지라서 [[물만골역]]에 서지 않고 그대로 유턴 해버린다.] * 2016년 3월 19일에 단 1대의 증차도 없이 연장되어 68번처럼 되는거 아닌가 상당히 걱정되었지만 연장 이후 배차간격이 구서1동 기점 시절만은 못해도 심각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왜냐하면 노선연장 전의 배차간격이 5~6분이었지만 사실 그때도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8~9분만에 온다거나 하는 식이었다. 그래서 배차간격 면에서도 불편을 느끼지 않는것 같다. 오히려 구서2동, [[금샘로]] 연선지역을 경유하면서 수요가 꽤 늘었다. 승객이 뜸한 늦은 시간에도 [[부산외대]] 학생들이 10명 이상 타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51-1번 시절에도 해당지역을 운행했기에 51번이라는 번호가 구서2동 주민들이나 외대학생들에게는 낯설지 않은 노선번호이기도 하다.] * 예전 구서동 기점 시절에는 주간노선 치고는 막차시간이 타 노선들에 비하여 늦었다. 종점에서 23시 58분 쯤에 회차하므로 자정 쯤[* 부산의 대표적인 중심지 중 한 곳인 경성대부경대역 막차시간이 0시 7분이었다.--40번도 비슷하다..--]에도 중간 정류소에서 나돌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금정공영차고지]] 연장 이후엔 막차시간이 크게 앞당겨졌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택시를 타고 이동하는 승객도 있었다. 하지만 2017년 11월 25일에 심야 2회 운행을 시작으로 위 문제들은 대다수 해결된 상태다. * 감만2동 첫차가 5시 30분에 있다. 5시 15~20분 쯤에 이 노선이 가지 않는 우암초등학교나 7부두에서 대기하고 있는 차량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감만2동 첫차는 도시고속도로([[번영로(부산)|번영로]])로 [[공차회송]]한다. * 심야노선이 신설된 지 불과 한 달 여만인 2017년 12월 30일부터 [[부산 버스 남구2|남구2번]]이 문화회관 > 성지고교 > 우암동 > 남광시장 > 석포초등학교 > 문화회관 ~ 대연역 ~경성대까지 동일구간으로 더 늦은시간까지 운행하게 되어 수요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그러나 2018년 6월 현재까지 51번이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연산4.6동, 망미동, 수영, 광안동, 남천동 등지에서도 많은 수요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 [[부산 버스 131]]번과 더불어 부산 내의 양대 국립 종합대학[* 한국해양대학교는 말 그대로 해양특화고, 부산교육대학교는 말 그대로 교육특화라 규모가 그렇게 크지 않다.]인 부산대학교와 부경대학교[* 다만 이쪽은 131번과 달리 교문 바로 앞이 아닌 경성대부경대역에 정차한다.]를 한번에 이어준다. === 여담 === * 2016년 노포동까지 연장되어 부산외대입구를 경유하면서 [[부산외국어대학교]] 본 캠퍼스와 구.우암동캠퍼스를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이로써 2007년 이후 약 9년만에 2007년 6월 5일 이전의 51-1번으로 환원된 셈이다. * [[201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s-2.10|2017년 11월 25일]]부터 [[심야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본디 심야에도 [[우암동(부산)|우암동]], [[감만동]]행 수요가 많았는데, 노선 연장으로 인해 막차시간이 1시간 20분이나 앞당겨져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들도 있는 등 불편이 생겼고 막차 시간을 늘려달라거나 심야버스를 신설해 달라는 등의 민원이 끊이질 않았다. 이런 점들이 반영되어 심야버스가 생긴 걸로 보이는데 심야노선은 주간 막차가 지나간 뒤 20분 간격으로 2회 운행한다. 다만 다른 시내버스들이 운행하는 시간대인 21시 40분에 심야버스 첫차가 나온다. 기종점간의 거리가 길고 운행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산 심야버스들은 무조건 심야버스라고 추가요금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심야 할증이 있는데 23시 40분을 기준으로 운행하고 있는 모든 차량에 이게 적용되어 이 시간 이후로 승차하면 심야요금을 징수한다. 이 노선은 심야 막차가 22시에 출발하니 일반 요금으로 승차할 수 있다. --다만 기점으로 되돌아가는 버스는 동래를 지나면 심야 할증이 붙는다--] * [[2021년]] [[9월 4일]]부터 [[부산 버스 101|101번]] 연장과 [[부산 버스 남구6|남구6번]] 대연역 변경으로 인하여 석포로 일대 [[대연역]] 방향 승객들의 버스이용이 더 편리해졌으나 오히려 51번의 수요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연동에서 석포로로 가려면 성지고등학교를 경유해야 하는데 너무 오래걸려서 그 동안 주민들의 불편민원이 잦았다.] === 이용 시 유의할 점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동터미널]], [[범어사]] 등지에서 우암동/감만동까지 가려는 경우에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을 그리 추천하지는 않는다. '''노포동 터미널에서 우암동/감만동까지 1시간 30~40분 정도 걸린다고 생각하자.'''[*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이보다 더 걸린다. 이 노선의 공식 운행 소요시간은 왕복기준 205분이다. 편도기준 대략 100분정도 걸린다. 이보다 운행거리가 더 긴 [[부산 버스 15|15번]]도 왕복 운행시간이 140분 남짓 된다. 하지만 15번은 금곡동에서 남포동까지 직선으로 이어주는 노선이므로 굴곡이 좀 있는 이 노선과의 단순 비교는 곤란하다. 다만 15번도 퇴근시간이 되면 금곡에서 남포까지 1시간 10~20분이 걸린다.--그래도 51번보단 더욱 빠르게 기종점을 이어준다--] [[노포동]]에서 우암동/감만동까지 빠르게 가려면 [[노포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범일역]] 8번 출구로 나와서 [[석포로(부산)|석포로]] 방면은 [[부산 버스 68|68번]]과 [[부산 버스 134|134번]], [[유엔로]] 방면은 [[부산 버스 남구3|남구3번]]을 이용하거나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서면역]] 6번출구로 나와 서면부속상가 정류장에서 138-1번을 타면 빨리 갈 수 있다.[* 우암자유아파트가 목적지일 경우 [[부산 버스 168|168번]], 서면역 2번 출구로 나와서 [[부산 버스 23|23번]]을 타도 된다.] --그러니까 환승하기 귀찮거나[* 동래, 금정구에서 남구로 이동하기 위해 지하철을 이용해 [[서면역]] 등지에서 환승하는 것이 개인에 따라 귀찮을 수 있다.] 시간이 많이 남을 때에만 이용하도록 하자-- * 마찬가지로 대연역에서 석포로나 감만동으로 갈때 이 노선 대신 68번 101번 134번 과 남구6번을 이용하면 된다. * 이 노선의 중간경유지 행선판 표기가 광안리로 표기되어 있지만, 정작 '''[[광남로(부산)|광남로]]로 절대 가지 않는다.''' 광남로를 경유하는 노선은 [[부산 버스 38|38번]], [[부산 버스 41|41번]], [[부산 버스 62|62번]], [[부산 버스 83|83번]], [[부산 버스 83-1|83-1번]], [[부산 버스 108|108번]]같이 [[민락동(부산)|민락동]]으로 가는 노선들과 [[부산 버스 42|42번]], [[부산 버스 49|49번]]으로 광안리해수욕장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들이다. --차라리 중간 행선판 표기를 수영교차로로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 이야깃거리 === * 구.51번이 폐선되었는데 이 때문에 우암동(우암초등학교[* 근데 우암초등학교에서 우암뉴서울아파트까지는 거리차가 얼마 되지 않는다.] - 7부두 구간) 일부 지역주민들이 대연역, 경성대로 가는 노선이 사라져서 불편을 겪고 있으며 감만2동이나 우암동에서 2호선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을 직접적으로 경유했던 노선이었고 문현e마트까지도 간접적으로 이어줬던 노선이었기에 이 또한 논란이 되기도 했었다. 그나마 대체 노선이었던 구.19번마저도 배차간격이 길었기에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는 큰 불만거리였다. 현재는 남구 5번이 일부분을 대체하고 있지만 이 노선 역시 배차간격이 길고 마을버스 특성상 굴곡이 있는데다 미어터지는지라 딱히 답이 없는 상황. 그러다가 2016년 4월 23일 개편으로 [[부산 버스 138-1|138-1번]]이 연장되어 해당 구간을 지나고 있지만 이 역시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다. * 그런데 부산외대가 남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외대통학수요를 그대로 잃게 되어 수요감소는 꽤 컸지만 그래도 감만2동, [[유엔로]][* 이전에 [[부산외국어대학교]] 우암캠퍼스가 있었던 곳이다. 이 곳에 [[부산공업고등학교]]도 있다.]구간은 편도순환회차하는 구간이다.[* 남구5번 마을버스도 다니며 2016년 4월 23일부터 [[부산 버스 138-1|138-1번]]도 부산공업고등학교 구간을 공동 경유한다.] 고정수요로만 충분히 많은 상황이다. 지금은 51번이 부산외대가 있는 [[금샘로]]를 경유하면서 외대통학수요까지 다시 잡게 되었다. * 51번의 인가 예비차는 3대이나 그중에 1대는 한동안 차고지에서 방치되고 있었다. 차량 상태가 매우 심각해 운수회사에서도 포기하고 있다는 정보가 있었다.[* 구서동 기점 시절에는 사이드미러까지 다 뜯어놓았고 금정공영차고지 입주시에 다시 장착하였다.]~~차고지 이전 후에도 한동안 창고로 썼다더라~~ 그래서 51번은 사실상 예비차를 2대만 운행했고,[* 공영차고지로 입주할 때 견인차에 끌려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부산 버스 300|300번]]이 신설되면서 예비차 1대가 감차 되면서 현재도 2대 운행 중이다. 측면, 뒷면에 있는 행선판도 바뀌지 않고 구서동으로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차량 내부에는 여전히 구형 카드단말기가 장착되어있었고, LED전광판도 장착되어 있지 않았다. 결국 그 한대는 2016년 12월에 신차로 대차되어 [[부산 버스 131|131번]]전용 예비차로 운행 중이다. 당시 면허는 5436호. * 2016년 3월 19일에 [[금정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부산 버스 29|29번]]과 함께 막차시간이 21시 20분으로 단축되었다. 참고로 [[부산 버스 131|131번]]은 21시로 단축되었다. 29번과 131번은 원래 막차가 21:40, 21:45으로 각각 20분과 45분이 단축되었으나, 51번의 경우 원래 막차 22시 40분에서 무려 '''80분이나''' 단축되었다. 부산시는 민원이 들어오면 심야버스 운행을 검토한다고 한다.[[http://www.geumjeong.go.kr/board/view.geumj?boardId=BBS_0000004&menuCd=DOM_000000101002001000&startPage=1&dataSid=808282|금정구청 공지]] 정 막차시각을 늦추고 싶다면 금강로나 금샘로가 아닌 중앙대로 직통으로 해서 이동 소요시간을 단축시키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다. 이보다 운행거리가 긴 [[부산 버스 15|15번]](53.0km)도 막차 시각이 22:05경으로 늦게까지 다닌다. 15번과 마찬가지로 굴곡 구간이 거의 없는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왕복운행시간이 200분 남짓 되니 어쩔 수 없는 조치긴 하지만.[* 15번의 경우 왕복운행시간이 140분 남짓으로 교통 체증만 없다면 금곡동에서 남포동까지 1시간만에 끊어준다.] * 그러나 막차시간이 생각보다 너무 앞당겨져서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닌 상황이었다.[* 기점행 막차는 연장 전에 23시 58분에 출발했는데 연장 이후부터는 23시 전에 끊겨버려서 문제가 되었다.] 부산시에 민원을 넣은 결과 그나마 동천초등학교 막차시간이 23시로 변경되었지만 그 이후에도 다른 민원들이 많았는지 2017년 11월 25일에 심야버스가 신설되었다. 주간 막차가 지나간 뒤 20분 간격으로 2회 운행하며 심야버스의 동천초등학교 막차시간은 23시 40분이다. 이 심야버스는 23시 40분 이전에 출발하는 노선들이라 주간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심야 막차가 동천초등학교를 돌고 나오면 그때부터 심야 할증이 부과된다. * 여담으로 영어 표기가 잘못되어 있다. '광안리'는 로마자 표기법에 의해 Gwanganri가 아닌 '''Gwangalli'''가 되어야 한다. 한편 이전에 오류가 있었던 감만2동의 Gamman-2(...)는 현재 Gamman 2-dong으로 정상적으로 수정되었다. * 또 한가지 특이사항이 있는데, 종점인 동천초등학교 정류장에 진입시 안내방송이 끝나고 난 뒤에는 > 오늘도 [[화신여객]] 51번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br] 여기는 종점입니다. 잠시 정차 후에 출발합니다.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자사 노선 [[부산 버스 131|131번]]은 종점이 유턴 구간(유턴 회차 방식)이다 보니 이런 안내방송은 나오지 않는 듯 하다. 왜냐하면 유턴 회차 형식 하에 오륙도스카이워크 정류장은 2곳인데 유턴 전 정류장에서 승객을 모두 하차시키고 유턴 후 반대편 정류장에서 승객을 태우고 가기 때문이다. 시민여객 노선인 [[부산 버스 24|24번]]과 [[부산 버스 27|27번]]도 동일하게 시행하나 패턴이 상행방향으로 승객을 태우고 가고 하행방향은 반대편 정류장에서 승객을 모두 하차시키고 그대로 운행종료한다.] * 금련산 청소년 수련원 정류장 >KBS방송국으로 가실 분은 여기서 [br]하차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라는 안내방송까지 나온다.[* 당시 구서1동에서 시종착 당시에는 차고지 방향인 금정산쌍용예가1차 정류장 진입시에는 '''"남산동으로 가실 분은 이번 정류장에 내리셔서 [[부산 버스 29|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방송까지 나왔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22031.00|| || ||2015년|| 21019.57|| {{{#blue ▽ 1011.43}}}|| ||2016년|| 20146.00|| {{{#blue ▽ 873.57}}}|| ||2017년|| 21124.43|| {{{#red △ 978.43}}}|| ||2018년|| 19685.14|| {{{#blue ▽ 1439.29}}}|| ||2019년|| 19371.85|| {{{#blue ▽ 313.29}}}||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1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우암로(부산)|{{{#353535,#eee '''우암로'''}}}]] || || {{{-2 동천초등학교 ▼}}}||{{{-2 ▲ 우암자유아파트}}} || || [[석포로(부산)|{{{#353535,#eee '''석포로'''}}}]]||[[유엔로|{{{#353535,#eee '''유엔로'''}}}]] || || {{{-2 대연동부산은행 ▼}}}||{{{-2 ▲ 유엔교차로(산성교회)}}} || ||<-2> [[유엔평화로(부산)|{{{#353535,#eee '''유엔평화로'''}}}]] || || {{{-2 대연역 ▼}}}||{{{-2 ▲ 대연동부산은행}}} || ||<-2> [[수영로(부산)|{{{#353535,#eee '''수영로'''}}}]] || || {{{-2 수영사적공원 ▼}}}||{{{-2 ▲ 수영교차로(수영역)}}} || ||<-2> [[연수로(부산)|{{{#353535,#eee '''연수로'''}}}]] || || {{{-2 신리삼거리 ▼}}}||{{{-2 ▲ 신리삼거리}}} || ||<-2> [[월드컵대로(부산)|{{{#353535,#eee '''월드컵대로'''}}}]] || || {{{-2 연산역.연산교차로 ▼}}}||{{{-2 ▲ 반도보라아파트}}}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세병교 ▼}}}||{{{-2 ▲ 동해선 교대역}}} || ||<-2> [[명륜로(부산)|{{{#353535,#eee '''명륜로'''}}}]] || || {{{-2 ▼}}}||{{{-2 ▲ 온천입구}}} || ||<-2> [[시실로|{{{#353535,#eee '''시실로'''}}}]] || || {{{-2 ▼}}}||{{{-2 ▲}}} || ||<-2> [[금강공원로|{{{#353535,#eee '''금강공원로'''}}}]] || || {{{-2 온천장 ▼}}}||{{{-2 ▲ 온천장}}} || ||<-2> [[온천장로|{{{#353535,#eee '''온천장로'''}}}]] || || {{{-2 금정초등학교 ▼}}}||{{{-2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2> [[금정로(부산)|{{{#353535,#eee '''금정로'''}}}]] || || {{{-2 ▼}}}||{{{-2 ▲ 금정초등학교}}} || || [[수림로(부산)|{{{#353535,#eee '''수림로'''}}}]]||[[장전로(부산)|{{{#353535,#eee '''장전로'''}}}]] || || {{{-2 장전초등학교 ▼}}}||{{{-2 ▲ 부산대학교후문}}} || ||<-2> [[금강로(부산)|{{{#353535,#eee '''금강로'''}}}]] || || {{{-2 남산119안전센터 ▼}}}||{{{-2 ▲ 선경3차아파트}}} || ||<-2> [[두실로|{{{#353535,#eee '''두실로'''}}}]] || || {{{-2 남산성당 ▼}}}||{{{-2 ▲ 남산119안전센터}}} || ||<-2> [[금샘로|{{{#353535,#eee '''금샘로'''}}}]] || || {{{-2 어린이놀이터 ▼}}}||{{{-2 ▲ 한아름빌라}}} || ||<-2> [[청룡로(부산)|{{{#353535,#eee '''청룡로'''}}}]] || || {{{-2 노포삼거리 ▼}}}||{{{-2 ▲ 범어사입구}}}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 ||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1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우암로(부산)|{{{#353535,#eee '''우암로'''}}}]] || || {{{-2 동천초등학교 ▼}}}||{{{-2 ▲ 우암자유아파트}}} || || [[석포로(부산)|{{{#353535,#eee '''석포로'''}}}]]||[[유엔로|{{{#353535,#eee '''유엔로'''}}}]] || || {{{-2 대연동부산은행 ▼}}}||{{{-2 ▲ 유엔교차로(산성교회)}}} || ||<-2> [[유엔평화로(부산)|{{{#353535,#eee '''유엔평화로'''}}}]] || || {{{-2 대연역 ▼}}}||{{{-2 ▲ 대연동부산은행}}} || ||<-2> [[수영로(부산)|{{{#353535,#eee '''수영로'''}}}]] || || {{{-2 수영사적공원 ▼}}}||{{{-2 ▲ 수영교차로(수영역)}}} || ||<-2> [[연수로(부산)|{{{#353535,#eee '''연수로'''}}}]] || || {{{-2 신리삼거리 ▼}}}||{{{-2 ▲ 신리삼거리}}} || ||<-2> [[월드컵대로(부산)|{{{#353535,#eee '''월드컵대로'''}}}]] || || {{{-2 연산역.연산교차로 ▼}}}||{{{-2 ▲ 반도보라아파트}}}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세병교 ▼}}}||{{{-2 ▲ 동해선 교대역}}} || ||<-2> [[명륜로(부산)|{{{#353535,#eee '''명륜로'''}}}]] || || {{{-2 ▼}}}||{{{-2 ▲ 온천입구}}} || ||<-2> [[시실로|{{{#353535,#eee '''시실로'''}}}]] || || {{{-2 ▼}}}||{{{-2 ▲}}} || ||<-2> [[금강공원로|{{{#353535,#eee '''금강공원로'''}}}]] || || {{{-2 온천장 ▼}}}||{{{-2 ▲ 온천장}}} || ||<-2> [[온천장로|{{{#353535,#eee '''온천장로'''}}}]] || || {{{-2 금정초등학교 ▼}}}||{{{-2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2> [[금정로(부산)|{{{#353535,#eee '''금정로'''}}}]] || || {{{-2 ▼}}}||{{{-2 ▲ 금정초등학교}}} || || [[수림로(부산)|{{{#353535,#eee '''수림로'''}}}]]||[[장전로(부산)|{{{#353535,#eee '''장전로'''}}}]] || || {{{-2 장전초등학교 ▼}}}||{{{-2 ▲ 부산대학교후문}}} || ||<-2> [[금강로(부산)|{{{#353535,#eee '''금강로'''}}}]] || || {{{-2 남산119안전센터 ▼}}}||{{{-2 ▲ 선경3차아파트}}} || ||<-2> [[두실로|{{{#353535,#eee '''두실로'''}}}]] || || {{{-2 남산성당 ▼}}}||{{{-2 ▲ 남산119안전센터}}} || ||<-2> [[금샘로|{{{#353535,#eee '''금샘로'''}}}]] || || {{{-2 어린이놀이터 ▼}}}||{{{-2 ▲ 한아름빌라}}} || ||<-2> [[청룡로(부산)|{{{#353535,#eee '''청룡로'''}}}]] || || {{{-2 노포삼거리 ▼}}}||{{{-2 ▲ 범어사입구}}}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 [[범어사역]], [[두실역]], [[구서역]], [[장전역]], [[부산대역]], [[온천장역]], [[교대역(부산)|교대역]], [[연산역(부산)|연산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 [[광안역]], [[금련산역]], [[남천역]], [[경성대·부경대역]], [[대연역]] * [[파일:Busan3.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역, [[망미역]], [[배산역]], [[물만골역]], 연산역 *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교대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종합터미널 버스)] [include(틀:부산대학교 경유버스)] [include(틀:부경대학교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9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