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서구)] [include(틀:동아대학교 경유버스)] ||[[파일:서구1번 1020호.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서구1번}}} || ||<-2> 기점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3가(구덕꽃마을) ||<-2> 종점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3가(서대신역)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23:15 || 막차 || 23:35 || ||<-2> 배차간격 ||<-4> 10분 || ||<-2> 운수사명 || [[구덕교통]] ||<-2> 인가대수 || 3대(예비 1대) || ||<-2> 노선 ||<-4> [[구덕꽃마을]] - 민방위교육장 - 서대신금호아파트 - 경성전자고등학교 → [[구덕운동장]] → 동신초교 → [[부산서여자고등학교|서여고]] → 동대시장 → 서대시장([[동대신역]]) → [[서대신역]] → [[부경고등학교|부경고교]] → 경성전자고등학교 → 이후 역순 || == 개요 == 서구 마을버스 노선 중 하나로 왕복 운행거리는 10.4km다. [[http://naver.me/5DUsFXOA|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이 노선의 전신은 1980년에 개통한 꽃마을버스라고 불리는 자가용 [[한정면허 버스]] 노선이며 차종은 현대 마이크로버스였다. 이후 서구1번으로 번호를 발급받고 개통이후 지금까지 노선조정 없이 한결같이 유지되고 있다. == 특징 == 운행거리가 10.4km로 짧아서 운행시간은 40분 내외로 소요된다. 꽃마을에서는 20분 이내로 서대신역에 도착 가능하다. 꽃마을로를 따라 [[구덕꽃마을]][* 1970년대까지는 [[사상구]] [[학장동]] 소재였다가 [[서구(부산)|서구]] [[서대신동]] 소속으로 넘어왔다. [[구덕터널]]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시골 마을이다. 예전에는 마을 이름답게 [[꽃]]을 많이 재배하고 판매하였지만 최근에는 [[닭백숙]]이나 [[오리고기]]집 같은 토종 음식점들이 많이 들어서 있으며 꽃을 재배하는 모습은 많이 미약해진 편이다. 구덕야영장과 구덕청소년수련원도 이 곳에 있다.]로 올라가는 유일한 노선이며 주 수요층은 꽃마을 주민들과 방문객, [[구덕산]]아나 [[엄광산]] [[등산]]객들이 주된 수요이다. 꽃마을 주민들이 시내로 나가기 위해서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노선이기도 하며 도시철도역과 바로 연계되는 점도 또 하나의 특징이다. 당연히 주말에는 꽃마을 방문객들과 등산객들이 주 이용객이다. [[부산 버스 81|81번]]이 서대신 금호어울림아파트에서 노선이 끊기기 때문에 꽃마을로 가려는 승객들을 이 노선이 제대로 흡수하고 있으며[* 과거 81번을 꽃마을까지 연장하려고 시도하였으나 도로 협소 문제와 더불어 구덕교통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현재는 도로가 넓게 포장되어 대형차량도 거뜬히 올라갈 수 있다.] 그 외에도 구덕야영장, 구덕청소년수련원, [[내원정사]][[유치원]][* 부산 내에서 상당히 유명한 [[유치원]]으로 [[불교]] 재단 소속이다. [[내원정사]]가 위치하고 있다.] 등 각종 시설들이 많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행거리는 짧지만 수요는 제법 되는 노선이다. 특히 주말과 공휴일에는 꽃마을 방문객들과 더불어 [[구덕산]], 시약산, [[엄광산]] 등으로 [[등산]]하려는 등산객들로 인한 수요가 정말 끝내준다. 하행 방면의 경우도 꽃마을 기점에서부터 만차가 되어 [[구덕운동장]]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다반사다. 따라서 꽃마을 기점에서는 항상 1대가 운행대기하고있으며 승객들을 다 태운 후 시간이 되면 출발한다. 또한 구덕꽃마을과 서대신4동 거주 학생들이 [[부산서여자고등학교]]로 통학하는데 더할 나위없이 좋은 노선이다. 이 곳에서 서여고까지 한 번에 바로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라 등/하교 시간대에는 서여고 통학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하교의 경유에도 횡단보도 건너 서여고 정류장에 승차하면 편도 순환 회차하는 특성상 조금 둘러가지만 한 번에 바로 갈 수 있다.[* [[부경고등학교]]는 경성전자고등학교 정류장에 내려서 조금만 걸어가면 금방 도착하며 [[경남고등학교]]의 경우 구덕야구장 정류장에 하차하여 이동 가능하다.] 예전에는 구덕꽃마을로 가는 [[도로]]가 좁고 매우 협소하여 버스 운행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나[* 이 때는 서구1번은 물론이거니와 [[내원정사]]유치원 [[통학버스]]도 거북이 운행을 해야만 했다.] 2000년대 후반에 도로를 재정비하고 기타 시설들을 설치하여 통행이 한결 편리해졌다. 꽃마을로를 따라 꽃마을로 올라가는 길목에 서구민방위교육장이 위치해 있어 민방위훈련을 하거나 [[민방위]] 교육을 들으러 가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기도 한다. [[2012년]] [[런닝맨]] 부산특집에서 미션 장소로 나오기도 하였다. 해당 차량은 1022호[* 당시 에어로타운이었다. 현재는 카운티 뉴 브리즈.] 2023년 기준으로는 소형 [[현대 카운티]] 3대로 굴리고 있다.[* 예비 차량 포함 시 총 4대] 운행 경로만 놓고 보면 충분히 중형차량으로 운행해도 무방하나 평시 수요가 저조하여 소형 현대 카운티로 운행중에 있다. 과거에는 BF105 차량도 있었으며 유일하게 BF105 차량에 2기 구도색(2000년 제정의 빨강, 파랑 도색)으로 재도색을 하기도 했다. [[구덕로]]를 따라 운행하는 [[부산 버스 서구5|서구5번]]과는 달리 동대신교차로까지 [[보수대로]]를 따라 운행하여 동신초교랑 서여고, 동대시장을 경유하여 순환 [[회차]]한다. 특히 동대시장 정류장의 경우 [[부산 버스 1000|1000번]] 급행버스랑 유이하게 경유하는 정류장이기에[* [[부산 버스 167|167번]]은 동서대 방면 편도 경유이며 [[부산 버스 1001|1001번]]은 동대시장 정류장에 미정차한다.] 고정 수요가 존재한다. 여담으로 부산 마을버스 구도색 현대 에어로타운이 있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해당 차량은 현재 카운티 뉴 브리즈로 대차되었다.] 일각에서는 꽃마을 종점에서 [[엄광산로]]를 따라 대신골프프라자 부근까지 소폭 연장해달라는 요구가 올라오고 있으나 [[엄광산로]]가 주말과 공휴일에 차량 통행이 많고 회차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서구1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대영로|{{{#353535,#eee '''대영로'''}}}]] || || {{{-2 서대신역 ▼}}}||{{{-2 ▲ 부산은행}}} || || [[망양로(부산)|{{{#353535,#eee '''망양로'''}}}]]||[[보수대로|{{{#353535,#eee '''보수대로'''}}}]] || || {{{-2 경성전자고등학교 ▼}}}||{{{-2 ▲ 구덕야구장}}} || ||<|2> [[꽃마을로(부산)|{{{#353535,#eee '''꽃마을로'''}}}]]||[[대신로(부산)|{{{#353535,#eee '''대신로'''}}}]] || ||{{{-2 ▲}}} || ||<-2> [[꽃마을로(부산)|{{{#353535,#eee '''꽃마을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서대신역]], [[동대신역]] [[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분류:1980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