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동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지사1603.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동래5번}}} || ||<-2> 기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달북마을) ||<-2> 종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동래역) || ||<|2> 종점[br]행 || 첫차 || 06:15 ||<|2> 기점[br]행 || 첫차 || 06:30 || || 막차 || 23:10 || 막차 || 23:35 || ||<-2> 배차간격 ||<-4> 8분 || ||<-2> 운수사명 || [[지사버스]] ||<-2> 인가대수 || 6대 || ||<-2> 노선 ||<-4> (삼정그린코아아파트)[* 삼정그린코아 입구까지 운행하고 회차하며, 다음 정류장인 달북마을에서 잠시 휴식 후 동래역 방면으로 출발한다. 참고로 이 정류장의 실제이름은 '''화신대륙동부서전삼정'''이다.] - 달북마을 - [[온천중학교]] - 달북초등학교 - 사직2동주민센터 - 사직시장 - 금강초등학교 - 백제약국 - 금정시장 → 대우아파트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1번출구 → [[부산중앙여자고등학교|중앙여자고등학교]] → 동래역2번출구 → 대동병원 → [[부산내성중학교|내성중학교]] → 금정시장 → 이후 역순 || == 개요 == 부산시 마을버스 노선 중 하나. [[http://naver.me/5B93rRzG|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달북마을 아파트들이 입주하면서 개통 하였다. * 원래는 신아교통 소속 노선이었지만 지사버스으로 분리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 2021년 2월 19일, 신라버스로부터 차량 1대를 양도받아서 6대로 증차되었다. == 특징 == * 동래구 마을버스 노선들 중에서 운송수입금/이용량으로 1위를 하고 있는 마을버스 노선이자 부산 마을버스 전체도 꾸준히 상위권에 랭크되고 있는 노선이다. 그 비결로 학교와 시장 등지를 많이 지나다니면서도 노선에 [[굴곡 노선/버스|군더더기]]가 없다는 특성이 지니고 있다. 지사버스를 먹여살리고 있고, 달북마을, 사직북로 연선지역에서도 절대 없어서는 안될노선이다. *하루이용객이 3000명 이상이다. * 이 노선은 [[쇠미로]] 북부(달북마을, 온천중학교)과 중부(달북초등학교) 구간을 담당하고 있으며, 쇠미로 중간지점에 위치한 사직동일아파트, 사직초등학교, 달북초등학교[* 다만 달북초등학교 정류장 위치는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고 있다.] 구간은 동래8번과 함께 공유하고 있으나 이 노선은 [[부산 버스 동래8|동래8번]]의 상위호환에 놓여있다. * [[온천중학교]] 위쪽에 위치한 달북마을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달북마을 구간은 온천동삼정그린코아, 화신동영, 동부현대 등 여러 아파트 단지들이 밀집하여 있지만 경사가 급해 걸어서 올라가기 힘든 곳이라[* 화신동영은 내리막 구간도 있고해서 그나마 버틸수 있지만 삼정, 동부현대, 코리아나 등 그 위의 아파트들은 거의 고난의 산악행군 수준으로 힘들다. --그럴 일은 잘 없겠지만-- 이 곳을 처음 방문한다면 괜히 교통비 아낀다고 고생하지말고 마을버스를 마음껏 이용해주자.][* 실제로 2004년에 달북마을에서 사고가 났다. 자세한 건 아래 항목 참조] 상술했듯이 절대로 없어서는 안 될 노선이다. * 전체적으로 굴곡이 적고 구간수요가 상당히 많다. 여기에 배차간격까지 훌륭해서 달북마을 외에도 온천3동/사직1~3동에서도 인기가 상당히 많으며 특히 달북마을 인근에 온천중학교까지 있어, 통학수요도 많다. 게다가 이 노선은 '''[[사직북로]] 연선지역에서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을 최단거리로 이어준다.'''[* 이 구간은 [[국제여객]] 노선들이 오래 전부터 경유해오고 있다. 사직북로 연선지역에서 동래역으로 이어지는 다른 노선으로 [[부산 버스 46|46번]]과 [[부산 버스 210|210번]]이 존재하지만 두 노선 모두 사직운동장과 사직역을 경유하기때문에 이 노선보다 소요시간이 길다. 더군다나 210번의 경우에는 동래롯데백화점으로 더 돌아간다.] 그리고 사직3동에 있는 동래대우아파트 및 금정시장에서도 [[부산 버스 동래8|동래8번]]보다 배차간격이 좋아서 이 노선을 더 많이 선호하고 있다. 덕분에 동래구 마을버스 안에서는 물론, 부산 마을버스 노선 전체에서도 대당 운송수익이 상위권이다. * 버스 전면에는 종점이 달북마을로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달북마을 위의 온천삼정그린코아아파트 입구까지 운행하고 회차하여 달북마을 정류장에서 휴식 후[* 이런 운행방식을 고수하는 이유는 달북마을 정류장 인근 화신동영아파트 상가 주차장 바로 아래에 전용 차고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시 동래역 방향으로 출발한다. * 지사버스는 [[부산 버스 강서7-2|강서구]] 쪽 노선도 보유중이며 운행하고 있다. 본래 동래5번은 [[쇠미로]] 쪽 교통을 담당하는 [[부산 버스 동래8|동래8번]]과 함께 신아교통 소속이었지만 신아교통에서 계열사로 지사버스을 세우고 동래 5번을 지사버스 명의로 돌려 현재에 이른 것이다. 참고로 지사버스의 대표이사는 신아교통 대표이사의 친동생이다. === 차종 === 2003~2004년도까지만해도 에어로타운과 코스모스가 주력차종으로 운행되었는데 현재는 전차량 카운티로만 운행되고 있다. 이 노선의 수요로만 놓고본다면 중형차량으로 운행해도 충분하지만,[* 자사노선 [[부산 버스 강서7-2|강서7-2번]]의 경우에는 그린시티 2대를 보유하고 있다.] 후술할 사건사고때문에 소형차량으로 전향한 것으로 추정된다.[* 쇠미로 북측(쇠미로 129번길 연선)로 올라가는 길이 좁고 경사가 심히 가파르기 때문에 전장이 길고 중량이 무거운 중형버스가 다니기에는 자칫 위험해서 카운티로 운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장 2000년대 초에 공사차량이 이 길에서 브레이크가 고장나는 바람에 달북초 앞 삼거리의 건물을 들이받는 사고가 있었고 급기야 2004년도에는 후술하겠지만 이 노선까지 사고가 났었다.] 2012년 기준으로는 수요대비 차량상태가 영 좋지가 못했으며 일부 차량들은 소음이 심해 타고 갈 때 불편했으나 2016년 기준으로 상태가 심각했던 차량들은 다행히도 모두 신차로 대차되었다.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동래5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온천천로|{{{#353535,#eee '''온천천로'''}}}]] || || {{{-2 메가마트,대동병원 ▼}}}||{{{-2 ▲ 중앙여자고등학교}}} || || [[충렬대로|{{{#353535,#eee '''충렬대로181번길'''}}}]]||[[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동래역(내성교차로) ▼}}}||{{{-2 ▲ 동래역1번출구}}} || ||<-2> [[충렬대로|{{{#353535,#eee '''충렬대로'''}}}]] || || {{{-2 내성중학교 ▼}}}||{{{-2 ▲}}} || ||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충렬대로|{{{#353535,#eee '''충렬대로140번길'''}}}]] || || {{{-2 다이소동래역점 ▼}}}||{{{-2 ▲ 대우아파트}}} || ||<-2> [[여고북로|{{{#353535,#eee '''여고북로'''}}}]] || || {{{-2 금강초등학교 ▼}}}||{{{-2 ▲ 금강초등학교앞교차로}}} || ||<-2> [[아시아드대로|{{{#353535,#eee '''아시아드대로195번길'''}}}]] || || {{{-2 사직시장 ▼}}}||{{{-2 ▲ 금강초등학교}}} || ||<-2> [[석사북로|{{{#353535,#eee '''석사북로'''}}}]] || || {{{-2 삼익아파트후문 ▼}}}||{{{-2 ▲ 삼익아파트정문}}} || ||<-2> [[사직북로|{{{#353535,#eee '''사직북로'''}}}]] || || {{{-2 동일아파트 ▼}}}||{{{-2 ▲ 사직2동주민센터}}} || ||<-2> [[쇠미로|{{{#353535,#eee '''쇠미로'''}}}]] || || {{{-2 온천중학교 ▼}}}||{{{-2 ▲ 달북초등학교}}} || ||<-2> [[쇠미로|{{{#353535,#eee '''쇠미로129번길'''}}}]]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사건사고 == [[2004년]] 7월 7일, 달북마을을 출발하여 동래역으로 가던 버스가 [[온천중학교]] - [[달북초등학교]] 사이 경사로 구간에서 빗길에 미끄러져 전신주 2개를 연달아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버스기사가 중태에 빠지고 승객 등 20여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04/nwdesk/article/1950612_30775.html|#]] == 여담 == 이노선의 시작은 화신동영아파트 셔틀버스를 없애는 대신 신설되었다고 한다. 2017년쯤 달북마을 다음 정류장인 화신대륙동부정류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화신동영아파트 주민이 이노선 우리가 신설하게 해줬는데 화신동영아파트는 왜 안내방송에 안나오냐는 불만이 많았기 때문이다. 결국 안내방송을 화신대륙동부정류장으로 바꾸었다.) [[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