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EB%B6%80%EB%AF%BC%EA%B4%80_%ED%8F%AD%ED%8C%8C_%EC%9D%98%EA%B1%B0_3%EC%9D%B8.jpg]] [br] 부민관 폭탄의거 사건의 주역 3인방.[br] 왼쪽부터 강윤국, 조문기, 유만수 순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5년]] [[7월 24일]] [[경성부]] [[부민관]][* 현 [[서울특별시의회]] 의사당.]에서 폭탄이 터진 사건이자 [[일제강점기]]의 사실상 마지막 의거. == 과정 == 1945년 6월 [[정치깡패]] [[박춘금]]이 '대의당'을 조직하여 당수에 취임했고 [[7월 24일]] 경성 부민관에서 대의당 주최로 '아시아 민족 분격대회'를 대대적으로 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에 이르러 승기는 거의 [[연합군]]으로 넘어갔지만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눈앞으로 다가온 [[일본 제국]]의 패배를 부인하고 국민들을 선동하여 전쟁터로 몰아넣을 심산으로 개최한 행사였다. 이날 행사에는 조선 [[총독]] [[아베 노부유키]], 조선군 사령관 이타가키 세이시로(板垣征四郎)를 비롯한 고위 관료와 [[장성급 장교|장성]],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다수 참석했으며 [[일본 제국]]의 괴뢰 정권인 난징정부와 [[만주국]]의 대표 등도 연사로 참여했다. 이때 유만수, 강윤국, [[조문기]]는 서울 관수동의 유지사 집에서 독립결사체인 대한애국청년당을 결성하고 연장자인 유지사를 의장에 추대했다. 세 지사는 이와 함께 친일 거두들이 참석하는 아시아민족분격대회를 무산시킬 것도 결의했다. 이를 위해 유지사는 서울 수색변전소에 잠입해 입수한 다이나마이트로 고향인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부친의 집에서 수 차례 실험을 거쳐 사제시한폭탄 제조에 성공했다. 이후 세 애국지사들은 부민관에 몰래 잠입해 유지사가 연단 밑에, 강의사와 조의사가 각각 복도와 화장실에 준비한 [[다이너마이트]] [[시한폭탄]]을 설치하고 연설 도중 터뜨려 대회를 무산시켜 버렸는데 이를 '부민관 폭탄 의거'라고 한다. 이로 인하여 '아세아 민족해방'이란 주제로 강연하려던 [[박춘금]]의 계획은 무산되었다. 또 이 사건으로 1명이 폭사하고 수십명이 부상을 입었다. 당시 [[조선총독부]]는 이 사건으로 발칵 뒤집혔다. 이 사건의 여파로 [[비밀결사]] 단체였던 대한애국청년당 [[건국동맹]] 등의 정체가 탄로났고 [[건국동맹]]의 주요 간부였던 [[조동호]]가 검거당했으며 광복 후에야 출옥하게 되었다. 그리고 박춘금은 의거의 주역인 유만수 등을 체포하기 위해 직접 사재를 털어 거액의 현상금을 걸었지만 시간은 박춘금과 일제의 편을 들어주지 않았는데 한 달도 안 되어 [[8.15 광복]]이 찾아왔기 때문이다. == 의거인들의 이후 행보 == 이 사건의 주역 3인방은 [[1977년]] 건국포장, 그리고 상당히 늦은 [[1990년]] 건국훈장 4등급(애국장)을 수여받았다. [[1923년]]생인 유만수 의사는 이미 [[1975년]] 향년 51세로 사망했다. 의거 당시 22세였던 그는 [[1959년]]에는 조문기 의사와 [[이승만]] [[암살]] 음모 (조작)사건에 연루되는 등 고초를 겪었으며 분단 정부의 서훈에 부정적이었다고 전한다. 그리고 주역 중 한 사람인 [[조문기]] 의사([[1927년]] [[5월 19일]] ~ [[2008년]] [[2월 5일]], 당시 만 18세)는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으로 활동해 [[친일인명사전]] 발간에 커다란 역할을 하기도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0057704|#]] 강윤국 의사([[1926년]] [[9월 28일]] ~ [[2009년]] [[10월 3일]])는 당시 만 19세로 3명 가운데 가장 오래 생존했다. 향년 만 83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896755|#]] == 각종 매체에서 == 대구 학병 집단탈출 사건과 함께 해방 직전 한반도에서 벌인 [[반일]] 의거이기 때문에 잘 다루어진다. ===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 === [[여명의 눈동자]]에서는 [[OSS]]의 지령을 받은 장하림이 이들과 함께 작전을 꾸민 것으로 나온다. 다만 소설판에서는 실제 인물들과 장하림이 데리고 온 OSS 요원들이 벌인 일로 묘사했고 성공한 후 완전히 자취를 감추지만 드라마판에서는 윤여옥도 참가하고 실제 인물들이 안 나오고 모두 가상의 인원으로 다루고 있으며 현장에서 윤여옥이 생포된다. 그리고 부민관 건물 고증에 대한 평가는 나쁘다. === [[드라마]], [[야인시대]] === [include(틀:야인시대의 사건 사고)] [[야인시대]]에서는 [[김두한(야인시대)|김두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나 하필이면 김두한이 담당하던 공사현장에서 유출된 폭약이 사건에 쓰이는 바람에 김두한이 잡혀들어가 [[미와 와사부로(야인시대)|미와 경부]]에게 고문을 당하게 된다. 상황을 정확히 서술하자면 어느 날 수색 공사현장에서 노동자 몇 명이 일본인 감독관들에게 폭탄으로 물고기를 잡으려고 하니 다이너마이트 몇 개를 달라고 떼를 쓰는 일이 벌어진다. 이를 지나가다 본 김두한은 부하들의 반대[* [[김영태(야인시대)|김영태]], [[정진영(야인시대)|정진영]]은 물론 말단인 [[김삼수|삼수]]마저도 반대했다.]에도 불구하고 그 노동자들에게 폭탄을 건네주었고, 결국 그 다이너마이트들은 부민관 폭탄의거에 사용된다. 이 때 김두한은 [[나석주]] 의사의 의거를 언급하긴 했지만 그 노동자들이 독립운동가였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기보다는 그냥 그 폭탄이 독립운동에 쓰였으면 좋겠다는 식의 언급에 가깝다. 이들이 정말로 독립운동에 쓰려 한다면 어떻게든 구해서 줘야 한다고 덧붙인 건 덤이다. 부민관 폭탄 의거가 일어나자 감명받은 김두한은 자신도 의거를 하고자 계획을 짜기 시작했으나 미와 경부가 김두한을 잡아가면서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여담으로 의거의 당사자인 조문기는 드라마를 보고 '''크게 분노'''한 것으로 전해진다. 자신들이 힘들게 구한 폭탄을 드라마에서는 물고기를 잡는데 쓰겠다며 김두한으로부터 쉽게 구하는 식으로 각색되었기 때문이다. 야인시대에서 수없이 반복된 숟가락 얹기식 에피소드가 악질적으로 발현된 사례 중 하나다. 자세한 내용은 [[야인시대/비판/역사왜곡 및 옥에 티]] 항목 참조. === 기타 매체에서 === 강준식의 "적과 동지" 에서는 이전에 [[성고문]]...으로 음모를 알아내지만 결국 [[일본 제국 경찰]]이 막지 못한 걸로 묘사되었다. [[2016년]] [[4월 9일]] 9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 한국사 과목에서 의열단 문제와 관련하여 선택지문으로 출제되었으며 심지어 정답으로 출제되어 많은 수험생들을 공포와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분류:민족 말살 통치기/사건사고]][[분류:1945년/사건사고]][[분류:한국의 독립운동/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