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0,#eee {{{+2 '''부루샤스키어'''}}}[br]'''{{{-1 بروشسکی}}}'''[br]{{{-2 Burshaski}}}}}} || ||<-2> '''문자''' ||[[아랍 문자]], [[로마자]] || ||<-2> '''주요 사용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br]└[[잠무 카슈미르(연방 직할지)|[[파일:잠무 카슈미르.png|width=25]] 잠무 카슈미르 연방 직할지]][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br]└[[길기트 발티스탄|[[파일:길기트 발티스탄 주기.png|width=25]] 길기트 발티스탄 주]] || ||<-2> '''원어민''' ||약 11만 2천 명[* 2016년 조사] || ||<-2> '''계통''' ||[[고립어(비교언어학)|고립어]] || ||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000,#eee '''ISO'''}}}]] '''639-3''' ||bsk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루샤스키어는 [[카슈미르]]의 산악지대에 거주하는 민족인 [[부루쇼인]][* 세계적인 장수마을로 유명한 장수마을인 [[훈자]]의 주민들이 바로 이들이다.]이 사용하는 언어다. 주변 지역의 영향으로 인해 [[우르두어]] 및 [[발티어]][*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16세기 경에 [[카슈미르]]로 이주한 [[티베트]]계 [[무슬림]]들인 [[발티인]]이 사용하는 언어다.], [[하자라어]] 등에서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통상적으로 부루샤스키어를 표기하는데 쓰이는 문자는 [[아랍 문자]]인데, [[언어학|언어학자]]들은 [[논문]]이나 기타 학술 자료에서 [[로마자]]를 이용해 표기한다. 딱히 규범화된 문어는 없으나, 가까운 [[티베트]] 측에서 부루샤스키어에 대해 언급한 사료에 의하면, 이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인 부루쇼인들이 [[이슬람|이슬람교]]를 받아들이기 전만 해도 [[티베트 문자]]를 이용해서 표기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언어학자들은 부루샤스키어에 정형화된 문어가 존재하던 시기가 있었다고 추정하지만, 이를 입증할 물증이 부족하다. == 분류 == 주류 [[언어학|언어학계]]는 부루샤스키어를 [[고립어(비교언어학)|고립어]]로 분류한다. 하지만, 이 언어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다른 언어들과의 비교 분석이 꾸준히 제기되어왔고, 이에 따라 여러 언어군과의 친연 관계가 제안되어왔다. 우선 가장 많이 거론되는 가설은 [[예니세이어족]]과 동계라는 설이다. 이에 대해, 예니세이어족이 [[북아메리카]]에서 쓰이는 언어군인 나데네어족[* 달리, 애서배스카-에야크-틀링깃어족이라고도 하는데, [[나바호어]]가 바로 이 [[어족]]에 속한다.]과 동계라는 가설인 [[데네예니세이어족]]이 제안되면서, 여기에 부루샤스키어와 [[카르트벨리어족]], [[북캅카스어족]]을 끼워넣어서 확장한 가설인 데네캅카스어족이 제안되었으나, 주류 언어학계는 전자는 몰라도 후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 가설에서 나데네어족을 배제하고, 예니세이어족과 부루샤스키어로만 구성된 가설 상의 [[어족]]인 카라수크어족이 제안된 바 있다. 혹여는 [[인도유럽조어]]로 [[사과]]를 *h₂ébōl[* [[독일어]] Apfel, [[영어]] [[애플|apple(애플)]]의 어원이다.]이라고 하는데, 부루샤스키어에서 사과나 [[사과나무]]를 báalt라고 한다는 점에서, [[인도유럽어족]]에 속해있을 가능성이 제안되기도 했고, [[북캅카스어족]]과 동계라는 설이 제안되기도 했다. == 하위 방언 == 부루샤스키어는 훈자 방언과 나가르 방언, 야신 방언의 3개의 방언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방언 화자들 간에 상호 이해도는 다소 낮은 편이나, 서로 간의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이 중에서 야신 방언이 외부 언어로부터의 영향이 가장 적으며, 화자 수는 훈자 방언이 가장 많다. [[분류:개별 언어]][[분류:고립어(비교언어학)]][[분류:인도의 언어]][[분류:파키스탄의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