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순우리말]][[분류:견과류]] [목차] == 개요 == 부럼은 [[정월 대보름]] 때 이로 깨물어 먹는 [[호두]], [[땅콩]], [[잣]]이나 [[밤(열매)|밤]]같은 견과류들을 이르는 말이다. 이같은 행위를 하던 까닭은 부럼이 과거 [[종기|부스럼]]이 한 해 간 나지 않기를 바라며 하던 행위였기 때문이다. 또한 '부스럼'과 '부럼'이라는 각 단어의 형태가 서로 유사한 까닭은 본래 두 단어가 중세 국어 시기 '브ᇫ다(→ 붓다)'로부터 파생된 단어, '브ᅀᅳ름'에서 각각 분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부스럼을 막기 위해 부럼을 먹는다는 의미는 후대에 생긴 것이고 더 과거에는 단단한 음식[* [[동국세시기]](1849)에 따르면 과거 [[의주]]에서는 젊은 남녀들이 새벽에 [[엿]]을 먹음으로써 이가 단련되기를 기원했다고 한다.]을 이로 씹으며 치아를 단련코자 하는 주술적 의미를 가졌으나, 이것이 한 해의 부스럼을 막기 위한 행위로 조선시대 경에 의미가 변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