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편제단위)] [목차] == 개요 == {{{+1 副大隊長, battalion executive officer}}} [[대대장]] 밑에서 지휘를 보좌하고, 유사시 대대를 대리 지휘하는 [[부지휘관]]. == 상세 == 전시 및 적습에 노출된 최전방 부대에서는 상시편제 보직이나 그 외의 부대에서는 완편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대대 같은 경우엔 대위인 참모 등 대대장을 보좌할 다른 장교들이 많고 [[사단(군사)|사단]]이나 [[여단]]급 부대에 비해 규모가 작고 숫자가 많아서 일일이 부대대장을 보임하면 [[소령]]의 소요가 늘기 때문이다. 부대대장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정작과장이나 운영과장, [[작전참모|작전과장]] 등 소령급의 참모가 부대대장의 역할을 수행한다. 혹은 대대 내의 중대장[* 본부중대장 제외. 대대급의 본부중대장은 중위보직이다]이나 짬 대위들이 돌아가며 부대대장을 겸직하기도 한다. [[예비군]] 편제에는 남아있는 보직인데 주로 [[예비역]] [[소령]]이 들어가는 게 원칙이지만 인원이 부족할 경우 예비역 [[중위]]까지도 가능하다. 단, 부대대장은 무조건 [[장교]]보직이기 때문에 [[부중대장]]과는 달리 예비역 [[부사관]]은 못하며 장교가 아무도 없으면 공석으로 놔둔다. 보통 [[예비군]] 훈련 입소나 퇴소를 할 때 입소자 대표로서 선서를 하는 인원이 있다면 그 인원은 100% [[예비역]] [[장교]]이며 보직은 부대대장 확정이다. 현재는 병력수 감축과 과학화 초소 설치등으로 GOP를 직접 맡는 대대급들조차도 부대대장을 상시보임하지 않고 있다. 과거 부대대장이 상시 보임되던 시절에는 보통은 [[중령]] 진급을 앞둔 [[소령]]이 맡아서 대대장 임무에 대한 준비를 하러 오는 경우가 많았으며 가끔 대대장보다 윗 기수인 [[소령]]이 부임하는 경우가 있었다. [* 즉 진급이 밀려서 마지막으로 맡은 임무인지라 본인이 나서 봐야 대대장에게 부담만 된다는걸 알고 부대대장실에 틀어박혀서 조용히 전역날만 기다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게다가 소령으로 전역한다는 것은 아직 한창 가족들을 부양해야 할 40대의 나이에 군경력 외에는 별 경력도 없이 사회로 내몰려진다는 뜻인지라 당장의 군생활 따위보다 전역 후의 미래설계에 관심사가 훨씬 쏠릴수밖에 없다.] 반면 [[JSA 경비대대]]의 경우 장교 및 부사관 전 직위가 요직이고 부대대장도 그 예외가 아니라서, JSA 경비 부대대장 출신 중 장군 진급까지 한 인원[* [[최병혁]] 대장, [[박후성]] 중장]까지 있는 등 상당한 요직으로 취급받는다.[* 사실 요직 취급이 아니라 그냥 대놓고 요직이다. 육사출신에 해당기수 선두주자급이 심사 후 보임된다. 2017년 당시 부대대장이던 최모 소령의 경우 육사출신에 임관시 합참의장상 수상, 합동대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기수 선두주자급.] [[분류:부지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