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하천)] [include(틀:한강의 지류)] [목차] {{{+1 奉元川 Bongwon-Cheon}}} == 개요 == [[서울시]] [[서대문구]] [[봉원동]] 안산 일대에서 발원하여 [[마포구]]를 거쳐 [[서강대교]]에서 [[한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 상세 == 봉원천이라는 이름은 발원지 인근에 위치한 [[봉원사]]라는 절 이름에서 따왔다. 봉원사는 [[통일신라]] [[진성여왕]]대에 [[도선대사]]가 세운 천년고찰이며, [[태고종]] 총본산인 네임드급 절이라 나름 뿌리깊은 이름이다. 또 다른 이름으로는 '''창천'''이 있는데, 서대문구 [[창천동]]의 '''창천'''이 바로 봉원천을 의미한다. 실제로 창천동 명물거리를 따라서 복개된 봉원천이 흐른다. 현재는 최상류 구간을 제외하고 [[복개천|복개]]되어있다. [[연세대학교]] 동문 인근 봉원소공원에 가면 복개가 풀리는 봉원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놀이터 한 켠에 복개되는 하천이 자리잡고 있어 상당히 특이한 모습이다. [[https://opengov.seoul.go.kr/photoarchives/view/?nid=7421901|복개 당시 봉원천의 모습(서울사진아카이브)]] 과거에는 규모가 있는 나름 큰 하천이었으나, 복개 이후로는 사실상 건천화되어 미복개 구간에는 비가 오지 않는 이상 물이 잘 흐르지 않는다.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이 저지대인 마포구의 홍수 대비 및 수량 조절을 목적으로 이 하천과 [[아현천]] 사이에 [[선통물천]]이라는 인공수로터널을 만들었다. [[서울 버스 7024]]가 이 하천의 최상류 지점까지 운행한다. 하천 길이가 짧고, 전구간 도로이기 때문에 신촌로터리 아래부터는 [[마포구]]를 중심으로 복원 떡밥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복원되기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마포구의 국회의원 선거구 [[마포구 갑]]과 [[마포구 을]]의 경계가 바로 옛 봉원천을 따라 나 있다. 그러나 마포구 을의 인구가 마포구 갑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서강동]]이 마포구 갑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된다면 더 이상 마포구 갑, 을 선거구의 경계는 봉원천이 아니게 된다. == 흔적들 ==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사이의 [[성산로(서울)|성산로]]를 따라 세워진 고가도로 이름이 봉원고가도로인데, 상기한 봉원사와 이 하천에서 따온 이름이다. [[신촌역(경의선)]]옆의 [[그래피티]]로 가득찬 굴다리는 사실 과거 봉원천이 [[경의선]]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만든 터널이다. 터널 바닥에 뚫린 구멍 안쪽으로 흐르는 봉원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광흥창역]] 인근에는 8차선 도로인 [[서강로]] 바로 옆에 6차선 도로인 창전로가 있어 도로 선형이 특이한데, 창전로는 과거 봉원천이 흘렀던 유로를 따라 만들어진 도로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사례로 [[사당역]] 근처 [[동작대로]] 옆에 넓찍한 [[방배천로]]가 존재하는 [[방배천]]의 사례가 있다.] [[서강대교]] 북단 아래에는 봉원천이 한강과 합류하는 지점이 존재하며, 자전거도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그러나 사실상 [[빗물펌프장]]을 거치고, 하수와 하천물이 분리되지 않은 채 전부 난지물재생센터로 이송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봉원천 물이 한강에 풀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영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iDxvCOZLBDM)] 이 하천의 복개구간을 직접 들어가서 탐험한 외국인 용자가 있다. 사람이 들어가기 어려운 상류 복개부의 특성상 신촌 명물거리까지만 진행하였으나, 추가적으로 최상류 부분을 답사하는 등 봉원천에 대한 사실상 거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분류:서울특별시의 하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