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검찰청 차장검사)]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include(틀:역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 ---- ||<-2> '''{{{#fff 대한민국 제49대 대검찰청 차장검사[br]{{{+1 봉욱}}} [br] 奉旭 | Bong Woo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봉욱차장.jpg|width=100%]]}}} || ||<|2> '''출생''' ||<(> [[1965년]] [[7월 24일]] || ||<(> [[서울특별시]] [[종로구]] || || '''학력''' ||<(> [[여의도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가족''' ||<(> 장인 예상해[* [[인천지방법원]] 부장판사와 인천지방변호사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는데, 그 중에 봉욱은 셋째사위이다. 또한 처형 예지희도 연수원 22기 출신의 판사이다.][br]아내 예주연, 슬하 1남 1녀 || || '''현직'''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 || '''경력''' ||<(> 제29회 [[사법시험]] 합격[br]제19기 [[사법연수원]] 수료[br]대검찰청 정책기획과장[br][[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1부장[br][[수원지방검찰청 여주지청]]장[br][[대검찰청]] 공안기획관[br][[서울서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br][[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장[br]법무부 인권국장[br][[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기획조정실장[br][[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br]법무부 법무실장[br]사법연수원 운영위원회 위원[br][[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br][[대검찰청 차장검사]] || || '''종교''' ||<(> [[천주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검사(법조인)|검사]] 출신 [[변호사]]. == 생애 == [[1965년]], [[서울]] [[종로구]]에서 [[장기신용은행]]장을 역임한 아버지 봉종현과 어머니 유가매 사이에 1남 1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4살 [[터울]]의 여동생 봉주희는 현재 [[미국]]에서 [[건축가]]로 활동하고 있다. 1984년, 서울 [[여의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진학하여 1988년 학사 졸업하였다.[* 여담으로 부친도 [[서울대학교]] 출신이다.] 법대 4학년 재학 시절이던 1987년에 제29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9기. 연수원 수료 후 검사 생활을 시작하였다. [[대한민국 법무부]] 검찰국 검사, [[대검찰청]] 검찰연구원을 거쳐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첨단범죄수사과장, 대검 기획과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1부장,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등 수사·기획 분야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김대중]] 대통령 시절에는 대통령 [[민정수석]]실에 파견 근무하기도 했다. 서울대 법대 84학번으로서 4학년 때 소년급제하였으며 연수원 19기 내에서도 우수한 성적이었고 검찰에 투신했다는 점에서 [[우병우]]와 자주 비교되었다. 실제로 우병우와 라이벌이었는데, 검사 발령 이후 인사 이동때 마다 항상 우병우보다 더 잘 나갔다. 예를 들어 2008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1부장검사였을 때, 우병우는 같은 서울지검의 금융조세조사2부장검사로 언제나 한 끗발씩 낮은 자리에 있었다. 둘 다 능력이 뛰어난 검사로 불렸지만, 봉욱은 온화한 사람, 우병우는 오만한 사람으로 평가 받았다. 2012년 7월에 검사장 승진 1순위인 [[대한민국 법무부]] 인권국장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2013년 [[검사장]]으로 승진하며 초임 검사장 중 선두 보직인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으로 임명되었다. 2차 보직으로 법무부 법무실장이 되어 정책 기획과 법무·검찰 행정 능력도 검증받았다. 그러나 2015년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임명된 우병우가 검찰을 한손에 장악하면서 3차 보직으로 퇴직 준비하는 검사장이 맡는 [[한직]]인 서울동부지검장으로 밀려났다.[* 일선 지검장이 3차보직이라고 해서 퇴직준비라고 보기엔 어렵다는 견해가 있지만 봉욱 정도의 커리어를 가진 사람이 3차보직으로 검찰국장, 반부패부장 같은 보직을 못 단 것은 사실상 옷 벗을 준비하라는 뜻에 가깝다.] 그러다가 2017년 [[문재인 정권]]이 출범한 이후, 5월 21일에 [[검찰총장]] 대행[* 이 시기에는 법무부 장관도 없었는데(...) 김현웅 장관은 박근혜 정부와 마찰을 빚고 사직했고 김수남 검찰총장은 5월초에 사직했다. 그래서 김주현 대검차장(18기)가 총장대행, 이창재 법무차관(19기)가 장관 대행을 맡던 상황이었다.] 겸 대검차장으로 임명되었다. 고검장 승진을 못한다는 동부지검장 자리에서 살아남아[* 2010년대 들어서 해당 보직은 암울한 보직이었는데 [[석동현]] 검사장은 부하 검사가 피의자와 성관계를 가지는 초유의 사건(...)을 일으키는 바람에 책임을 지고 사직하였고, 석동현 이후에 취임한 한명관, 황윤성, [[송찬엽]] 검사장은 이 보직을 끝으로 옷을 벗었다. 박민표 검사장은 대검 강력부장으로 이동했지만 고검장이 되지는 못했고 봉욱의 뒤를 이어 해당 보직을 맡은 연수원 동기인 [[조희진]] 검사장 역시 고검장 승진에 실패하고 용퇴했다. 조희진의 뒤를 이어서 동부지검장이 된 한찬식도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 수사를 하다가 문재인 정부의 눈밖에 나면서 사직했다. --그러나 이후 지검장이 된 조남관은 법무부 검찰국장을 거쳐서 대검차장이 되었으며, 이어서 지검장이 된 고기영은 임명된지 3개월만에 법무부 차관이 되었다.--] 대검 차장으로 화려하게 서초동에 복귀한 것. 이후 7월 25일 [[문무일]] 검찰총장이 취임할 때까지 검찰총장 대행으로서 전국 검사들을 지휘하였다. 2019년 6월에, 자신보다 아랫 기수인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이 검찰총장으로 지명되자, 사의를 표명했다. 그의 마지막 자필편지. [[http://www.lawlead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8|##]] 2019년 8월, 변호사 개업을 했다. 2021년 5월, 퇴임하는 [[박상옥(법조인)|박상옥]] 대법관 후임으로 [[천대엽]] 서울고법 수석부장판사, [[손봉기]] 대구지법 부장판사와 함께 최종후보에 이름을 올렸었다. 최종적으로 천대엽 판사가 대법관으로 영전하였다. 2022년 10월, 김앤장 법률사무소에 합류했다. [[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182333|#]] == 경력 == * 1987 제29회 사법시험 합격 * 1990 제19기 사법연수원 수료 * 1993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 2003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 2005 대검찰청 첨단범죄수사과장 * 2007 대검찰청 정책기획과장 * 2008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1부장검사 * 2009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 2010 서울서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2012.07 ~ 2013.04 법무부 인권국장 * 2013.04 ~ 2013.12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 2013.12 ~ 2015.02 제19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2015.02 ~ 2015.12 법무부 법무실장 * 2015.12 ~ 2017.05 제16대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2017.05 ~ 2019.06 대검찰청 차장검사 == 여담 == * 국내 검사 최초로 [[예일 대학교]] 로스쿨 방문학자로 연수한 경험을 살려 책을 펴냈다. * 2009년 [[이명박 정부]]에서 대검찰청 공안기획관시 [[전교조]]의 시국선언 관련수사가 과잉수사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다. [[http://www.peoplepower21.org/CaseDB/1082169|#]] 2013년 4월 참여연대에서는 이 건으로 당시 [[황교안]]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에게 인사조치 요청을 전달했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51626|#]] * 2011년 [[서울서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 시절, [[대기업]] 수사를 도맡으면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한화그룹]]의 비자금 관련 비리 사건을 수사해 김승연 한화 회장 등 관계자 11명을 기소했고, 동시기 [[태광그룹/논란 및 사건 사고|태광그룹 사건]]을 수사 지휘하면서 재계 [[모럴해저드]]에 경종을 울렸다. [[분류:1965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하음 봉씨]][[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검사장]][[분류:여의도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