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꽃 이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봉선화)] == 가곡 봉선화 == 작사 김형준, 작곡 [[홍난파]]의 가곡. [[3.1 운동]] 직후에 한민족의 슬픔을 노래했다. 홍난파의 향후 행보를 생각해 보면 역설적이다. 아무튼 작곡 당시엔 묻혔다가 40년대 재발표되면서 유명해졌다. [[임권택]] 감독의 영화 [[장군의 아들]]에서 우미관 패거리들이 '''인기가요'''로 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여순사건]] 당시 처형당했던 사람들이 이 노래를 불렀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는 이 노래를 부르면 기묘한 시선으로 보는 시절도 있었다고 한다. >울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필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 >어언간에 여름가고 가을바람 솔솔불어 >아름다운 꽃송이를 모질게도 침노하니 >낙화로다 늙어졌다 네 모양이 처량하다 > >북풍한설 찬바람에 네 형체가 없어져도 >평화로운 꿈을 꾸는 너의 혼은 예있으니 >화창스런 봄바람에 환생키를 바라노라 [[쟁반노래방]] 99회([[2003년]] [[10월 2일]]. [[윤도현]], [[이정현(멀티 엔터테이너)|이정현]], [[김C]] 방영분)에도 나왔다. 방송에는 봉선화가 아니라 '봉숭아'로 나왔으며 1, 2절로 등장했다. 난도가 매우 어려운데다, 김C의 연이은 실수로 4, 5번 [[신동엽]], 이정현은 8번째 시도가 되어서야 간신히 [[노래]]를 불렀으나, 찬스를 모두 잘 뽑아서 마지막 시도에서 극적으로 성공했다. == [[오키나와]] [[민요]] 봉선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てぃんさぐぬ花)] [[오키나와]]의 [[민요]] 틴사구누하나([[てぃんさぐぬ花]])는 봉선화라는 뜻이다. == 소설 봉선화 == [[이해조]] 著 [[신소설]]. [[1912년]] [[7월 7일]]부터 [[11월 29일]]까지 『매일신보』에 상·하편으로 나뉘어 115회 연재. 1913년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단행본으로 간행. 고부갈등이 소재인 신파조의 작품이다. == 이른바 [[졸라맨]] 그림을 일컫는 한자어 표현 == {{{+1 棒線畵}}}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틱맨)] == MBC 드라마 [[두 번째 남편]]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봉선화(두 번째 남편))]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기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백열각, 문단=2.3)] == [[태풍]]의 이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봉선화(태풍))] == [[나루토]]의 등장 술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봉선화의 술)] == [[KBS 2TV]] 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봉선화(드라마))]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봉선화, version=113)] [[분류:1920년 작품]][[분류:가곡]][[분류:홍난파]][[분류:1912년 소설]][[분류:신소설]][[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