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절]] [include(틀:다른 뜻1, from=봉국사(성남), other1=중국의 사찰, rd1=봉국사, other2=서울의 사찰, rd2=봉국사(서울))] ---- [include(틀:능침사찰)] ---- ||<-2>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width=22]] '''[[조계종|{{{#000 대한불교조계종}}}]]''' || ||<-2> '''{{{+1 봉국사}}}'''[br] 奉國寺 | bongguksa || || '''설립일''' ||고려 현종 19년(1028년) || || '''소속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주지 스님''' ||혜일(慧日) || ||<|2> '''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로79, 높이=200px, 너비=100%)]}}} ||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로79 || || '''외부 링크''' || [[http://www.bongguksa.or.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奉國寺}}} [[경기도]] [[성남시]][* 성남시가 출범하기 전에는 경기도 광주군에 속했다.]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행정구역상 주소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로79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 소속 [[조계사]]의 말사이다. [[고려]] [[현종(고려)|현종]] 19년([[1028년]]) 법현 선사가 처음 창건하였고, 그 뒤 조선 [[태조(조선)|태조]] 4년([[1395년]]) 왕명에 의해 담화(曇華)가 중수하였다. 사찰 뒤편의 산은 영장산이라고 해서 '영장산 봉국사'라고도 한다. [[현종(조선)|현종]](顯宗) 15년([[1673년]]), [[명혜공주|명혜]](明惠)와 [[명선공주|명선]](明善)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공주의 능 인근에 있던[*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이다.] 이 절을 중창하게 하였다. 당시의 역사를 맡은 승려는 [[금강산]]의 일축 존자(日竺尊者)였으며 중창 후 ‘봉국사’라고 명명하였다. 이와 같은 중창 사실은 백곡처능(白谷處能)의 『대각등계집(大覺登階集)』에 잘 기록되어 있다. 이후 봉국사는 명혜공주와 명선공주의 명복을 비는 원찰이 되어 해마다 두 공주를 위해 봄, 가을로 재를 올렸으나, 일제강점기인 [[1936년]] 2월에 공주의 묘가 지금의 [[서삼릉]]으로 이장되면서 재는 중단되었다. [[1924년]] 두창(斗昌)이 중수하였고, [[1932년]]에 주지 [[춘성(승려)|춘성]](春城)이 서울 [[삼청동]]에 이 절의 부속 암자를 만들었다. 그 뒤 [[1958년]]에는 법운(法雲)이 중수하였고, [[1967년]]에는 혜성(慧星)이 삼성각을 신축하였으며 [[1969년]] 4월에는 요사채를 신축하였다. 2017년부터는 주지 혜일(慧日)이 휴휴당, 미타전, 안양루, 종각불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