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봇치 더 록!)] ||<-2>
{{{#fff100,#fff100 '''{{{+1 봇치 더 록!}}}'''[br]ぼっち・ざ・ろっく![br]''BOCCHI THE RO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봇치 더 록!.png|width=100%]]}}} || || '''{{{#fff100,#fff100 장르}}}''' ||[[4컷 만화]], [[음악물|음악]], [[일상물|일상]] || || '''{{{#fff100,#fff100 작가}}}''' ||[[하마지 아키]] || || '''{{{#fff100,#fff100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호분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fff100,#fff100 연재처}}}''' ||[[망가타임 키라라 MAX]] || || '''{{{#fff100,#fff100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망가타임 KR 코믹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 스페셜 코믹스 || || '''{{{#fff100,#fff100 연재 기간}}}''' ||2018년 2월호 ~ 4월호[br]2018년 5월호 ~ 연재 중 || || '''{{{#fff100,#fff100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6권 ,,(2023. 08. 2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5권 ,,(2023. 05. 10.),,[* 2023. 12. '''6권''' 발매 예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4컷 만화]]. 작가는 [[하마지 아키]][* 데뷔작은 스완☆콤플렉스(スワン☆コンプレックス)이며, 여성작가이다. 인터뷰로 얼굴 일부가 공개되었다.[[https://media.comicspace.jp/archives/9592|#]]. 여담이지만 애니메이션 1기 방영 당시에는 민트색 머리를 하고 있었다.][* [[외톨이 THE ROCK!]] 라디오에 음성메시지 형식으로 출연했는데, 마치 초등학생이 긴장하며 발표를 하듯 기계적인 톤으로 성우들을 칭찬하며 커뮤증 인간의 전형을 보여주다가, 마지막에 [[갭 모에|헬륨을 빤듯한 목소리]]로 "힘내라!"(頑張れ!) 라고 끝을내 성우 전원을 폭소--격침--시켰다.[[https://www.youtube.com/watch?v=OURAWlWN7OE|영상]]]. [[망가타임 키라라 MAX]]에서 2018년 2월호부터 4월호까지 게스트 연재 후, 같은 해 5월호부터 정식연재 중이다. 현지 팬들에게는 약칭인 '보자로(ぼざろ)'[* 원어 표기 [ruby(ぼっち,ruby=봇치)]・[ruby(ざ,ruby=자)]・[ruby(ろっく!, ruby=록쿠!)] 에서 ぼ, ざ, ろ 한글자씩 딴 것이다.][* 한국에선 정식 연재명인 봇치더록, 혹은 봇치록으로 줄여서 부르거나 봇치더락이라고도 부른다. 만화 커뮤니티에선 그냥 '봇치'로도 통한다. 물론 시의성이 강한 명칭이고 [[봇치]]는 일본에서 [[아싸]]를 가리키는 일반명사에 가깝기 때문에 세월이 지나면 잘 통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로 흔히 불린다. 2019년 제5회 [[차세대 만화대상]] 만화 부문 8위에 입상했는데, 키라라 작품들 중 본 대상 첫 입상작이라는 의의가 있다.[* [[https://vtuberstart.com/tsuginikurumanga/]]] == 줄거리 == >'''"혼자라면 ROCK을 해라!!!!"''' > >'[[외톨이|봇치]]' [[고토 히토리]]는 대인관계가 극도로 서투른 소녀. 무대에서 빛나는 밴드 활동을 동경해 기타 연주를 시작했지만, 친구가 없다. 그렇게 혼자서 기타를 연주하며 실력을 키우던 그녀는 자신의 연주 영상을 [[유튜브|인터넷 사이트]]에 투고한다. 그러던 어느 날, '[[결속 밴드]]'에서 드럼을 치는 [[이지치 니지카]]가 먼저 그녀에게 말을 걸고. 그것을 계기로 그녀의 일상이 조금씩 바뀌기 시작하는데...?! == 발매 현황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fff100,#fff100 01권}}}''' ||<-2> '''{{{#01a7ab,#01a7ab 02권}}}''' ||<-2> '''{{{#f12088,#f12088 03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봇치더록01_한국어판.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봇치더록02_한국어판.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봇치더록03_한국어판.jpg|width=100%]]}}} || ||<-2><^|1> {{{#fff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원서 표지 ] [[파일:bozaro01.png|width=100%]]}}}}}}}}} ||<-2><^|1> {{{#01a7ab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원서 표지 ] [[파일:bozaro02.png|width=100%]]}}}}}}}}} ||<-2><^|1> {{{#f12088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원서 표지 ] [[파일:bozaro03.pn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2월 2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2월 2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2월 25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9월 28일'''[* 판권지 표기 발행일은 2022년 09월 3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0월 26일'''[* 판권지 표기 발행일은 2022년 10월 31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28일'''[* 판권지 표기 발행일은 2022년 12월 31일] ||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11월 23일''' || [[파일:e북.svg|width=20]] ||'''2022년 11월 23일''' || [[파일:e북.svg|width=20]] ||'''2023년 02월 24일''' || ||<-6> || ||<-2> '''{{{#e7e724,#e7e724 04권}}}''' ||<-2> '''{{{#50308f 05권}}}''' ||<-2> '''{{{#07a33e 06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봇치더록04_한국어판.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봇치더록05_한국어판.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봇더록 6권.jpg|width=100%]]}}} || ||<-2><^|1> {{{#e7e724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원서 표지 ] [[파일:bozaro04.jpg|width=100%]]}}}}}}}}} ||<-2><^|1> {{{#50308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원서 표지 ] [[파일:bozaro05.jpg|width=100%]]}}}}}}}}} ||<-2><^|1> {{{#07a33e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원서 표지 ] [[파일:봇더록 6권.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08월 2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08월 25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02월 15일'''[* 판권지 표기 발행일은 2023년 1월 31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05월 1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예정''' || || [[파일:e북.svg|width=20]] ||'''2023년 02월 24일''' || [[파일:e북.svg|width=20]] ||'''2023년 05월 19일''' || [[파일:e북.svg|width=20]] ||'''미정''' || }}} 애니화에 따른 원작 판매 시너지가 엄청나 일본에서는 전권 증쇄를 계속하고 있음에도 전국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물량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한다.([[https://twitter.com/mangatimekirara/status/1613835927910232064?cxt=HHwWgMDRjbvOv-UsAAAA|#]]) === 국내 발매 === 애니메이션의 흥행으로 인한 인기몰이로 최신인 5권까지의 발매가 약 8개월이란 짧은기간 안에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다. 전자책의 경우 [[리디]]에서 정발 예정일로부터 약 3주 정도 빠른 2022년 11월 2일부터 1~2권, 2023년 2월 3일부터 3권을 독점 선행 공개하였다. 그러나 국내 정식 번역본에는 일부 치명적인 오역([[https://gall.dcinside.com/bocchi_the_rock/24044|#]], [[http://archive.today/C049g|아카이브]]) 이나 식자 오류([[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59843391?|#]]) 등이 발견돼 많은 비판을 받았다. 초판 발매 기념으로 부속된 포토카드가 정량으로 배분되지 않는 등의 사고 역시 발생했다. == 특징 == 장르는 '''여고생 밴드물'''[* 실제로 밴드물로만 따지자면 좀 어긋나긴 했지만(...) 일본 서브컬쳐 계에서는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가 선구자격으로 존재하며, 여고생 밴드물로는 대선배이자 여고생 밴드물이라는 컨셉을 확립한 [[케이온!]]도 있다. 이후로도 판타지처럼 흔한 수준까진 아니지만 게임으로든 애니로든 잊을 만하면 나오는 꽤나 메이저한 장르다.]이지만, 타 작품들과는 이래저래 차별성이 있다. 전문적인 음악물이나 밴드물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전형적인 키라라 일상물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평이한 네컷 만화를 예상했던 이들에게는 읽어보니 왕도 밴드물이나 성장 드라마에 일상 개그만화를 끼얹은 것에 가까웠더라는 이야기를 듣기도 하는, 여러모로 중간지대적 느낌이 강한 작품. [[망가타임 키라라|같은 출판사]]에서 십수년전에 연재했던 [[케이온!]]이라는 대선배격인 작품이 있다보니 작가 본인도 케이온으로부터 많이 배우면서도 작품으로는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여러모로 노력했다고 한다. 실제로 케이온이 '고등학교 경음악부'로서 활동한 데다가 주인공인 유이가 누구와도 친해질 수 있는 해맑은 성격인 반면, 이 작품은 라이브 하우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인디밴드]]를 소재로 하며 주인공이 심각한 수준의 [[대인기피증]]이며 이를 통한 아싸 드립 및 기행, 자조 등을 하며 벌어지는 개그신도 작품의 핵심 요소중 하나다. 또한 [[케이온!]]이 고등학교 경음악부(밴드부)에 중심을 둔 만큼 주연 외의 등장인물에 대해선 거의 엑스트라 취급하며 주인공 일행에게 대부분 스포트라이트를 돌린 것과 달리, 이 작품은 인디 밴드 활동이라는 테마에 걸맞게 곡 제작이나 영상 투고 등 다양한 활동이 그려지고 별도의 조사 및 자문을 받아 인디 밴드 활동이나 일본 록 업계에 대한 묘사들이 꽤 진지하게 그려지기도 한다. 현지에서 이 작품을 접한 밴드 관련 업계인들이 놀라는 첫 번째 순간이 티켓 판매 할당량이나 음식점의 형태로 운영하는 라이브 하우스에 대한 이야기 등이 대놓고 언급된다는 점이다. 묘사되는 활동의 범위가 다양한 만큼, 그만큼 다양한 인물들이 같이 나와 조화를 이룬다. 거기에 등장인물 하나하나가 개성적으로 나온 만큼 독자 입장에서도 즐길 거리가 많다. 팬시한 그림체를 보면 [[케이온!]]같은 [[미소녀 동물원]] 만화라고 예상하기 쉽고, 아웃사이더 주인공이 좌충우돌하는 암울한 개그를 보면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같은 [[블랙 코미디]]라고 받아들이기 쉽다. 허나 실상은 일본 언더그라운드 씬([[인디 밴드]])들의 현실을 의외로 깊이있게 그린 만화다. 이 만화에는 결속밴드 외에도 여러 인디 밴드들이 등장하며, 모두들 공중파 방송 한 번 못 타본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로 화려한 삶이나 대중적인 인기와는 거리가 멀다. 이들은 항상 돈 걱정을 하며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공연장을 섭외하고 이벤트에 응모하는 등 밴드 운영과 관련된 측면도 세세히 묘사된다. 소위 인디 레이블이라 불리는 영세 음반사의 현실도 자세히 나온다. 이런 부분은 [[외톨이 THE ROCK!]](애니메니션판)에서는 짧게 다루고 넘어가는 데 비해 만화에서는 연주 장면보다 훨씬 많이 나오는 내용이다. 한때 소년 만화 작가를 목표로 삼았던 작가의 배경[* 만화가로서의 꿈 중 하나가 자신의 작품을 애니화하고 [[ASIAN KUNG-FU GENERATION]]에게 타이업을 부탁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 뒤로 소녀 만화를 거쳐 키라라 쪽으로 활동 분야를 옮기게 되는 등 점점 이 목표와 멀어지는가 싶었는데, 이 작품이 애니화도 이뤄지고 마지막화의 엔딩으로 [[転がる岩、君に朝が降る|ASIAN KUNG-FU GENERATION의 명곡]]을 커버하게 되어 감회가 남달랐다는 후문.] 때문인지 관련 패러디 및 오마주가 소소하게 등장하며[* 단행본 1권에서 [[야가미 라이토]]의 카오게이 패러디가 나왔고, 2권에선 [[야무치]]가 재배맨의 자폭에 의해 사망한 그 포즈와 [[모히칸(북두의 권)|세기 말 거한]]들이 나왔다. 이 거한들은 히토리에게 겁 먹고 난 뒤 라이브를 보고 나서는 '''소녀'''팬스럽게 변한다. 결속 밴드 멤버들이 록 페스티벌에 나가려고 할 때는 동료들에게 "고토 '''님'''의 밴드에 투표하라는 압력(?)도 가한다.], 일본 인디 밴드의 오마주도 충실하게 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ASIAN KUNG-FU GENERATION]]에서 이름의 모티브를 따 온 [[결속 밴드]] 멤버를 비롯해 작중 등장하는 주요 뮤지션들의 이름은 실존하는 밴드 멤버들에서 유래했으며, 권두컬러나 일부 에피소드를 제외한 각 화의 표지는 실제 일본 밴드들의 MV의 한 장면을 오마주한 구도를 사용하고 있다. === 각 화의 표지가 오마주한 곡 === 일본 록만을 듣는 히토리의 설정[* 애니메이션 제작 후일담에 따르면 애니메이션에서도 처음엔 애니 제작진들이 해외 밴드 관련 디자인을 먼저 제시했지만 원작자가 "'''히토리는 일본 밴드만 듣는다'''라는 설정을 지키고 싶다."라며 거절했기 때문에 일본 밴드만 모티브로 삼았다고 한다.]과 더불어, 작가 [[하마지 아키]] 본인 역시 일본 밴드 중심 리스너임에 따라 속표지 그림이 오마주한 밴드는 모두 일본 밴드이며, 2022년 연재분까지 같은 밴드가 2회 이상 오마주된 적은 없다. 인터뷰에 따르면 표지 그림으로 선정하는 MV는 단순히 그때 빠져 있는 곡인 경우도 있으나, MV에 해당 화에서 다루는 내용에 어울리는 장면이 있거나 노래의 이미지가 맞는 곡을 주로 선정한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5화는 히토리와 키타가 학교에서 처음 만난다는 내용이기에 계단 위아래로 두 사람이 서 있는 장면이 등장하는 [[프레데릭(밴드)|프레데릭]]의 '[[オドループ|오도루프(オドループ)]]'가 선곡되었으며, SICK HACK의 라이브 씬이 등장하는 17화에서는 SICK HACK의 모델이 된 하치주하치카쇼준레이의 노래가, 히토리네 반의 메이드 카페 운영이 다루어지는 19화에서는 메이드 컨셉 밴드인 [[BAND-MAID]]의 노래가 선곡되었다. 반면 13화 표지로 사용된 후지 패브릭의 젊은이의 모든 것(若者のすべて)은 MV의 비주얼이나 내용보다는 청춘 느낌이 강한 '노래 자체의 이미지'를 통해 선정된 예. * '''1권''' * 01화: 오리지널. * 02화: [[ASIAN KUNG-FU GENERATION]]의 [[リライト|리라이트]] * 03화: [[KANA-BOON]]의 盛者必衰の理、お断り * 04화: 오리지널. * 05화: [[프레데릭(밴드)|프레데릭]]의 [[オドループ|오도루프]] * 06화: [[크리프하이프]]의 イト * 07화: [[UNISON SQUARE GARDEN]]의 [[シュガーソングとビターステップ|슈가 송과 비터 스텝]] * 08화: 오리지널. 캐릭터들 주변에 흩어져있는 앨범은 [[ASIAN KUNG-FU GENERATION]]과 후지 패브릭의 것들. * 09화: [[ヤバイTシャツ屋さん|야바이티셔츠야상]]의 あつまれ! パーティーピーポー * 10화: [[the pillows]]의 Ladybird girl * 11화: [[サカナクション|사카낙션]]의 [[新宝島|신 보물섬]] * 12화: [[폴카닷 스팅레이]]의 シンクロニシカ * 13화: 후지 패브릭(フジファブリック)의 若者のすべて * '''2권''' * 14화: [[유라유라 제국]]의 夜行性の生き物3匹 * 15화: 오리지널. * 16화: [[넘버 걸]]의 NUM-AMI-DABUTZ * 17화: 하치주하치카쇼준레이(八十八ヶ所巡礼)의 仏滅トリシュナー[* 참고로 이 곡의 MV 중후반부에 [[통조림]]이 많이 나오는데, 애니메이션 OP에서 [[히로이 키쿠리]]가 등장하는 파트에 통조림이 슬쩍 나오는 것으로 오마주했다.] * 18화: [[네크라이토키]]의 こんがらがった! * 19화: [[BAND-MAID]]의 DOMINATION * 20화: 표지그림 없음. * 21화: [[여왕벌(밴드)|여왕벌]]의 催眠術 * 22화: [[RADWIMPS]]의 DADA * 23화: [[[Alexandros\]]]의 Waitress, Waitress! * 24화: [[리갈 릴리]]의 トランジスタラジオ *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출장편: [[범프 오브 치킨|BUMP OF CHICKEN]]의 [[天体観測|천체관측]] * '''3권''' * 25화: 오리지널. * 26화: [[BLUE ENCOUNT]]의 バッドパラドックス * 27화: [[도쿄지헨]]의 [[群青日和|군청일화]] * 28화: 오리지널. * 29화: yonige의 センチメンタルシスター * 30화: [[마카로니엔피츠]]의 洗濯機と君とラヂオ * 31화: 큐소네코카미(キュウソネコカミ)의 カワイイだけ * 32화: 아카이코엔(赤い公園)의 消えない * 33화: [[My Hair is Bad]]의 元彼氏として * 34화: [[King Gnu]]의 Flash!!! * 35화: [[THE ORAL CIGARETTES]]의 A-E-U-I * 36화: 오리지널. * 37화: [[게스노키와미오토메]]의 [[猟奇的なキスを私にして|엽기적 키스를 나에게 해줘]] * '''4권''' * 38화: 니가미 17세(ニガミ17才)의 こいつらあいてる * 39화: 오리지널. * 40화: 파스피에(パスピエ)의 MATATABISTEP * 41화: 오리지널, * 42화: [[히토리에]]의 カラノワレモノ[ReREC] * 43화: 오리지널. * 44화: 표지그림 없음. * 45화: [[Cody・Lee(李)]]의 我愛你 * 46화: [[쿠루리]]의 琥珀色の街、上海蟹の朝 * 47화: 요루노혼키댄스(夜の本気ダンス)의 TAKE MY HAND * 48화: Hump Back의 番狂わせ * SIDEROS 번외편: 도미코(ドミコ)의 ペーパーロールスター * '''5권''' * 49화: 오리지널. * 50화: Chilli Beans.의 lemonade * 51화: [[히츠지분가쿠]]의 光るとき * 52화: CRYAMY의 普通 * 53화: [[sumika]]의 ふっかつのじゅもん * 54화: [[the peggies]]의 [[여친, 빌리겠습니다(애니메이션 1기)#주제가|センチメートル]] * 55화: 오리지널. * 니지카 특별편: 표지그림 없음. * '''6권''' * 56화: [[NEE]]의 第一次世界 * 57화: w.o.d.의 Mayday * 58화: 빌리지맨즈스토어(ビレッジマンズストア)의 ビレッジマンズ * 59화: [[오이시쿠루 메론빵]]의 マテリアル * 60화: [[Galileo Galilei]]의 僕から君へ * 61화: [[NICO Touches the Walls]]의 手をたたけ * 62화: 오렌지 스파이니 크랩(オレンジスパイニクラブ)의 7997 * 63화: 양스키니(ヤングスキニー)의 ゴミ人間、俺 * 64화: 브랜디 전기(ブランデー戦記)의 Musica * 65화: [[삼보마스터]]의 [[世界はそれを愛と呼ぶんだぜ]] * 66화: 네구세.(ねぐせ。)의 グッドな音楽を * 67화: [[녹황색사회]]의 ピンクブルー * '''단행본 미수록분''' * 68화: 오리지널 * 69화: [[제니하이]]의 ジェニーハイラプソディー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봇치 더 록!/등장인물)] == 설정 == * [[미확인 라이엇]] 3~4권에서 중심 소재로 등장하는 록 페스티벌. == 미디어 믹스 == === [[외톨이 THE ROCK!|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톨이 THE ROCK!)] === 앤솔러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f18a01,#f18a01 01권}}}''' ||<-2> '''{{{#0096cd,#0096cd 02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olume_1_(Anthology_Comic).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olume_2_(Anthology_Comic).jpg|width=100%]]}}} || ||<-2><^|1> {{{#f18a01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추가 표지 ] [[파일:봇치앤솔러지vol.1.png|width=100%]]}}}}}}}}} ||<-2><^|1> {{{#0096cd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추가 표지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0월 27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08월 25일''' ||}}} ====# 참여 작가 #==== * '''1권''' * 삽화담당 : まつだひかり, 宇崎うそ, 相馬一, HOJI, イワワ * 치바 사도루(千葉サドル)[* 학교생활! 의 작화담당으로 단행본 1권의 표지를 맡았다.] * 코카 무모(こかむも)[* 같은 연재처에서 활동중인 누루메타(ぬるめた)의 작가. 단행본 1권 뒷표지의 4컷 만화를 맡았다.] * 봇치 • 더 • 락(LOCK)! - ゆいち * 후타리 쨩의 장보기 대작전! - タケオキュージュウ * 고마워, 기타와 근육 - しろううらやま * 봇치쨩 vs 불심검문 - 裏谷なぎ * 봇치 • 더 • 랠리! - 우치노 마이코(うちのまいこ)[* 슬로우 루프의 작가.] * 어떤 반친구가 본 결속밴드 - コーンフレーcu * GO TO BUGER SHOP - kashmir * 첫 악기 - 大豆田[* 하마지 아키의 친동생] * 결속 밴드와 신기한 그림책 - 福きつね * '''2권''' * 표지 : 大熊らすこ, 優しい内臓, つみきつき * 삽화 : 中森煙, 蚊, O仮名だモ, 巻, 行町咄, すいそげんし, めばち * #교자파티 #최고다 - 富士ふじの * Wake up! Make up! - 双葉陽 * 악몽을 보는 베이스 - ウルシノ * 렛츠 고 나이트풀 - [[나가야마 유우논]] * 봇치 • 더 • 체인지! - いしいゆか * 많이 먹기 챌린지 - 戸田大貴 * 봇치 헤어 이스 배드?! - タツノコッソ * 만약 언니가 “친구”가 된다면 - 春日沙生 * 비가 그친 뒤 보이는 무지개 - 大豆田[* 하마지 아키의 친동생] === 스핀오프 === ==== 봇치 더 록! 외전: 히로이 키쿠리의 과음일기 ==== '''{{{+1 ぼっち・ざ・ろっく!外伝: 廣井きくりの深酒日記}}}''' [[https://comic-fuz.com/manga/3354|COMIC FUZ 페이지]] 작중 주요인물 중 한 명인 [[히로이 키쿠리]]를 주인공으로 하는 외전으로 그녀의 주당 속성을 메인소재로 삼은 듯 하다. COMIC FUZ에서 2023년 7월 9일부터 연재. 그동안 키라라 쪽에서 스핀오프를 앤솔로지로 떼우거나, 그리더라도 원작가가 그렸는데 '''키라라 최초로 다른 작가가 그린 스핀오프 작품'''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 [[봇치 더 록!/무대탐방|무대탐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봇치 더 록!/무대탐방)] == 기타 == * 2023년 4월, [[히로이 키쿠리]]를 주인공으로 하는 스핀오프 만화의 제작 계획이 발표되었다. * [[슬로우 루프]] 원작 4권 26화에서 결속 밴드 멤버들이 [[카메오]]로 등장했으며, 본작에서도 3권 114p의 3번째 컷에서 히요리와 코하루가 딱 한 컷 우정출연하며 간략하게 콜라보가 진행되었다. [[https://twitter.com/qYnfUxpgpx4RMC3/status/1512586383038115840?t=R8-YlqgKElwY55AL14NbMQ&s=19|#]] 슬로우 루프는 애니 10화에서 해당 분량을 다루며 결속 밴드 멤버들이 직접 등장했지만, [[https://youtu.be/sR5Bm-iC8bo|#]] 본작은 아쉽게도 해당 분량이 애니 이후로 미뤄지며 직접적인 출연은 못하고 대신 10화에서 히요리와 코하루가 키링 굿즈로 등장했다. * 작중에서 결속 밴드를 '시모키타자와계'라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있는 지역인 '[[시모키타자와]]에서 활동하는/활동을 시작한 밴드'라는 뜻이다. 참고로 시모키타자와는 연극 문화/인디 밴드 문화 등이 모인 '''[[모던 록]]/[[얼터너티브 록]] 밴드들의 성지'''로 젊은이들의 거리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한국으로 치자면 [[홍대거리]]나 [[대학로(서울)|대학로]]와 같은 위상. 다만 [[시부야계]]나 [[아키바계]]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본에는 시모키타자와계 이외에도 활발한 인디씬이 존재하고, 지역별로 유행하고 발전해온 음악적 조류와 개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모키타자와를 완전히 한국의 홍대거리와 같은 포지션으로 보기는 힘든 편이다. 뚜렷한 공통점이 있지는 않으나 주로 기타를 메인으로 둔 라이브 중심의 록 밴드이며, 일본의 음악 잡지 'ROCKIN'ON JAPAN'에서 선호하며 해당 잡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밴드들을 분류하는 '록킹온계'와도 거의 같은 계통에서 분류되는 편. [[미스터 칠드런]], [[스핏츠]], [[쿠루리]], [[범프 오브 치킨]], [[서니 데이 서비스]] 등 유명 록 밴드들이 전부 이곳 출신이며, 결속 밴드와 작품 자체의 직접적 모티브가 된 [[ASIAN KUNG-FU GENERATION|아지캉]] 또한 대표적인 시모키타계 밴드다. STARRY의 모델이 된 시모키타자와 SHELTER는 시모키타계 밴드의 성지와 같은 위상의 라이브 하우스고, 애니판에서 곡 녹음에 참여한 대부분의 뮤지션들 또한 설정에 맞게 시모키타자와계를 섭외했다고 한다. * 작가의 친동생 역시 만화가로 하마지와 달리 주로 소년만화 계통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8년 히가사 노조미(日笠希望) 명의로 [[소년 매거진]]에 키스 앤 크라이(キスアンドクライ)를 연재했으며, 이후 오마메다(大豆田)로 필명을 변경해 [[소년 점프+]]에 단편 [[https://shonenjumpplus.com/episode/10834108156743059764|지니어스 피카소(정식 명칭은 아님)]]를 발표했다. 봇치 더 록의 어시스턴트[* 작가의 말을 보면 주로 배경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로도 도움을 주고 있기에 매 권마다 여동생에게 감사를 표하는 작가의 말이 들어가 있다. 공식 앤솔로지 1탄에선 아예 친동생이 직접 그린 고토 후타리를 주인공으로 한 단편이 실렸다. * 작가가 이 작품을 구상 및 그리게 된 이유는 어느날 록에 심취했기 때문. 현재 만화 연재로 바쁜 와중에도 틈틈히 초보 [[베이시스트]]로서 연습하는 중이라고 한다. * 애니화되기 전에도 관련 상품이 매진되는 등 팬층이 존재했으며, 애니메이션이 초고퀄리티로 나옴에 따라서 원작의 특전이나 굿즈에도 일본 국내, 해외 모두 관심이 많이 모아졌고, 특전으로 기타 피크가 들어있는 키라라 MAX 2023년 1월호는 재고까지 전부 완판되었다. 증쇄가 없으면 해당 호는 중고로 구하는 길밖에 없다. * 작품 외적으로 [[파괴왕]] 기질이 있는지 CM에서 선전한 키라라 만화 '언니의 V한 사정(お姉様のVな事情)'가 연재중단, 히토리가 출현한 잡지 'Purizm'가 당회차를 마지막으로 휴간, 봇치 더 록이 실장된 [[키라라 판타지아]]가 내년부로 서비스 종료 발표, 결속밴드 4인이 표지로 나온 잡지 '리스애니!'가 계간지로서의 정기간행을 종료하고 심지어 가나가와의 봇치 더 록! 성지에 있는 로손이 [[https://twitter.com/rica0867/status/1608049182069379073?s=20&t=h3hHVVd3hjfFGgbvg2M3lA|애니 종영 한달 후 폐점]]한다고 하는 등 곤혹을 면치 못하고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우연이 딱딱 맞아떨어졌을 뿐이고 저 중에서 purizm은 전 회차에서 이미 휴간 공지를 했었으며, 리스애니는 활동분야를 잡지에서 web으로 이동했을 뿐이지 회사 자체가 문 닫는 건 아니다.[* 사실 이는 리스애니만이 아니라 현재 애니메이션 관련 잡지들이 대부분 직면한 문제다. 실제로 2022년 10월 26일에 창간 30주년을 맞이한 월간지 '전격 G's Magazine'마저도 휴간을 발표하며 동시에 웹서비스 'G's 채널'로의 이행을 발표하는 등 기술 발전과 그에 따른 수요 변경에 맞춰 아날로그보다는 디지털 쪽에 집중하는 추세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줬다.[[https://0115765.com/archives/15767]]] * 레슬러 겸 배우 [[드웨인 존슨]]/[[더 락]]과 이름 관련으로 자주 패러디 되는 편이다. 영화 리뷰 만화인 [[부기영화]]는 [[블랙 아담(영화)|블랙 아담]] 리뷰에서 이 패러디를 적극 채용했다. * [[MLB]] 팬들 사이에선 前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現 [[텍사스 레인저스]]의 감독을 맡고 있는 [[브루스 보치]]의 별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심지어는 텍사스 우승 이후 나온 기사에서도 사용될 정도.[[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410/0000965718|#]] == 외부 링크 == *[[https://twitter.com/ioArthus?t=xh79Z3nolF6g-zfbjs9CJQ&s=09|음악 검수자 트위터]]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bocchi_the_rock|[[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0]]]] [[봇치 더 락 마이너 갤러리]] * [[https://arca.live/b/botch|[[파일:아카라이브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아카라이브 아이콘.svg|width=20&theme=dark]]]] [[봇치 더 락 채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토 히토리, version=148, paragraph=5)] [include(틀:표절, version=15, source=일본어 위키백과)] [[분류:봇치 더 록!]][[분류:일본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