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2002~2005))] ||<-3>
{{{#FFFFFF '''[[SBS|[[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width=30]]]] 주말 특별기획 [br] {{{+4 {{{#FFFFFF 봄날 }}} }}}''' (2005) [br] '' A Spring Day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2.sbs.co.kr/img/sbs_cms/PG/2016/05/27/PG37557508_w640_h360.jpg|width=100%]]}}}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 시청 등급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000000 15세 이상 시청가}}}]]''' || ||<-2><:> {{{#FFFFFF ''' 방송 시간 ''' }}} ||<(> [[토요일]], [[일요일]] 밤 9시 45분 ~ 11시 5분|| ||<-2><:> {{{#FFFFFF ''' 방송 기간 ''' }}} ||<(> [[2005년]] [[1월 8일]] ~ [[2005년]] [[3월 13일]] || ||<-2><:> {{{#FFFFFF ''' 방송 횟수 ''' }}} ||<(> 20부작 || ||<-2><:> {{{#FFFFFF ''' 제작 ''' }}} ||<(> [[iHQ|Sidus HQ]][* 출연진 중 [[조인성]], [[지진희]], [[한고은]] 등이 당시 이 회사 소속이었다.] || ||<-2><:> {{{#FFFFFF ''' 채널 '''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3><-1><:> {{{#FFFFFF ''' 제작진 ''' }}} ||<-1><:> {{{#FFFFFF ''' 기획 ''' }}} ||<(> 문정수 || ||<-1><:> {{{#FFFFFF ''' 연출 ''' }}} ||<(> 김종혁 || ||<-1><:> {{{#FFFFFF ''' 극본 ''' }}} ||<(> 김규완[* 대표작으로 [[피아노(SBS)|피아노]], [[Dr.깽]], [[신데렐라 언니]] 등이 있다.] || ||<-2><:> {{{#FFFFFF ''' 원작 ''' }}} ||<(> [[닛폰 테레비|[[파일:닛폰 테레비 로고.svg|width=35]]]] <별의 금화(星の金貨)>[* 1995년에 방영된 [[사카이 노리코]] 주연의 일본 드라마가 원작이다. 덕분에 방영 당시 왕년의 사카이 노리코 및 일드 팬들 사이에서 좀 화제가 되었다고...] || ||<-2><:> {{{#FFFFFF ''' 출연 ''' }}} ||<(> [[고현정]], [[조인성]], [[지진희]], [[한고은]] 外 || ||<-2><:> {{{#FFFFFF ''' 링크 ''' }}} ||<(> [[http://programs.sbs.co.kr/drama/bomnal/|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5년]]에 제작 및 방영한 SBS 주말특별기획 드라마.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를 끝으로 결혼과 함께 연예계를 떠났던 배우 [[고현정]]의 10년 만의 복귀작으로 연신 화제였다. [[지진희]]가 교통사고후 해리성 기억상실증에 걸린 고은호 역할을 잘 소화해내어 '또 기억상실증이냐'는 비아냥과는 별개로 호평을 받기도 했다. 초반의 화제에 비해 내용 전개의 허술함으로 [[용두사미]]로 끝난 안타까운 드라마.[* 김규완 작가의 --특기이자-- 한계이기도 하다. 그 뒤에 쓰여진 [[신데렐라 언니|이 드라마]]만 봐도...] === 기획 의도 === > 이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한한 인간들이 > 영원성을 믿어 의심치 않는 것이 있다. > 바로 사랑이다. > > 순간의 열정으로 시작된 어설픈 사랑도, > 어느덧 집착으로 변해버린 병적인 사랑도, > > 심지어 오랜 시간이 흘러 > 상대방이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 낡은 사랑조차도 소중한 추억이 되어 > 가슴 속에서 영원히 빛나기를 바라고 > 또 갈구한다. > > 인간들은 도대체 사랑의 어떤 힘을 믿기에.. > 그렇게도 집착적으로 영원을 꿈꾸는 걸까? == 등장인물 == * [[고현정]] - 서정은 역 음대에 진학하는 것이 꿈이었다. 하지만 결과는 줄줄이 낙방. 그러던 어느 날 오케스트라 단원 모집 공고를 보고 오디션을 치르러 가게 되지만 계단에 굴러 떨어지는 불의의 사고를 당하고 만다. 결국 본인의 꿈을 이루지 못해 좌절하고는 낙향하였지만 입만 꾹 다물고 지내온지 어언 4년... 그러던 정은 앞에 그녀의 말문을 다시 트이게 해주는 남자가 나타난다. * [[조인성]] - 고은섭 역 늘 아버지의 사랑을 갈구했고, 엄마의 등쌀에 못 이기며 자랐다. 늘 이복형인 은호보다 더 잘날 것을 기대하는 엄마 때문에 형을 따라 의사가 되었다. 애증의 형이 불의의 사고를 당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는데... 형은 어떤 여자를 찾고 있다. 결국 그 여자에게 자기도 눈이 가고 만다... * [[지진희]] - 고은호 역 음대에 가고 싶어하던 정은을 의료 봉사활동 중에 처음 만났다. 그리고는 나중에 실어증에 걸려 말을 하지 못하는 정은과 재회하게 된다. 그러한 정은과 애틋한 재회 후 그녀 곁에 남기 위해 섬으로 다시 들어갔다. 그리고 생모와도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된다. 하지만 불의의 교통사고로 어머니도 잃고, 본인도 기억을 잃게 되는데... * [[한고은]][* 4회가 방영되도록 배우가 정해져 있지 않다가 6회부터 투입되었다.] - 김민정 역 은호 옆집에 살던 소꿉친구. 은호를 짝사랑 해왔다. 은호가 교통사고를 당한 후, 어린 시절 기억으로 퇴행하게 되자 정은은 은호가 기억하고 있는 민정을 찾아가게 된다. * [[이소연(배우)|이소연]] - 김경아 역 은섭과 동거하는 술집 웨이트리스. * [[신충식]] - 서달호 역 * [[박철민]] - 이진태 역 * [[이경진]] * [[이휘향]] - 오혜림 역 * [[장용]] - 고형진 역 == 여담 == *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를 끝으로 연예계 은퇴를 선언하여 전설의 여배우로 남아있던 [[고현정]]의 공식적인 복귀작이었기 때문에, 이 드라마의 제작발표회 현장은 사실상 고현정의 복귀 기자회견장이나 다름 없었다. --사실 드라마에 별로 관심없었다.-- 타사 [[한국방송공사|지상파]] [[문화방송|방송국]]에서도 모두 취재를 갔을 정도. 뿐만 아니라 고현정의 복귀를 기념하여 SBS 드라마 플러스(현 [[SBS Plus]])에서 <모래시계>를 재방영하기도 했다. * 당시 고현정의 회당 출연료는 2천만원으로, 이는 최초의 기록이다. 그 이후로 계속 드라마 출연료가 천정부지로 오르기 시작...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0000617|기사]] * 이 드라마의 포스터 및 스틸 사진을 담당한 사람은 바로 배우 [[손창민]]이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0028833|기사]] 손창민도 당시 이 드라마의 제작사인 싸이더스 HQ 소속이었다. * 첫회 시청률이 수도권 기준으로 무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05264|29.1%를 기록]]했다. 이는 첫회 시청률만 따지자면 [[태조 왕건]], [[제국의 아침]]에 이은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 고현정의 컴백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지대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 [[김용진(1982)|김용진]][* 당시 소속사가 이 드라마의 제작사인 [[iHQ|싸이더스HQ]]였다.]이 부른 주제곡 [[https://youtu.be/Qm5J84rndZw|봄날]]도 드라마와 함께 큰 인기를 끌었다. 노래방에서는 가수명이 당시 활동하던 예명 아이(i)로 되어 있으며, 금영 45099, TJ 14500번이다[* 곡번호 기억하고 있다면 주의하자. 금영에서 14500번을 선곡 시도하거나, TJ에서 45099번을 선곡 시도할 경우, 곡이 없다고 한다. TJ의 경우 C50이나 TKR900에서 시도하면 저렇다.]. 그런데 몇몇 부분의 멜로디 흐름이 [[Westlife]]의 My love와 유사하다. [include(틀:스포일러)] ==# 비판 #== 드라마 중반까지는 나름 호평을 받았지만 뜬금없이 조인성과 고현정의 키스신이 있었던 12회를 기점으로 점점 이상하게 진행되더니 결국 서정은이 고은섭을 사랑했으며 누가봐도 이어질 것 같았던 고은호는 사랑이 아니라 엄마처럼 생각해서 헷갈렸다고 털어놓는다. 결말도 고은섭-서정은이 이어지는 듯하게 끝나며 확인사살. 초반 2회 마지막에 정은이 떠나는 은호에게 '가, 가지마! 가지마!' 하면서 말문이 트이는 명장면을 본 시청자들은 당연히 분노했고 중간에 남주가 바뀌어버린 게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하지만 반론도 있는데 원작인 호시노 킨카에서도 결국 은호 역할의 남자는 약혼녀(김민정)를 택하고 상심하고 떠난 여주인공(서정은)은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는데 그 배에서 남자의 남동생(고은섭)을 만나며 서로 마주 보며 둘이 이어지는 듯한 암시로 끝났기 때문에 사실상 원작대로 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다만 여기서 재반론을 한다면 어쨌거나 원작의 여주는 나중에 동생과 이루어졌을 지라도 드라마가 끝날 때까지 형을 사랑하는 것처럼 묘사가 되었기 때문에 서정은의 캐붕은 피하기 어렵다. [각주] [[분류:2005년 드라마]][[분류:2005년 종영]][[분류:SBS 주말 드라마]][[분류:일본 드라마 원작 드라마]][[분류:로맨스 드라마]][[분류:20부작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