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JIU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볼트 시리즈)] [목차] || [[파일:볼트 9_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볼트9 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 '''번개를 초월하는 스피드, 볼트 9!''' == 개요 == 2015년 4월 30일 시간의 상점에서 첫 출시된 볼트 시리즈의 지우엔진 버전. 같은 날 [[솔라 9]], [[루나 9]]과 같이 출시되었다. == 입수 방법 == || '''획득루트''' || 합성, [특급] 레벨업 선물 || == 성능 == || '''전진 가속도''' || 148 || || '''후진 가속도''' || 100 || || '''최고 속도''' || -0.08 || || '''좌우 회전 각도''' || 2.7 || || '''코너 가속''' || 0.07 || || '''드리프트 탈출력''' || 90 || || '''순간부스터 가속''' || 1.3 || || '''자동 게이지 충전량''' || 350 || || '''드리프트 기울기 값''' || -0.01 || || '''변신 부스터 가속''' || 1.848 || || '''스타트 부스터 가속''' || 1.8 || || '''스타트 부스터 지속시간''' || 1.35초 || || '''게이지 충전량''' || -510 || || '''부스터 지속시간''' || 2.92초 || || '''팀 부스터 지속시간''' || 4.34초 || || '''충돌 방어력''' || 0.9 || || '''밸런스''' || 52 || || '''안정성''' || 50 || || '''엔진 등급''' || 1.385 || || '''회전 민첩성''' || 8 || 클라이언트 스펙만 놓고 보자면 [[파라곤 9]]과 동급이다. 드리프트 탈출력, 변신 부스터 가속력 등에서 [[파라곤 9]]에 뒤쳐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심지어 코너 가속에서는 파라곤을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카트의 평가를 매우 많이 깎아먹은 최대의 단점은 '''아주 느린 감속.''' 평균 115km/h로, '''레전드 9엔진 카트바디 중 제일 느리다.''' 더군다나 게이지 충전량도 -510이기 때문에 체감 게이지 충전량은 더더욱 적어진다. 재미있는 점은 HT까지의 볼트는 감속이 매우 좋은 대신 안정성이 매우 좋지 못했다는 것.[* [[흑기사 9]]도 과거에는 이런 속성을 갖고 있었고 9엔진에 와서 감속이 느려졌지만, 이 쪽은 감속이 그래도 써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수치였으니...] 물론 이전처럼 상위권의 감속을 가지고 출시했다면 몸싸움이 중요해진 현 카트라이더 메타에서 [[제니스 9]] 처럼 저평가를 받는 게 뻔했을 법 하지만... 감속이 매우 안 좋다보니 드리프트 탈출력에 비해 체감상 [[톡톡이]] 가속도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편. 다만 무게가 상당한 만큼 [[몸빵]]은 훌륭하며, 코너가속과 회전 민첩성도 상위권. 접지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탓에 실전에서 타기 위해서는 상당히 오랫동안 타야 한다. 감속이 낮은 것 외에 다른 성능은 괜찮기 때문에 대장급 차는 하나도 없고 이 차만 있다면 타서 길들여 보자. 의외로 볼트 9의 묵직하면서도 평균 이상급인 주행력에 맛들린 유저도 꽤 있다. 출시 초기엔 고성능의 JIU 엔진 카트바디가 얼마 없던 시기라 그런지 볼트 9도 꽤나 인기가 있었다. 허나 11주년 이벤트로 파라곤을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자 평가가 급격히 저조해졌다. 또한 상위 엔진인 [[볼트 X]]가 월등한 성능으로 출시되면서 이제는 퇴물이 되었다.[* 볼트 X의 감속은 130 초중반대로 [[파라곤 X]]와 비슷하다.] == 탑승 선수 ==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에볼루션]] 기준입니다. || * Team106: 이은택 * E-레인: 임성준 * 범스 레이싱: 권순민 * 알앤더스: 신현준 볼트 9이 사용된 카트라이더 리그는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에볼루션]] 뿐이다. 보통 팀원 중 스피드전 실력이 가장 떨어지는 아이템전 선수가 탔는데, 스피드전 선수도 다루기 까다로워하는 볼트를 스피드전 실력이 부족한 아이템전 선수가 잘 다룰리가 만무. 때문에 컨트롤이 편한 [[폭스 9]]나 [[코튼 9 LE]]가 자주 채택되었고, 대부분은 다른 카트바디로 갈아탔으나 임성준만이 끝까지 볼트를 탑승했다. 권순민은 특이한 사례인데, 원래는 흑기사 9을 타다가 다른 팀원에게 넘겨주고 대신 볼트를 탑승했다.[* 권순민이 속한 팀은 계속해서 카트바디를 팀원끼리 서로 바꿔가며 탑승했다.] == 기타 == * 감속이 너무나도 느리다 보니 한 [[레어카페]] 유저가 "볼트 9는 풀강 풀파츠여도 톡톡이 300을 넘길 수 없다" 라고 댓글을 달았는데, 그걸 본 한 회원이 '''노강 노파츠 볼트 9로 톡톡이 300을 넘은 걸 인증함으로서(...)''' 그 유저가 사실상 카알못임이 인증되고 까였던 일이 있다. 감속이 아무리 낮더라도 드리프트 탈출력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최적화 드리프트를 제대로 구사하다가 최적의 각도를 찾아서 끌면 충분히 300 정도는 달성할 수 있다. 그 이후가 문제긴 하지만. 309잠깐뜨고 차가 알아서 끊어버리는 감이 있다. 스펙터 9도 마찬가지로 310에서 알아서 끊긴다. == 관련 문서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 [[볼트 X]]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15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