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약학]][[분류:한의학]][[분류:의학서적]][[분류:중국의 세계기록유산]] [include(틀:토막글)] ||<-3> '''[[유네스코|{{{#ffffff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ffffff 세계기록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 || ||<|3> 이름 || 한국어 || 본초강목([[本]][[草]][[綱]][[目]]) || || 영어 || Library of the China Academy of Chinese Medical Sciences || || 프랑스어 || La matière médicale classifiée || || 국가·위치 ||<-2> [[중국]] || || 소장·관리 ||<-2> 중국중의과학원 도서관 || || 등재 유형 ||<-2> 기록유산 || || 등재 연도 ||<-2> [[2010년]] || || 제작 시기 ||<-2> 1578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본초강목.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本]][[草]][[綱]][[目]]'''}}} [[중국]] 명나라 시절 본초학자 이시진(李時珍, 1518~1593)이 엮은 [[약학]]서이다. 1578년에 초고를 완성한 후 27년이 지나서야 52권을 간행하여 완성되었다. 약용으로 쓰이는 대부분을 분류했는데, 약재 총 1892종을 망라하여 [[한중일]]의 [[한의학|전통의학]]에서 중요하게 쓰였다. 과거의 의가들이 연구했던 본초학에 대한 이론들과 구체적인 약물 사용법에 대한 실제 경험들을 소개하거나 보존한것들을 후학들이 참고하고 선택하는 데 굉장히 유용했다고 한다. [[명나라|명]]대의 본초서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으며, [[조선]]의 [[동의보감]]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실제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상당 내용을 인용하였다. [[https://dl.ndl.go.jp/info:ndljp/pid/1287082?tocOpened=1|일본 국회도서관 소장본 pdf 링크]] * 본초강목의 3대 자양강장제론 의외로 [[메추리알]], [[살모사]], 고려인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