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경기도 성남에 위치해있는 대한민국의 버스 안내방송 및 버스 LED 기기 제작업체이다. 애드케이[* 서울마을버스의 광고 업체를 인수]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서울특별시에서 주로 쓰는 [[양진텔레콤]], 경기도에서 주로 쓰는 [[로카모빌리티]]에 밀려 있지만 이 사업자 기기를 사용하는 업체들도 많으며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 마을버스]]에서] 차임벨은 양진텔레콤, 코리아 타코보다 반음 높다. == 사용업체 == * '''[[성남시내버스]]-[[성남여객버스]], [[대명운수]]''' - 단골고객 1번, 단골고객 2번. 성남시내버스는 대부분 구버전과 신버전을 짬뽕한(...) 안내방송으로 사용하고 있고, 대명운수는 구버전과 신버전을 혼용하다가 2017년 이후로 전부 신버전으로 교체.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 '''[[동대문구]]'''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에 한 개 업체 이상이 사용중이다.[* 서울에서 유일하게 본시스템 방송이 존재하지 않고, 모든 노선이 버스티브이 기기를 현재까지도 사용중이다. 나머지 구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업체가 사용한다.] 주로 사용하는 곳은 '''[[강동구]],[* 신명운수가 버스티브이에서 갈아탔다.] [[금천구]][* 범일운수는 양진텔레콤을, 대상운수는 버스티브이를 사용한다.], [[서대문구]][* [[홍제교통]]만 양진텔레콤을 사용한다.], [[성북구]][* 안암교통은 최근에 본시스템으로 갈아타서 현재는 대진여객만 버스티브이를 사용한다.], [[성동구]][* [[왕금운수]]만 버스티브이를 계속 사용한다. [[금호교통]]도 버스티브이를 사용하다 본시스템으로 교체했다.], [[마포구]][* 웅산교통과 합정운수는 양진텔레콤, 아현운수와 온누리운수, 신수동마을버스는 버스티브이를 사용한다.], [[영등포구]][* [[형일교통]]과 [[대림운수]]는 버스티브이, [[태진마을버스]]와 [[한강운수]]는 [[양진텔레콤]] 신형을 사용한다.], [[종로구]][* 인왕교통과 삼청교통은 양진텔레콤을 사용한다.]'''이다. 그 밖에는 [[강남구]][* 포이운수, 개포운수가 사용한다.], 금강운수, 대영운수, 세광운수-신림운수, 난곡운수, 남산운수, 안암교통, 인수운수, 복지운수, 드림운수, 미향운수, 하이상운, [[염동운수]], [[한빛운수]], [[성서교통]], [[오렌지교통]], [[쌍문운수]], [[진양교통(서울)|진양교통]], 상도운수, 보라매운수-보라매마을버스, 화인운수, [[부생운수]], [[우리교통]], [[선진운수]], 영운교통-영운운수, 수빈(수현)운수, [[금양운수]], [[중랑운수]]에서 주로 사용한다. 애드케이를 쓰던 염동운수와 오렌지교통 모두 전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금천운수와 --신오류운수--[* 2021년 12월 15일부로 양진텔레콤으로 교체되었다.], 진양교통의 경우 버스티브이를 사용하다가 2020년에 교체했고 2021년에 수락운수에도 안내방송이 교체되었다. 선진운수도 비슷한 시기에 교체되었다. --스마일버스--도 최근에 양진텔레콤 신형으로 교체되었다. * [[고양시 마을버스]] - 보통 수도권 마을버스들은 거의 버스티브이, 로카모빌리티, 양진텔레콤 등을 쓰지만, 이 지역은 특이하게 본시스템을 안내방송으로 사용하고 있다. 신버전 사용중.[* 이전에는 EB 구버전을 사용했다.][* 일부 업체에 한하여 사용중인데, 대표적으로 [[대덕운수]], [[대화교통(고양)|대화교통]], [[백마운수]],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가 해당된다. 이외의 업체는 버스티브이, 로카모빌리티 등을 사용하였으나 상술한 업체를 제외하고 모두 로카모빌리티 신형버전으로 교체되었다.] * [[영주여객]] * [[울진여객]] * [[상주여객]] - 성남시내버스와 동일한 구버전이다. * [[삼영운수]], [[보영운수(안양)|보영운수]] - 일부 차량이 사용중.[* 삼영운수는 [[안양공영차고지]], [[충훈부차고지]] 전 노선과 2020년 이후 출고된 신차와 차돌리기된 해당 영업소 출신 차량들이 사용 중이며, 보영운수 역시 2020년 이후 출고된 차량 및 [[안양 버스 3030|3030번]]의 [[광역급행버스 M5333|M5333번]] 출신 차량에서 사용 중이다.][* 그러나 삼보영도 굿모닝애드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것인지 본시스템 기기가 새로 장착된 차량에서도 정류장명 부분은 기존의 구형 굿모닝애드 방송이 나오며, 정류장명이 바뀌거나 새로 생기는 정류소는 [[전숙경]] 성우가 녹음한 굿모닝애드 방송으로 땜빵하는 등 굿모닝애드 신형&구형, 그리고 본시스템이 서로 공존하는 완벽한 삼위일체(…)를 엿볼 수 있다… 물론 [[광역급행버스 M5333]]이 지나가는 구간은 본시스템에서 새로 녹음했기에 해당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소에서는 위 차량이라도 무조건 본시스템의 안내방송이 나온다.]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 일부 차량이 사용중. * [[성남시민버스]] - 일부 차량이 사용중. * [[수원여객]] - 일부 차량이 사용중. * [[강진교통]] * [[의성여객]] * [[세종교통]][* 세종교통 버스는 유니비전 과 애드엔텍코리아를 섞어 사용한다.] * [[세종도시교통공사]] - 19년식 이전차량 사용중.[* 세종도시교통공사는 유니비전과 섞어 사용한다.] * [[코리아와이드 포항]] === 과거 사용업체 === *[[경남여객]] - 2011년도 말까지 사용하다가 거의 EB방송으로 교체되었다. 그럼에도 일부 차량에 소수 잔존했으나, 마지막으로 남은 BS106들이 대차되면서 볼 수 없게 되었다. * [[평안운수]][* 안내방송 억양이 코리아타코 안내방송이랑 똑같았다.][*A [[KD 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다른 계열사처럼 이비카드 안내방송으로 교체되었다.] * [[명진여객]][*A KD 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다른 계열사처럼 이비카드 안내방송으로 교체되었다.] * [[대화교통(경산)|대화교통]] *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제주시 시내버스]] * [[신오류운수]] - 2021년 12월 15일부로 양진텔레콤으로 교체되었다. * [[스마일버스]] * 한비운수 * 죽전운수 * [[구일교통]] - 2019년 EB방송으로 교체되었다. * [[예천여객]] - 2019년 12월 안동- 예천 광역 BIS 도입 이후 에어캐쉬로 교체되었다. [[분류:버스 안내방송]][[분류: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