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복서 장갑차]]의 파생형을 정리한 문서. 복서 장갑차는 모듈식 설계를 적용하였는데, 기동부가 되는 기본 차체의 뒷부분에 임무에 따라 다른 모듈을 탑재할 수 있어 확장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차종을 통일하여 제작 과정 및 비용을 절감하였다. 복서는 수많은 모듈이 존재하며, 이러한 모듈들은 차륜형 복서와 궤도형 복서에 모두 탑재 가능하다. == APC == [[보병수송장갑차]] 모듈로, [[H&K]] 40mm [[유탄발사기]]와 M2QCB 12.7mm [[중기관총]]를 주무장으로 사용한다. 승무원 3명(조종수 1명, 사수 1명, 차장 1명)과 8명의 기계화 보병을 수송할 수 있다. == CRV == [[보병전투차]] 모듈로, [[라인메탈]]의 LANCE 30mm [[기관포]] 포탑을 탑재했다. == RCT30 == 보병전투차 파생형으로, [[SPz 푸마]]와 동일한 RCT30 포탑을 탑재했다. == 빌카스 == 보병전투차 파생형으로, 라파엘의 SAMSON Mk.II 무인 포탑을 탑재했다. == GNPR == 공병수송장갑차[* Battlefield Engineering Vehicle] 모듈로, 주무장은 APC 모듈과 동일하다. 승무원 9명(조종수 1명, 차장 1명, 사수 1명, 공병 6명)이 탑승하며 2명분의 좌석에 각종 공병장비를 따로 구비하였다. === AMB === 의무장갑차 모듈로 무장은 탑재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승무원 3명(조종수 1명, 차장 겸 군의관 1명, 의료보조원 1명)이 탑승하며, 기존 복서가 14m^3의 적재 공간을 가진 것에 비해 의무형은 전고가 증가하여 17.5m^3의 공간을 가진다. 때문에 7명의 경부상 인원을 앉은 체로, 또는 3명의 중부상 인원을 눕힌 채로 탑승시킬 수 있다. 독일 연방군이 72개, 네덜란드군이 58개를 도입했다. === 카고 === 수송장갑차 모듈로 승무원 2명(조종수 1명, 차장 겸 사수 1명)이 탑승한다. 특수 적재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2톤의 화물을 실을 수 있다. === CPV === 지휘장갑차 모듈로 승무원 5명(조종수 1명, 차장 1명, 군지휘관 1명, 참모 2명)이 탑승한다. 40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였으며 후방에 있는 램프에서 작전 브리핑을 할 수 있다. 각종 통신장비와 [[C4I]] 장비도 장착되어 있다. 독일 연방군이 65개, 네덜란드군이 55개를 도입했다. === 카고/C2 === 수송지휘장갑차 모듈로, 수송장갑차와 지휘장갑차의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모듈이다. 승무원 3명(조종수 1명, 차장 1명, 사수 1명)이 탑승하며 4명의 지휘인원이나 1명의 부상병, 또는 1.5톤의 화물을 적재 할 수 있다. 네덜란드가 19개를 도입했다. === DTV === 주행교육용장갑차 모듈로, 주행교육관이 교육생을 감독할 수 있게 사면이 창문으로 된 돌출공간이 있다. 독일, 네덜란드, 호주, 리투아니아가 도입했다. === MIV-REC === 구난차량 모듈로 호주와 영국이 도입할 예정이다. === RCH 15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GM 모듈)] [[PzH2000]]에 사용된 155mm 52구경장 포탑을 기반으로 만든 자주포 모듈이다. === 스카이레인저 3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카이레인저 30)] 라인메탈의 [[스카이레인저 30]] 대공포탑을 장착한 자주대공포 모듈. === RCT120 === 120mm 활강포가 탑재된 무인포탑 모듈을 장착한 화력지원차량 파생형.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복서 장갑차, version=153)] [[분류:차륜형 장갑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