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보호자}}}''' (2023)[br]A Man of Reas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보호자(영화) 스페셜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액션]], [[드라마]], [[스릴러]], [[느와르]], [[복수물|복수]], [[사극|시대극]], [[피카레스크]] || || '''감독''' ||[[정우성]][* [[정우성]]의 장편 영화 연출 데뷔작이다.] || || '''각본''' ||정해신 || || '''각색''' ||[[정우성]], 허담 || || '''기획''' || || || '''제작''' ||<|2>송대찬 || || '''프로듀서''' || || '''촬영''' ||<|2>고락선 || || '''조명''' || || '''편집''' ||김만근 || || '''미술''' ||이내경 || || '''음악''' ||[[김태성]] || || '''음향''' ||공태원 || || '''출연''' ||[[정우성]], [[김남길]], [[박성웅]], [[김준한]], [[박유나]] 外 || || '''제작사''' ||(주)영화사테이크 || || '''배급사'''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20)]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 || '''촬영 기간''' ||[[2020년]] [[2월 10일]] ~ [[2020년]] [[5월 21일]] || || '''개봉일''' ||[[토론토 국제 영화제|[[파일:토론토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theme=light]][[파일:토론토 국제 영화제 로고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2022년]] [[9월 13일]][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20)] [[2023년]] [[8월 15일]]|| || '''화면비''' || || || '''상영 시간''' ||97분 (1시간 37분 58초) || || '''상영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theme=light]][[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width=20&theme=dark]]]] || || '''제작비''' ||80억 원 || || '''손익분기점''' ||160만 명 || || '''월드 박스오피스''' ||'''$928,721''' ^^([[2023년]] [[11월 29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21387514/|기준]])^^ || || '''대한민국 총관객 수''' ||'''128,267명''' ^^([[2023년]] [[9월 24일]] [[https://www.kobis.or.kr|기준]])^^|| || '''스트리밍''' ||[[wavve|[[파일: wavve 로고.svg|height=13]]]]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EN01_EN000001064|▶]]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height=15]]]] [[https://watcha.com/contents/m5ag6Bp|▶]]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50]]]]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76205|▶]]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 '''{{{#962417,#a03838 평범한 삶, 가장 위험한 꿈}}}''' ---- 10년 만에 출소해 몰랐던 딸의 존재를 알고 평범하게 살기를 원하는 수혁과 그를 노리는 이들 사이의 이야기를 그린 액션 영화 || [[2022년]] [[9월 13일]], 제47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된 [[한국 영화]]. 한국 극장은 [[2023년]] [[8월 15일]]에 개봉하였다. 배우 [[정우성]]이 첫 장편 영화 연출을 맡았다.[* 전부터 제작은 해왔지만, 연출은 처음이다.] 직접 주연으로 출연한 [[이정재]]의 《[[헌트(2022)|헌트]]》에 이어서 연출을 맡은 작이라는 점에서 화제가 되었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보호자 티저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화 보호자_해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 '''시나리오 표지''' || '''해외 포스터''' || '''티저 포스터'''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스페셜 포스터.jpg|width=100%]]}}} || || '''메인 포스터''' || '''스페셜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캐릭터 포스터 수혁.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캐릭터 포스터 우진.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수혁'''}}}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우진'''}}}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캐릭터 포스터 응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캐릭터 포스터 성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캐릭터 포스터 진아.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응국'''}}}}}}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성준'''}}}}}}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진아'''}}}}}} || ||<-3> '''캐릭터 포스터'''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아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리뷰 포스터.jpg|width=100%]]}}} || || '''아트 포스터''' || '''리뷰 포스터''' ||}}}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XBwuNAh1s4)]}}}||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9KR72Vu6_0)]}}}|| ||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MB6k-PYkmE)]}}}|| || '''캐릭터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tRxb1l915A)]}}}|| || '''리뷰 예고편''' || == 프로모션 == || [[보호자(영화)|[[파일:보호자(영화) 로고.png|height=16]]]] '''프로모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방송 · 라디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 {{{-2 2023. 7. 26.}}} ||<|2> [[tvN|[[파일:tvN 로고.svg|width=33]]]] || {{{-1 홍진경의 영화로운 덕후생활 예고 }}} ||<|3> {{{-2 [[정우성]], [[김남길]], [[김준한]], [[박유나]]}}} || [[https://youtu.be/3ZDWvlobzt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3843760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7. 28.}}} || {{{-1 홍진경의 영화로운 덕후생활 }}} || [[https://youtu.be/sw1xp9jS4o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3851300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7. 29.}}}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38]]]] || {{{-1 [[영화가 좋다]] - 아찔한 인터뷰}}} ||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06-0995&program_id=PS-2023120501-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4§ion_sub_code=02|#]] || || {{{-2 2023. 8. 2.}}} || [[유튜브|[[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48&theme=light]][[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48&theme=dark]]]] || {{{-1 경영자들 - 경영권전쟁: 하하청 업체 예고}}} || {{{-2 [[정우성]], [[김남길]]}}} || [[https://youtu.be/xze_reKkKt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8. 3.}}} || [[U+tv|[[파일:U+tv 로고.svg|width=33]]]] || {{{-1 무비큐 - 지금 만나러 갑니다}}} || {{{-2 [[정우성]], [[김남길]], [[김준한]], [[박유나]]}}} || [[https://youtu.be/cmHlNE-RR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8. 4.}}} || [[유튜브|[[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48&theme=light]][[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48&theme=dark]]]] || {{{-1 경영자들 - 경영권전쟁: 하하청 업체}}} || {{{-2 [[정우성]], [[김남길]]}}} || [[https://youtu.be/6rQekNkUE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8. 5.}}} || [[쿠팡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50]]]] || {{{-1 [[SNL 코리아]]}}} || {{{-2 [[정우성]]}}} || [[https://youtu.be/CrdwY1mD-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2 2023. 8. 12.}}}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38]]]] || {{{-1 [[영화가 좋다]] - 소문의 시작}}} ||<|2> {{{-2 -}}} ||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06-0995&program_id=PS-2023136652-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code=04§ion_sub_code=02|#]]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SBS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 {{{-1 [[접속! 무비월드]] - 디렉터스 컷}}} || || ||<|2> {{{-2 2023. 8. 13.}}}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34&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width=34&theme=dark]]]] || {{{-1 [[출발! 비디오여행]] - 맞대본다}}} || {{{-2 [[정우성]], [[김남길]]}}} || || || [[유튜브|[[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48&theme=light]][[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48&theme=dark]]]] || {{{-1 요정재형}}} || {{{-2 [[정우성]]}}} || [[https://youtu.be/J8fnZz3-va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2 2023. 8. 15.}}} || [[KBS 2FM|[[파일:KBS CoolFM 로고.svg|width=50]]]] || {{{-1 [[박명수의 라디오쇼]]}}} || {{{-2 [[김남길]], [[박유나]]}}} || [[https://youtu.be/wjeUNdgfc9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MBC FM4U|[[파일:mbc-fm4u.png|width=50]]]] || {{{-1 [[정오의 희망곡|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 || {{{-2 [[정우성]], [[김준한]]}}} || [[https://www.youtube.com/live/joiWrUehzPI?feature=sha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8. 17.}}} || [[유튜브|[[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48&theme=light]][[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48&theme=dark]]]] || {{{-1 비보티비 - 어서오쎄오}}} || {{{-2 [[김남길]], [[김준한]]}}} || [[https://youtu.be/ot_llTfYK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8. 19.}}}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SBS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 {{{-1 [[접속! 무비월드]]}}} || {{{-2 [[정우성]]}}}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보 · 인터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 {{{-2 2023. 8. 17.}}} || [[보그 코리아|[[파일:보그 코리아 로고.png|width=50&theme=light]][[파일:보그 코리아 로고 화이트.png|width=50&theme=dark]]]] || {{{-1 정우성이 부르고 김남길, 김준한, 박유나가 응답했다}}} || {{{-2 [[정우성]], [[김남길]], [[김준한]], [[박유나]]}}} || [[http://vogue.co.kr/?ddw=144089|#]]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자체 프로모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매체''' || '''제목''' || '''링크''' || || {{{-2 2023. 7. 14.}}} ||<|7>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파일:ACEMAKER MOVIEWORKS.jpg|width=50]]]] || {{{-1 《보호자》 월드투어 영상}}} || [[https://youtu.be/mSEv_k92t0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3815334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7. 24.}}} || {{{-1 《보호자》 제작보고회 }}} || [[https://youtu.be/GuHNjq8pAR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7. 25.}}} || {{{-1 신인 감독 정우성입니다}}} || [[https://youtu.be/lqn-6I0cRG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3843165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8. 2.}}} || {{{-1 《보호자》 메이킹}}} || [[https://youtu.be/hgQXgZnovc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3887318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2> {{{-2 2023. 8. 9.}}} || {{{-1 《보호자》 언론시사회}}} || [[https://youtu.be/_9TkqPl7nN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 《보호자》 쇼케이스}}} || [[https://youtu.be/m08dtf-qG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23. 8. 10.}}} || {{{-1 정우성, 감독이면 다야?}}} || [[https://youtu.be/OzaEO1wb5j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v/3919166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 }}} || == 시놉시스 == || {{{#!wiki style="margin: 10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살면서 내가 선택했던 모든 것을 다 후회했어”''' 10년 만에 출소한 ‘수혁’은 자신에게 딸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조직을 떠나 평범하게 살기로 결심한다. ‘수혁’의 출소를 기다리던 보스 ‘응국’은 ‘수혁’에게 배신감을 느끼고 자신의 오른팔이자 조직의 2인자 ‘성준’에게 그를 감시하라 지시한다. ‘수혁’에 대한 열등감으로 가득 찬 ‘성준’은 일명 세탁기라 불리는 2인조 해결사 ‘우진’과 ‘진아’에게 ‘수혁’을 제거할 것을 의뢰하고 자신들의 방식대로 무자비하게 타겟을 처리하는 이들은 ‘수혁’을 죽이기 위해 접근하는데... '''평범한 삶, 가장 위험한 꿈이 되었다.'''}}}[br] ---- {{{#!wiki style="margin: 5px; text-align: center" {{{-2 출처: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EB%B3%B4%ED%98%B8%EC%9E%90|{{{#fff 네이버 영화}}}]]}}}}}} ||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 수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보호자 수혁 스틸컷.jpg|width=100%]]}}} || || {{{+1 '''수혁'''}}} ([[정우성|{{{#fff 정우성}}}]] 扮) || || '''“살면서 내가 선택했던 모든 것을 다 후회했어”''' || 조직의 보스를 대신해 징역 10년을 선고 받고 출소한 인물. 출소 후 자신에게 딸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고 평범한 삶을 살려고 한다. ==== 우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보호자 우진 스틸컷.jpg|width=100%]]}}} || || {{{+1 '''우진'''}}} ([[김남길|{{{#fff 김남길}}}]] 扮) || || '''“다 소용없어. 어차피 넌 죽을 거니까”''' || 성준에게 수혁의 살해를 의뢰받은 청부살인업자. 맡은 일이라면 뭐든지 해내는 성공률 100% 해결사로, 일명 세탁기로 불린다. ==== 응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보호자 응국 스틸컷.jpg|width=100%]]}}} || || {{{+1 '''응국'''}}} ([[박성웅|{{{#fff 박성웅}}}]] 扮) || || '''“앞으로 잘 해보겠다는 말이 나올 줄 알았는데”''' || 과거 수혁이 몸 담았던 조직의 새로운 보스. 수혁이 과거를 청산하고 평화롭게 살겠다는 말에 성준에게 수혁의 감시를 맡긴다. ==== 성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보호자 성준 스틸컷.jpg|width=100%]]}}} || || {{{+1 '''성준'''}}} ([[김준한|{{{#fff 김준한}}}]] 扮) || || '''“수혁이 새끼가 저를 호구로 보는 것 같아서요”''' || 과거 수혁이 몸 담고 있던 조직 내 2인자. 수혁에 대한 비뚤어진 질투심으로 우진에게 수혁의 살인 의뢰를 맡긴다. ==== 진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보호자 진아 스틸컷.jpg|width=100%]]}}} || || {{{+1 '''진아'''}}} ([[박유나|{{{#fff 박유나}}}]] 扮) || || '''“복잡한 거 딱 싫은데”''' || 우진의 파트너이자 폭탄 전문 킬러. 바이크를 몰며, 사제 폭탄을 제조하고 복잡한 건 딱 싫지만, 자신보다 오빠 같은 우진을 보호하는 인물이다. === 주변 인물 === * 민서 ([[이엘리야]] 扮) 수혁의 여자친구. * 인비 (류지안 扮)[* [[브로커(영화)|브로커]]의 하윤아 역과 [[소울메이트(영화)|소울메이트]]의 어린 고하은([[전소니]]의 아역)을 맡았던 배우이다. 어머니가 성우 [[박신희]], 아버지가 성우 [[류승곤]]이다.] 수혁의 딸. == 줄거리 == 조직의 보스를 대신해 징역 10년을 선고받은 수혁의 출소 후, 새로운 보스 응국에게 평범하게 살고 싶다고 전한다. 수혁은 오랫동안 사귄 여자 친구를 만나러 가서 자신이 이제 어린 여자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응국은 아직 그를 풀어줄 생각이 없어, 조직 내 2인자 성준에게 수혁을 감시하라고 시킨다. 성준은 수혁을 향한 비뚤어진 질투심에 수혁의 살해를 의뢰한다. 결국 수혁의 딸이 킬러에게 인질로 잡히고, 수혁은 복수를 결심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21387514, IMDb_user=6.0,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a-man-of-reason, 레터박스_user=3.2,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Filmarks=112085, Filmarks_user=2.6,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073166, 도우반_user=4.8,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무비스=, 무비스_user=, ## 무비스_highlight=display, 왓챠=m5ag6Bp, 왓챠_user=1.9,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02310, 키노라이츠_light=22.63, 키노라이츠_star=2.1,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보호자, 네이버영화_audience=5.56,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다음영화=138866, 다음영화_user=6.5, ## 다음영화_highlight=display, CGV=87195, CGV_egg=70, ## CGV_highlight=display,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3050300, 메가박스_user=7.1,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656156, TMDB_user=65,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MyDramaList=59105-the-protector, MyDramaList_user=7.5,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JustWatch=bohoja, JustWatch_user=68, ## JustWatch_highlight=display, 맥스무비=M000119235, 맥스무비_user=7.50,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씨네21=57014, 씨네21_expert=4.67, 씨네21_user=5.00,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https://www.yna.co.kr/view/AKR20230825153200005|관객수 적고 혹평…정우성 '감독 도전기' 씁쓸한 마무리 준비]] 시사회 직후부터 흘러나오던 여러 평가들이 공통적으로 좋지 않더니 결국 상영 이후까지 이어져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작품으로 남았다. 우선 [[클리셰]]를 비틀려는 의도로 투입한 우진 캐릭터가 역효과를 일으켰다는 평이 많다.[* 예컨대 우진이 수혁의 여자친구 민서를 죽인 시점에서 수혁이 복수할 대상이어야 하는데, 우진의 감성 팔이 장면이나 둘이 동업하는 분위기를 살짝 흘려서 설득력을 잃었다. 아무래도 [[브로맨스]]를 의도하고 해당 장면을 연출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러기에는 수혁을 향한 우진의 악행이 너무나도 컸다.] 우진 역을 맡은 [[김남길]]의 연기력 자체는 ‘이 영화에서 김남길만 기억에 남을 정도’라는 호평이 많은 만큼 독보적이지만, 연기력과는 별개로 캐릭터 자체가 주인공 수혁 캐릭터나 작품 전체의 분위기와 대비되어 지나치게 튄다는 평이 있다. 원래 연출을 맡으려고 했던 감독이 중도 하차하게 되면서 [[정우성]]이 대신해 연출을 맡게 되었다고는 하지만, '정우성의 첫 연출작'이라는 타이틀에 비해 지나치게 부족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주인공 역할과 연출자로서의 첫 경험을 동시에 수행할 만큼 촬영장에서 주도권을 강하게 쥐는 배우도 아닌데 너무 큰 역할을 덜컥 맡았다는 평가가 다수다. 관객 평점도 주요 개봉작 4개 중에 CGV Golden Egg 지수가 73%로 가장 낮은 점수다.[* [[달짝지근해]] 95%,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92%, [[메가로돈 2]] 76%.] 또한 박평식 평론가의 매서운 평론 한 줄을 비롯해 다른 평론가들의 평 또한 대체적으로 좋지 않다. === 평론가 평 === >'''겉멋 두른 망상''' >---- > - [[박평식]] ([[씨네21]]) (★★) >'''넘겨짚어야 하는 주동 인물의 당위성''' >---- > - 정재현 ([[씨네21]]) (★★☆) >'''예상대로 진행될 때도 그렇지 않을 때도 모두 당혹스럽다.''' >---- > - [[이동진]] (★☆) == 흥행 == === [[대한민국]] === ||<-7>
'''{{{#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 주차}}}''' || '''{{{#fff 날짜}}}''' || '''{{{#fff 일일 관람 인원}}}''' || '''{{{#fff 주간 합계 인원}}}''' || '''{{{#fff 순위}}}''' || '''{{{#fff 일일 매출액}}}''' || '''{{{#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3,890명 || 3,890명 || 미집계 || 38,482,000원 || 38,482,000원 || ||<|7> 1주차 ||2023-08-15. 1일차(화) || 40,221명 ||<|7> 103,883명 || 7위 || 409,485,801원 ||<|7> 1,023,432,696원 || ||2023-08-16. 2일차(수) || 12,527명 || 6위 || 115,074,583원 || ||2023-08-17. 3일차(목) || 10,429명 || 6위 || 93,913,183원 || ||2023-08-18. 4일차(금) || 8,402명 || 6위 || 82,192,601원 || ||2023-08-19. 5일차(토) || 13,200명 || 7위 || 133,391,219원 || ||2023-08-20. 6일차(일) || 13,627명 || 7위 || 142,279,730원 || ||2023-08-21. 7일차(월) || 5,477명 || 6위 || 47,095,579원 || ||<|7> 2주차 ||2023-08-22. 8일차(화) || 5,190명 ||<|7> 17,132명 || 6위 || 44,924,071원 ||<|7> 149,978,495원 || ||2023-08-23. 9일차(수) || 2,564명 || 6위 || 22,064,199원 || ||2023-08-24. 10일차(목) || 2,220명 || 8위 || 18,906,359원 || ||2023-08-25. 11일차(금) || 1,804명 || 8위 || 16,137,461원 || ||2023-08-26. 12일차(토) || 1,824명 || 13위 || 16,941,212원 || ||2023-08-27. 13일차(일) || 2,087명 || 12위 || 18,781,698원 || ||2023-08-28. 14일차(월) || 1,443명 || 7위 || 12,223,495원 || ||<|7> 3주차 ||2023-08-29. 15일차(화) || 800명 ||<|7> 1,577명 || 12위 || 7,164,282원 ||<|7> 13,260,009원 || ||2023-08-30. 16일차(수) || 320명 || 20위 || 2,374,500원 || ||2023-08-31. 17일차(목) || 149명 || 34위 || 1,188,228원 || ||2023-09-01. 18일차(금) || 65명 || 46위 || 555,099원 || ||2023-09-02. 19일차(토) || 79명 || 50위 || 666,400원 || ||2023-09-03. 20일차(일) || 133명 || 38위 || 1,033,500원 || ||2023-09-04. 21일차(월) || 31명 || 53위 || 278,000원 || ||<|7> 4주차 ||2023-09-05. 22일차(화) || 39명 ||<|7> -명 || 55위 || 331,500원 ||<|7> -원 || ||2023-09-06. 23일차(수) || 54명 || 58위 || 359,000원 || ||2023-09-07. 24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9-08. 25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9-09. 26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9-10. 27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9-11. 28일차(월) || -명 || -위 || -원 || || '''{{{#fff 합계}}}''' ||<-6> '''누적 관객수 126,575명, 누적 매출액 1,225,843,700원'''[* ~ 2023/09/06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손익분기점은 '''160만 명'''이다. * 개봉 전 * 개봉 1일 전 실시간 예매율 4.7%를 기록했다. 초반 입지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두 달 전'''에 개봉하여 장기 흥행하고 있는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 23일 기준으로 예매율 2.9%]에 밀려날 수 있는 위기가 나타났다. * 1주 차 * 같은 날 개봉하는 작품으로는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달짝지근해: 7510]]〉, 〈[[메가로돈 2]]〉가 있다. * 개봉 당일 자정을 기준으로 약 4만 2천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4.2%의 예매율로 〈오펜하이머〉, 〈[[콘크리트 유토피아]]〉, 〈달짝지근해: 7510〉, 〈[[밀수(영화)|밀수]]〉에 이어 예매율 5위를 기록하였다. * 개봉 첫날, 약 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오펜하이머〉, 〈콘크리트 유토피아〉, 〈달짝지근해: 7510〉, 〈밀수〉, 〈엘리멘탈〉, 〈메가로돈 2〉에 이어 일일 관객 수 7위로 시작을 끊었다. * 개봉 2일차에 1만 2천여 명의 관객 수를 보이면서 〈메가로돈 2〉를 제치고 일일 관객 수 6위로 올라섰다. * 개봉 3일차까지 6만 7천여 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하였다. 예매율로는 4위에 있긴 하지만 비교적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달짝지근해: 7510〉, 감독의 명성만으로도 인지도가 높은 〈오펜하이머〉 등에 밀린 것과 현재까지의 흥행 추세로 보아 개봉 1주 차 내에 누적 관객 수 15만 명도 넘기기가 거의 불가능해졌다. 극성수기가 지난 주임도 감안해야겠지만, 이 추세라면 손익분기점의 4분의 1인 40만 관객 동원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 개봉 5일차, 〈메가로돈 2〉에 다시 밀리며 일일 관객 수 7위로 하락하였다. * 개봉 6일차, 약 1만 3천 명대의 관객을 동원하며 누적 관객 수 10만 명을 넘어섰다. 2주 차에는 독립 예술 영화 위주로 개봉하기 때문에 관객 수가 조금이나마 반등할 여지는 있으나 현재로서는 암울한 상황이다. 한편 전날을 포함해 휴일임에도 평일 날 관객 수와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며 사실상 1주 차에 15만 명도 동원하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 개봉 7일차, 5천 명대의 관객을 동원하며 개봉 이후 처음으로 천 단위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하였다. 한편, 이날 약 4천 명의 관객을 동원한 〈메가로돈 2〉를 간신히 넘고 다시 일일 관객 수 6위로 상승하였다. * 2주 차 이후 * 개봉 후 1주 동안 약 10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하면서 광복절 공휴일 특수를 노린 영화 4작품 중 3번째로 낮은 흥행을 기록한 상황인데, 이 조차도 가장 낮은 흥행을 기록한 〈메가로돈 2〉에 비해 5천 명 정도의 차이밖에 나지 않아 사실상 해당 작품과 함께 동순위로 보아도 무방하다. 강력한 경쟁작들이 존재하는 때에 좋지 않은 평가 등으로 인해 초기 입지 확보에 실패하면서 7일차에 천 단위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한 모습으로 보아 현 성적을 뒤집을 수 있을 여지는 사실상 없으므로 출연진들의 명성에 비해 매우 아쉬운, 대략 20만 명을 전후로 하는 성적을 받아들이면서 상영 종료 추세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 관객 수가 12만 명 ~~0.71 [[UBD]]~~에 그치며 흥행에 참패했다. 결국 9월 7일 VOD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 도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분류''' || '''표지''' || '''제목''' || '''발매일''' || '''링크 ''' || || '''메이킹 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호자(영화) 메이킹북.jpg|width=100%]]}}} || '''보호자 메이킹 북'''[br]{{{#808080 {{{-3 저자: 정해신(각본), [[정우성]](각색), 허담(각색), 조성환(콘티)[br]출판사: 가연}}}}}} || {{{-2 2023. 8. 16.}}}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1770537|[[파일:YES24 아이콘.svg|width=22]]]] ||}}}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 2022년 || 제42회 하와이 국제영화제 || 공로상 || [[정우성]] || == 기타 == * 2022년 8월 10일에 개봉했던 [[이정재]]의 입봉작이자 정우성의 출연작 《[[헌트(2022)|헌트]]》가 흥행하면서 이번 작품의 관심도도 높아졌다. * 처음부터 [[정우성]]이 연출을 맡으려던 게 아니었다고 한다. 원래는 입봉을 준비하던 신인 감독이 연출할 예정이었으나 개인 사정으로 하차하게 되었고, 정우성은 앞서 주인공 수혁 역을 제안받고 이미 출연을 결정했던 터라 "그러면 내가 연출을 해볼까?"라고 했더니 제작사 측에서 이를 흔쾌히 받아들여 감독을 맡게 되었다고 한다. 아이를 구출하는 다소 뻔한 내용이었기 때문에 연출을 함에 있어서 뻔하지 않은 스토리를 원해 각본도 수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 《[[용과 같이 시리즈]]》와 전개가 유사하다는 의견도 있다. 해당 게임의 주인공 [[키류 카즈마]]도 징역 10년을 살고, 자신이 좋아하던 여자/연인의 딸의 보호자가 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만으로는 단순히 베꼈다고는 보긴 어렵고 《용과 같이 시리즈》와 다른 점도 많이 있다. * 제47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스페셜 프레젠테이션(Special Presentations) 부문에 공식 초청되었다.[* 본작의 감독이자 출연작인 [[정우성]] 주연의 《[[헌트(2022)|헌트]]》 역시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 초청되었다. 단, 《헌트》는 갈라 프레젠테이션(Gala Presentations) 부문.] [[정우성]], [[김남길]], [[김준한]]이 참석하였다. [[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80724|기사]], [[https://youtu.be/2J61XFAzCIo|영상]] * 영화 전반적으로 [[고티에|Gotye]]의 노래 [[Somebody That I Used To Know]]가 사용되었다. 토론토 영화제에서 정우성이 직접 밝힌 바에 따르면 원래 본인이 즐겨듣던 노래였고, 영화 분위기와도 맞는 것 같아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 제55회 [[시체스 영화제]] 경쟁 부문 오르비타(Orbita) 섹션에 공식 초청되었다.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1155358?ref=naver|기사]] * 제42회 하와이 국제영화제에 공식 초청되었다. 또한 [[정우성]]은 영화제 최고의 영예에 해당하는 어워드인 할레쿨라니 커리어 공로상(Halekulani Career Achievement Award)을 수상하였다. [[http://www.osen.co.kr/article/G1111989666|기사]] * 영화 포스터에서 차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듯이, 영화에서 여러 가지 인상적인 카체이싱 신이 있다고 한다. * 영문 제목인 'A Man of Reason'은 '''이성적인 사람/남자''' 정도로 번역된다. * [[정우성]]의 혼인신고서를 올린 [[지하철]] [[광고]]가 화제가 됐다. '정우성 감독님, 저의 --남편-- 보호자가 되어주시겠어요?' 라는 내용이다. [[https://www.news1.kr/articles/?5110315|기사]] * 2023년 7월 24일,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https://youtu.be/GuHNjq8pARg|풀영상]] * 2023년 8월 9일,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https://youtu.be/_9TkqPl7nN0|풀영상]] 또한, 쇼케이스 행사도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진행됐다. [[https://youtu.be/m08dtf-qG58|풀영상]] * 2023년 8월 16일,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스페셜 GV가 진행됐다. [[정우성]]과 [[김성수(1961)|김성수]] 감독이 참석했다. [[https://youtu.be/pFeW0t_7Z5w|풀영상]] * 2023년 8월 27일,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스페셜 GV가 진행됐다. [[정우성]], [[김남길]], [[김준한]], [[박유나]]가 참석했다. == 외부 링크 == * [[씨네21]] 2023년 한국영화 신작 프로젝트 관련 정우성 감독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1833|인터뷰]] * [[씨네21]] 정우성 감독 데뷔작 ‘보호자’ 촬영 현장을 가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3337|링크]] * [[씨네21]] 평범을 향한 이정표, ‘보호자’의 정우성, 김남길을 만나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3355|링크]] * 제47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https://tiff.net/events/a-man-of-reason|링크]] [[분류:2023년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카 체이스 영화]][[분류:대한민국(21세기)/창작물]][[분류:피카레스크]][[분류:복수물]][[분류:창고 영화]][[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