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미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존 E. 보틀이 만들어 Sky & Telescope 잡지 2001년 2월호에 게재한 밤하늘의 어두움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이 보틀 등급을 활용하면 자신의 위치에서 [[별]]을 얼마나 많이 볼 수 있는지 알 수 있는데, 보틀 등급 지도를 지원해주는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하면 된다. [[https://en.wikipedia.org/wiki/Bortle_scale|영어 위키백과 문서]]. 아래 설명은 영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번역한 것이다. == 등급 == === 1등급 === '''지구상에서 가능한 가장 어두운 하늘.''' * NELM 7.6 - '''8.0'''[* NELM은 육안 한계등급(Naked Eye Limiting Magnitude)을 말하며, 그 뒤의 숫자는 겉보기등급이다.] 참고로 [[해왕성]]이 8등급이다! 보틀 1등급의 하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황도광]], [[대기광]], [[대일조]] 셋이 육안으로 다 보인다. 특히 대기광과 대일조는 매우 어둡기로 유명하다. 설명에는 황도광이 화려하게 보인다고 서술되어 있다. * 황도광 띠가 보인다. 정황상 황도광 띠란 황도광에서 천정까지 뻗어나가는 띠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 [[은하수]]의 [[전갈자리]]와 [[궁수자리]] 부분은 선명한 [[그림자]]를 드리운다. 광공해가 심한 도시는 물론 광공해가 적은 시골에 사는 사람들도 은하수가 그림자를 드리우는 것은 본 적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거짓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완벽히 어두운 곳에서는 은하수가 그림자를 드리우는 것을 볼 수 있다. * 많은 [[메시에]] 천체와 [[구상성단]]은 육안으로 보이며, 특히 [[메시에 33]]은 육안으로 직접적으로(Direct) 볼 수 있다. 삼각형자리 은하는 약한 빛에도 영향을 심하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등급은 (노력을 기울여) 17.5등급. * [[금성]]과 [[목성]]은 암순응에 영향을 미친다.[* 금성의 밝기는 최대 -4.7, 목성의 밝기는 최대 -2.8등급이다.] * 특히 어두운 별자리들이 많이 보인다. === 2등급 === 1등급보다는 아니지만 매우 어두운 하늘. * NELM 7.1 - 7.5 보틀 2등급의 하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황도광은 분명히 노란색이고, 황혼에 그림자를 드리울 만큼 밝다. * 대기광은 수평선 인근에서 약하게나마 관측이 가능할 수 있다. * 구름은 하늘에 어두운 구멍으로 나타난다. * 주변의 물체는 하늘을 배경으로 실루엣처럼 보인다. * 여름 은하수는 매우 구조화되어 있다. 참고로 여름 은하수는 매우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여름 은하수에서는 은하중심 인근을 볼 수 있기 때문. * 많은 메시에 천체와 구상성단은 육안으로 보이며, 메시에 33은 여전히 육안으로 보인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등급은 16.5등급. === 3등급 === 한국에서 별 보기 스팟이라고 알려진 곳의 보틀 등급이 보통 3등급이다. * NELM 6.6 - 7 보틀 3등급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황도광은 봄과 가을에 ~~[[크고 아름다운]]~~ 다채로운 색깔을 띈다. * 몇몇 광공해가 수평선 근처에서 분명하다. * 구름은 수평선 근처에서 빛을 받아 빛나며 천정 인근에서는 어둡다. * 가까운 주변 물체가 어렴풋이 보인다. * 여름 은하수는 여전히 복잡해 보인다. * [[메시에 15]], [[메시에 4|4]], [[메시에 5|5]] 그리고 [[메시에 22|22]]는 육안으로 보인다. 이 넷은 어두운 곳에서 시력이 좋으면 관찰할 수 있다. * [[메시에 33]]은 [[주변시]]로 잘 볼 수 있다. 주변시란 볼 천체에서 살짝 떨어진 곳을 보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주변에 있는 어두운 천체를 더 잘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주의할 것은 볼 천체로 눈을 돌리면 안 된다는 것.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등급은 16등급 === 4등급 === 한국에서 별 보기 스팟이라고 알려진 곳 중 광공해가 조금 있다 싶은 곳은 높은 확률로 보틀 등급이 4등급이다. 더 높은 등급에서는 (시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은하수나 4등성 별들을 보기 힘들다. * NELM 6.3 - 6.5 보틀 4등급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황도광은 보이기는 하지만 천정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황도광 되게 좋아하네-- * 광공해가 여러 방향에서 보이기 시작한다. * 구름은 광공해 방향에서 빛을 받아 빛나며 머리 위의 구름은 어둡게나마 보인다. 보틀 4등급의 하늘에서부터는 하늘을 보면 구름이 신경쓰이기 시작한다. * 주변 물체는 거리를 둬도 선명하게 보인다. * 수평선 근처의 은하수는 여전히 선명하지만 디테일이 안 산다. * [[메시에 33]]은 이제 주변시로도 보기가 힘들고, 하늘에 높이 떠 있을때만 쉽게 보인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으로의 한계 등급은 15.5등급. ==== 4.5등급 ==== 도시에서 조금 떨어진 곳의 보틀 등급이 대체로 4.5등급에서 5등급 사이에 머무른다. * NELM 6.1 - 6.3 보틀 4.5등급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광공해의 방향에서 구름은 빛을 받아 더 빛나고 심지어 천정에서도 약하게 빛난다. * [[은하수]]는 수평선 근처에서 어렴풋이 보이며, 그레잇 리프트(Great Rift)의 경우 머리 위에서 보인다. 참고로 그레잇 리프트란 은하수 띠 중간에 있는 어두운 공간을 말한다. * 은하의 테두리 관측이 어렵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 등급은 15.2 === 5등급 === * NELM 5.6 - 6 보틀 5등급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봄과 가을에 황도광의 흔적만이 어렴풋이 보인다. * 광공해가 거의 모든 방향에서 보이기 시작한다. * 구름은 눈에 띄게 하늘보다 더 밝게 보인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 등급은 15등급. 참고로 어두운 곳에서 [[반달]]이 뜨면 하늘이 푸른색으로 변하며 보틀 5등급의 환경으로 변한다. === 6등급 === 밝은 교외 지역이 보틀 6등급이다. * NELM 5.1 - 5.5 보틀 6등급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 황도광은 안 보인다. * 광공해가 수평선 인근 35도의 하늘을 뒤덮어버린다. 참고로 35도의 겉보기 크기는 남반구의 [[검 성운]]과 맞먹는 정도이며 은하수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30도이다. * 하늘에 어느 위치에서나 구름은 밝게 보인다. * [[권운]]같은 고층운도 이제 빛을 받아 밝게 빛난다. 권운은 특히 광공해를 심하게 받기로 유명하다. * 주변 물체들이 잘 보인다. * 은하수는 천정 근처에서만 보인다. * 메시에 33은 이제 보이지 않으며 [[메시에 31]]은 적당히 밝게 보인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등급은 14.5등급 === 7등급 === 빛이 덜 있는 도시가 보통 보틀 7등급이다. * NELM 4.6 - 5 보틀 7등급의 하늘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아래와 같다. * 광공해로 인해 온 하늘이 회색으로 변한다, * 강한 광원이 모든 방향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 구름이 밝게 빛난다. * 은하수는 거의 볼 수 없다. * [[메시에 31]]과 [[메시에 44]]가 살짝 보일 수는 있지만 역시 디테일이 안 산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등급은 14등급. 참고로 어두운 곳에서 보름달이 뜨면 하늘이 파랗게 빛나면서 보틀 7등급의 환경이 된다. 이래서 보름달이 뜨는 날을 전후하여 며칠은 별 관측 일정을 잡지 않는 편이 낫다. 도시에서 별을 보는 것과 별반 다를 게 없으니. === 8등급 === 이제부터는 도시의 하늘이다. * NELM 4.1 - 4.5 보틀 8등급에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하늘은 회색이나 오렌지색으로 빛난다. * 쉽게 글자를 읽을 수 있다, * 메시에 31과 메시에 44는 숙련된 관찰자가 살짝 볼 수 있다. * 망원경으로도 밝은 메시에 천체만 볼 수 있다, * 12.5인치 반사망원경의 한계등급은 13등급이다. === 9등급 === 대도시의 하늘이다. * NELM - 4.0 사실 4등성만 봐도 시력이 매우 좋은 것이다. 시력이 좋지 않으면 북두칠성의 별 몇 개도 겨우 볼 수 있다. 보틀 9등급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하늘이 밝게 빛난다. * 별자리를 형성하는 별들은 이제 대부분 보이지 않는다. * [[플레이아데스성단]]을 제외하고 육안관측이 가능한 메시에 천체는 없다. * 관측 가능한 천체는 달, 밝은 별이나 성단, 밝은 위성, 행성 뿐이다. == 관련 문서 == * [[존 E. 보틀]] * [[천문학 관련 정보]] [[분류:천문학]] -----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