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분류:행궁]] [include(틀:조선의 별궁과 궁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은 장재리 대궐터 전경.png|width=100%]]}}} || || {{{#gold '''현재의 보은행궁터 전경[* 지금의 장재삼거리 앞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시대]]의 행궁. 세조가 [[속리산]]에 갈 때 머물기 위해 지은 행궁이다. == 위치 ==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장재리에 있었다. 으로, 현재는 이른바 '장재리 행궁터' 등으로 불린다. 말티고개 입구인 장재마을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 행궁터 표지석이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 상세 == 1464년(세조 10년)에 세조가 [[속리산]]에 거둥하면서 행궁을 이용했다는 내용의 기록이 있다. 이와 별개로 [[법주사]]에도 행궁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 《[[세조실록]]》 32권 / 세조 10년 2월 28일 신해 1번째기사 / 1464년 명 천순(天順) 8년 > 속리사[* [[법주사]]]와 복천사[* 현재의 복천암]에 행행하고 쌀·노비·전지 등을 하사하다 > ---- > 임금이 속리사(俗離寺)에 행행(行幸)하고, 또 복천사(福泉寺)에 행행하여, 복천사에 쌀 3백 석, 노비(奴婢) 30구(口), 전지(田地) 2백 결(結)을, 속리사에 쌀·콩 아울러 30석을 하사하고 신시(申時)082) 에 행궁(行宮)으로 돌아왔다. 행궁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세조 이외에는 왕이 보은에 행차한 기록이 없어, 그 이후로는 사실상 버려진 듯 하다. 그렇게 방치되다가 건물 스스로 자연스레 무너지거나 또는 [[훼철]]당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복원 및 재현 == 2000년대 초반에 복원, 재현을 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무산되었고 현재도 복원 계획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