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E2E2E> '''{{{#white (영) Boyak Game [br](한) 보약게임}}}''' || [[파일:보약게임2.png|width=50%]] [목차] == 보약게임의 특징 == 보약게임의 의미는 '보드게임은 가족 모두의 보약입니다'의 줄임말이다. 단순한 게임을 즐기는 놀이의 차원을 넘어, 기능적 활용 목적을 갖고 하는 [[보드게임]]을 말한다. [[4차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인사이트]]로서 보드게임을 기능적으로 활용한다. 사람과 사람이 마주하는 대면적 환경을 제공하고 감성을 키우는 활동이자 과정중심 문제해결과 상대적인 상황적 판단을 통해 열린 사고를 개발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함께하는 '경험'을 통한 '가치를 생산하는 경험가치의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 == 보약 게임 매장 == * [[https://smartstore.naver.com/aurumk/?NaPm=ct%3Dl58v1usv%7Cci%3Dcheckout%7Ctr%3Dds%7Ctrx%3D%7Chk%3D165fccac51dc1634df41091c08f4c4139d7b3318|컴퍼니오름 스마트스토어]] *[[https://www.kacea.co.kr/main/index.php|보드게임스쿨]] == 보약 게임 리스트 == 게임명 뒤에 숫자는 각 시리즈의 넘버를 의미한다. === S.P.C 시리즈 === Study, Play Communication 교육, 놀이, 소통을 위한 S.P.C 시리즈는 5분 안에 배워 플레이 시간이 20분이 넘지 않는 활용적인 카드게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 [[슬리핑퀸즈]] 1 * [[위그아웃]] 2 * [[제우스온더루즈]] 3 * [[선물입니다]] 4 * [[코너드]] 5 * [[코요테(보드게임)]] 6 * [[사자를 잡아랏]] 7 * [[초밥왕]] 8 * [[트래시판다]] 9 * [[아기늑대 삼형제]] 10 * [[벨로니모]] 11 === M.S.G 시리즈 === Memory Simple Game 간단하지만 재미있는 카드게임 M.S.G 시리즈는 미니 카드게임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암기력과 추리력이 필요한 보약게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 [[피카픽]] 1 * [[피카독]] * [[피카폴라베어]] * [[도토리원정대]] 2 * [[눈치코치]] 3 * [[뭉치뭉치]] 4 * [[바이바이 블랙쉽]] 5 === E.G.G 시리즈 === Easy Good Game 명작의 테마가 살아 있는 스토리 게임이다. E.G.G 시리즈는 보약게임 시리즈 중 이야기와 테마가 가장 흥미로운 시리즈이다. * [[와일드 사파리]] 1 * [[드래곤우드]] 2 * [[포레스트(보약게임)]] 3 * [[잉카의 황금]] 4 * [[포세일]] 5 * [[치키멍키]] 6 * [[더 시티]] 7 === Bo.S.S 시리즈 === Boyak Square Selection 네모난 정사각형 패키지에 암산과 모험을 테마로 하는 보약게임이 주를 이룬다. Bo.S.S 시리즈는 전략적 사고나 창의력과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 [[메이크텐]] 1 * [[알마도라]] 2 * [[해트릭스]] 3 * [[셀레스티아(보드 게임)]] 4 * [[배고픈공룡]] 5 * [[킹업!]] 6 === FUN 시리즈 === Family Use Newness FUN시리즈는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는 보약게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재미와 소통을 담은 플레이가 가능하다. * [[블록고]] 1 * [[플라잉치즈]] 2 * [[여우와 탐정]] 3 * [[블록버스터(보드게임)]] 4 * [[필링스]] 5 * [[흔들어봐! 헬프요정]] 6 * [[랫어탯롤]] 7 === 시리즈외 보약게임 === * [[스톨른 페인팅]] * [[탐정들]] * [[개구리 뒤집기]] * [[초밥대왕]] * [[아이오타]] * 안전할까 * 레스큐히어로 * 버킷킹 3D * 바다동물장기 * 스토리큐브 * [[후르츠스파이]] * 이너피클 * [[포비든 아일랜드]] * [[포비든 데저트]] * 디노 트위스트 * 바나나그램스 * 바나나그램스 듀얼 * 워드온더 스트리트 클래식 앤 패밀리 * [[랜드 VS 씨]] * [[이게 왜? 오리너구리]] == 기타 == 약간 난이도 있는 게임의 경우 오역 문제가 있는 편이다. [[시티]]같은 게임의 경우 보드게임을 해보지도 않은 사람이 번역한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게임 진행에 힘든 수준으로 오역이 많다. 배고픈 공룡, 개구리 뒤집기 등 다양한 설명서에 오역 및 오타가 많은 것으로 보아 설명서에 대한 검수는 잘 하지 않는 것 같다. 대신 유튜브에는 설명이 많은 편 == 관련 문서 == * [[보드 게임]] [[분류:보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