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로구의 버스회사)] [include(틀:관악구의 버스회사)] ||<-2><:> '''{{{+2 보성운수 주식회사}}}'''[br]普聖運輸 株式會社[br]Bosung Transportation Corp. || || '''설립일''' ||[[1971년]] [[5월 26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유광봉, 박도식[* [[범일운수]]의 대표직도 함께 역임중이다. 보성운수가 현대자동차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인 듯 하다.] || || '''모회사''' ||[[범일운수]] || || '''주요 주주''' ||'''[[범일운수]]: 40.68%'''[br][[다모아자동차]]: 14.41%[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313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6억 2,720만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285억 6,907만 9,688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12억 9,698만 1,958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13억 7,413만 6,632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260억 7,725만 8,962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125억 3,847만 5,939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92.61%^^(2022년 기준)^^ || ||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로]] 84 ([[구로동]] 145-17)[br]'''[[난곡영업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난곡로(서울)|난곡로]] 99 ([[신림동]] 678-1)[br]'''온수영업소''' - [[서울특별시]] [[구로구]] [[부일로]] 841 ([[온수동]] 60, [[온수공영차고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서울특별시]] [[구로구]] 도림로 84(구로3동 145-17)[* [[군포교통]]의 면허등록지도 이쪽의 3층으로 되어있다.]에 주 사무소 및 차고지를 두고 있으며, [[관악구]] 난곡로 99([[신림동]] 678-1)과 [[구로구]] 부일로 841(온수동 60)에 영업소가 있다. 난곡 노선의 가스 충전은 [[금천구]] 시흥5동 [[범일운수]] 차고지에서 하며, 구로동 소속 노선은 [[양천공영차고지]]에서 한다. 660번은 온수동차고지의 충전소에서 충전한다. 1971년 5월 26일에 [[서울승합]]에서 [[영등포]]영업소를 분리 독립하여 설립하였고, 1973년 3월 20일에는 [[오류동(구로구)|오류동]]영업소, [[신정동(양천구)|신정동]]영업소 등을 [[세풍운수]]로 분리 독립시켰다. 1974년에는 영일교통(구 영등포합승자동차)[* 영등포합승자동차 시절 새서울버스(훗날 개봉여객, [[광명운수]], 2000년 3월 31일 폐업), [[보영운수(서울)|보영운수]], [[영인운수]], 삼광운수(훗날 남도운수, [[흥기운수]], 2001년 2월 폐업) 등이 분리독립해나가 규모가 축소되었다.]을 흡수합병해서 난곡영업소를 오픈했다. 2004년 7월 서울 시내버스 대개편 때 [[서울교통네트웍]]에 출자했으며, 2010년 8월 탈퇴했다. 출자했던 지분을 가지고 와 660번 공동 배차 및 온수동 영업소를 오픈했다. 2009년 하반기에 [[다모아자동차]] 법인 및 회장, [[범일운수]]가 지분을 투자했고, 최대주주는 40.68%의 지분을 가진 범일운수이다.[* 2대 주주는 [[다모아자동차]] 회장이다.] 2010년 7월 1일에 서울 업체 최초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프리머스]]를 출고했다. 1980년대에 현대 RB585를, 1986년~1987년에 RB520L을, 1988년~1989년에 RB520SL을 구입하였으며 2000년에 에어로시티 540SL 2대를 구입하기도 했으나 RB520L과 RB520SL은 1996년과 1998년에 걸쳐 BS106L 하이파워와 로얄시티로 각각 대차, 에어로시티 540SL은 2007년에 모두 로얄시티로 대차되었다.[* 최대주주가 [[범일운수]](18%)인 영향도 한몫하는 듯. 그 근거로 범일운수 박도식 대표이사가 보성운수의 공동대표이사로 있다.] 그러나 프리머스에 데였는지, 한 번 출고한 이후로는 다시 대우 차량만 출고하다가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의 베트남 이전 관련 문제로 말도 많고 당분간 출고가 불가능해진 바람에 [[에디슨 화이버드]]를 출고했다. 특이하게 버스 앞 부분에 노란색 스마일 스티커를 붙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 배차]]시 나름 구분이 가능하다. 대우 뉴비시리즈 후면 BLU가 대우 순정 제품을 붙이고 다녔었다. 물론 지금은 노선번호 후면 스티커 교체로 인해서 제거되었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 [[범일운수]]와 함께 현대차가 하나도 없는 단 둘뿐인 업체 중 하나다. [[전기버스]]도 범일운수처럼 [[에디슨모터스]]와 [[우진산전]]을 도입한다. [[천연가스버스]]도 제조하는 [[에디슨모터스]]의 출고 지연으로 전기버스만 제조하는 [[우진산전]]의 차량이 먼저 도입되며, 에디슨 스마트 110 도입으로 프리머스는 전멸했다. 2022년 4월 팬더가 전멸되고 전 차량 대형화가 이뤄졌다. 2023년 3월 1일부터 현금승차 폐지 확대운영 업체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2023년 3월 1일 부터 이 회사의 버스는 교통카드가 있어야 승차 가능하며, 교통카드가 없으면 승차할 수 없다. == 운행 노선 == >__밑줄__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 구로동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5618|{{{#5bb025 5618}}}]]''' || 구로동 || (→ 디지털단지오거리→ 금천우체국 → [[석수역]] → 금천우체국 → 디지털단지오거리 →) - [[대림역]] - 신길5동주민센터 - [[영등포역]] → [[여의도환승센터]] → [[여의도역]] → [[샛강역]] → [[여의나루역]] → [[국회의사당역]] → [[영등포역]] || 구로동 || 7~12 || || '''[[서울 버스 6512|{{{#5bb025 6512}}}]]''' || 구로동 || [[남구로역]] - 구로구청 - [[구로역]] - [[영등포역]] - [[신길역]] - 우신초등학교 - [[신풍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난곡입구 - [[신림역]] → [[봉천역]] → 관악구청 → [[서울대학교]] → 쑥고개입구 → [[신림역]] || [[서울대학교]] || 6~13 || || '''[[서울 버스 8552|{{{#5bb025 8552}}}]]'''[*맞춤 맞춤버스. [[보영운수(서울)|보영운수]]와 공동배차.] || 신림복지관 || 우림시장 → 난곡우체국사거리 → 호림박물관 || [[신림역]] || 9~11 || === [[난곡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5522|{{{#5bb025 5522A}}}]]''' || 난곡 || __우림시장 → 난곡우체국사거리__ → 호림박물관 → __[[신림역]] → 미림고개 → 삼성산주공아파트 → 난곡종점 → 우림시장 → 난곡우체국사거리__ → [[신대방역]] → __[[신림역]] → 미림고개 → 삼성산주공아파트__ || 난곡 || 8~15 || || '''[[서울 버스 5522|{{{#5bb025 5522B}}}]]'''[*공동배차1 [[한남여객운수]]와 공동배차.] || 난곡 || __삼성산주공아파트 → 미림고개 → [[신림역]]__ → [[신대방역]] → __난곡우체국사거리 → 우림시장 → 난곡종점 → 삼성산주공아파트 → 미림고개 → [[신림역]]__ → 호림박물관 → __난곡우체국사거리 → 우림시장__ || 난곡 || 10~15 || || '''[[서울 버스 5523|{{{#5bb025 5523}}}]]''' || 난곡 || 우림시장 - 난곡우체국사거리 - [[신림역]] → [[봉천역]] → 관악구청 → 쑥고개 → [[신림역]] || 관악구청 || 7~16 || || '''[[서울 버스 5615|{{{#5bb025 5615}}}]]''' || 난곡 || 우림시장 - 난곡우체국사거리 - 디지털단지오거리 - (→ 구로남초등학교 →/← 가리봉시장 ←) - 구로시장 - [[구로역]] - [[영등포역]] → [[여의도환승센터]] → [[여의나루역]] → [[국회의사당역]] → [[영등포역]] || 여의도 || 8~10 || === [[온수공영차고지|온수영업소]] 소속[* [[서울교통네트웍]]에서 위탁관리한다. 이는 과거 보성운수가 STN에 지분을 출자했었기에 그 흔적이 지금까지도 이어져오고 있고, 운행사원을 제외하면 모든 권리가 STN 측에 있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660|{{{#3d5bab 660}}}]]'''[*공동배차2 [[서울교통네트웍]]과 공동배차.] || 온수동 || [[온수역]] - 유한공고.성공회대 - 항동하버라인 - [[오류동역]] - [[개봉역]] - [[구로역]] - 타임스퀘어 - [[당산역]] - 염창동새마을금고 - [[증미역]] → [[가양역]] → 서울서진학교 → 가양초등학교 || 가양동 || 12~16 || == 과거 운행 노선 == ===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전 노선 === * 101번 : 난곡차고지 ↔ 노량진(폐선) === 개편 후 노선 === * 5521번 : 난곡차고지 ↔ 낙성대(2006년 11월 24일 폐선) == 면허 체계 == * 서울 '''70'''사 '''6687'''호 ~ '''6731'''호[*A [[서울교통네트웍]]에 출자하였다 탈퇴로 인해 넘어 온 면허] * 서울 '''70'''사 '''83##'''호 ~ '''84##'''호[* [[구로구]] 면허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번호] * 서울 '''71'''사 '''3233'''호 ~ '''3260'''호[*A] * 서울 '''74'''사 '''1122'''호 * 서울 '''74'''사 '''13##'''호 * 서울 '''74'''사 '''26##'''호 * 서울 '''74'''사 '''2701'''호 ~ '''2891'''호[* 본 회사 주 면허. 세풍운수와 공유.] * 서울 '''74'''사 '''33##'''호 * 서울 '''74'''사 '''6950'''호 ~ '''6975'''호[* 구 [[영일교통]] 주 면허] * 서울 '''74'''사 '''96##'''호 * 서울 '''75'''사 '''2756'''호 ~ '''2759'''호[* 본 회사 증차 면허. 이 중 2758호는 감차 과정에서 [[선진운수]]로, 2759호는 [[동해운수]]로 넘어가 현재는 2756호와 2757호만 존재한다.]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 [[KGM커머셜]] ==== * [[에디슨 화이버드|에디슨 화이버드 천연가스버스]] * [[에디슨 화이버드|에디슨 NEW 화이버드 천연가스버스]] * [[KG 스마트|에디슨 스마트 110 전기버스]] ==== [[우진산전]] ==== * [[우진산전 아폴로|우진산전 아폴로 1100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L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SL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85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새한 BD|새한 BD098 디젤]] * [[새한 BD|새한 BD101 디젤]] * [[새한 BU|새한 BU120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V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KGM커머셜]] ==== * [[한국화이바 프리머스|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천연가스버스]] ==== [[기아]] ==== * [[아시아 P버스|아시아 P9AMC 디젤]] * [[기아 AM버스|기아 AM807 디젤]] == 사건사고 == * 2015년 11월 27일 새벽에 이 회사의 영업소인 [[난곡영업소]]에 괴한이 침투해 카드단말기 10대와 일부 사이드미러까지 파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관악구]]에 차고지가 위치한 버스회사 중 대우버스를 운용하는 회사는 보성운수뿐이며, 결정적으로 스마일 스티커는 이 회사의 트레이드 마크나 다름없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89748&ref=A|KBS 보도]] 파손된 단말기가 안 먹히자 요금을 안 받고 [[서울 버스 5615|여의도를 돌고 왔다고.]] 후에 밝혀진 바로는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90596&ref=A|종점에서 안 깨워줘서]] 홧김에 부순 것이라고 한다. * 2020년 8월 23일 이 회사의 본사 소속 기사 3명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확진 판정을 받아 소속 노선인 [[서울 버스 5618|5618번]]과 [[서울 버스 6512|6512번]]의 노선의 운행이 4시간 동안 중단되었다. [[https://www.gokorea.kr/688869|#]] 이후 방역을 마친 후 70% 수준으로 운행을 재개했으며 다음 날부터 정상적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 사진 == || [[파일:660보성운수.jpg|width=100%]] || [[파일:20230210_161701.jpg|width=100%]] || || 간선버스 || 지선버스 ||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범일운수]] || 40.68%|| 모회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다모아자동차]] || 14.41%||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경동 || 6.78%|| [* [[다모아자동차]] 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노화 || 5.93%||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수민 || 5.93%|| || ||기타(이준석[* [[다모아자동차]] 대표이사] 외) || 26.27%|| 10인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분류:버스 회사]][[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71년 설립]][[분류:서울 구로구의 교통]][[분류:서울 관악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