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목차] [clearfix] == 개요 == [[자유 계약]] 제도에 의해 타 구단으로 이적한 선수의 반대 급부로 '보상'의 형태로써 원 구단이 선택하는 타 구단의 선수를 의미한다. FA계약으로 타 구단에서 선수를 영입하게 되면 해당 구단은 로스터 한 자리가 비게 되는데, 알기쉽게 이야기하자면 물론 현실에는 없는 극단적인 이야기이지만 선수단이 10명일 경우 1명이 FA로 빠지면 야구경기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있는 규정. 현실적으로는 보통 나간 자리에 2군에서 선수를 올려다 로스터를 채우는데 선수단이 45~50명 정도로 꽉 채우지 않았을 경우 2군 경기에 지장이 생긴다. 21세기 현대야구는 육성선수까지 80명 넘게도 선수단을 꾸리지만 아시아 리그에 FA제도가 처음 생길 당시엔 1군은 아니더라도 2군 경기에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필요한 규정이었다. 일본프로야구 규약을 들여오며 그대로 들여왔는데, 미국에는 없는 규정으로 그쪽은 '''알아서 메꿔라'''가 기본 스탠스. 동양리그 역시 현재는 두어명 빠져도 문제없기 때문에 폐지여부에 대해 논의가 오가는 조항이기도 하다. 보통 FA로 나간 선수를 대신할 선수 혹은 그러한 선수를 영입할 수 있을 정도의 돈(규정따라 다르지만, FA유출 선수의 직전 해 연봉의 2~3배 정도)중 하나를 선택해서 받게 된다. 물론 FA로 나가는 선수와 완전히 똑같은 수준의 선수를 영입할 수 있다면 FA계약의 의미가 없으므로 보통은 구단이 특정 선수 몇몇을 보호선수로 지정하고 이 외에서 선수를 고르게 되며, 보상선수로 나가게 되는 선수는 FA선수보다는 실력이 떨어지는 선수가 많다. 물론 사람이 하는 일인지라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다. 정작 FA로 영입한 선수는 실력이 저하되어 똥을 싸는데, 보상선수로 가 버린 선수는 오히려 이후로 기량이 발전하며 더 큰 활약을 한다던가. 이 때는 오히려 보상선수와 FA선수를 바꾸는 드립을 친다. 정말 여담으로, KBO리그에선 트레이드 및 보상선수 등으로 타의로 팀을 옮기게 된 선수는 어지간해선 연봉을 소폭 올려주는 관례가 있다. 아무래도 타의에 의해 급작스럽게 직장을 옮기게 되었으니 그에 대한 보상 내지는 위로금과, 너는 이전 구단에서 버려진 것이 아니라 새 구단에서 기대를 갖고 너를 데려왔으니 앞으로 잘해보자는 격려의 의미, 그리고 집을 옮겨야 하니 방 구하고 이사하는 비용으로 쓰라는 뜻으로 소폭 인상을 해주는 것이 관례. 특히 보상선수로 나가는 선수들은 아직 1군에서 검증된 활약을 보이지 못해 보호선수로 묶이지 못한, 저연차의 어린 선수들이 많기 때문에 아직 어려서 저금이 많지 않아 이사비 몇백도 은근히 큰 지출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구단에서 이를 보조해주는, 나름 훈훈한 전통이다. 연봉 3천짜리 선수는 10%를 올려줘도 300만원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구단 입장에서는 큰 지출이 아니기도 하고. FA계약이 늦어져서 이전 구단에서 연봉협상을 이미 하고 왔거나 해서 올려줄 수 없는 경우엔 금일봉을 지급하는 경우도 많다. == [[KBO 리그]] == KBO의 경우 [[육성선수]], 당해 [[FA]] 신청 선수, 군보류 선수, 신인 선수(해당 시즌 입단선수), 외국인 선수, 당해년도 2차 드래프트 이적 선수, 당해년도 FA 보상으로 이적한 선수[* 이 규정이 생긴 이유는 [[임훈]] 문서 참조.]은 보상 선수로 지명될 수 없다. 이러한 보상 선수 제도에 지명되지 않기 위해선 FA 이적 공시 후 3일 내에 원 소속 구단에게 A등급은 20인, B등급은 25인을 보호명단 안에 묶어 주어야 한다. 다만, C등급일 경우에는 보상 선수 없이 해당 선수의 전년도 연봉 150%만 지급하면 된다.[* 참고로 FA 등급제는 2021년도 FA부터 적용되었으며 그전까지는 신생 구단 혜택을 제외하고는 무조건 보상으로 이적 선수의 전년도 연봉 300% 혹은 연봉 200%와 20인외 보상 선수 1명을 내줘야했다. A급과 B급의 경우 보상 선수를 내주지 않는다면, 현금으로만 보상한다.] == [[한국프로농구]] == == 보상 선수로 지명 받아 이적한 선수 == === [[KBO 리그]] === * [[박충식]][* [[이강철]]의 보상선수] * [[김상엽]][* [[김동수(야구)|김동수]]의 보상선수] * [[최익성]][* [[홍현우]]의 보상선수] * [[조규제]][* [[박경완]]의 보상선수] * [[신동주(야구)|신동주]][* [[마해영]]의 보상선수] * [[손지환]][* [[진필중]]의 보상선수] * [[문동환]][* [[정수근]]의 보상선수] * [[신종길]][* [[이상목]]의 보상선수] * [[노병오]][* [[박종호(1973)|박종호]]의 보상선수] * [[안재만]][* [[김재현(1975)|김재현]]의 보상선수] * [[이정호(1982)|이정호]][* [[박진만]]의 보상선수] * [[정병희]][* [[김민재(내야수)|김민재]]의 보상선수] * [[신재웅]][* [[박명환]]의 보상선수] * [[이원석(1986)|이원석]][* [[홍성흔]]의 1차 FA 보상선수][* FA 보상 선수로 구단을 떠난 뒤 FA 자격으로 이적한 최초의 선수다.] * [[이승호(1976)|이승호]][* [[이진영]]의 보상선수] * [[안영명]][* [[이범호]]의 보상선수] * ~~[[임훈]]~~[* [[임경완]]의 보상선수로 SK에서 롯데로 갔다가 같은 시즌 [[정대현(1978)|정대현]]의 보상선수로 롯데에서 SK로 되돌아왔다. 유일무이한 보상선수 리턴픽 사례.] * [[허준혁(1990)|허준혁]][* [[이승호(1981)|이승호]]의 보상선수] * [[나성용]][* [[송신영]]의 보상선수] * [[임정우]][* [[조인성(야구)|조인성]]의 보상선수] * [[윤지웅]][* [[이택근]]의 보상선수] * [[김승회]][* [[홍성흔]]의 2차 FA 보상선수, [[윤길현]]의 보상선수로 2번 이적] * [[홍성민]][* [[김주찬]]의 보상선수] * [[이승우(1988)|이승우]][* [[정현욱(1977)|정현욱]]의 보상선수] * [[한승택]][* [[이용규]]의 보상선수] * [[신승현]][* [[이대형]]의 보상선수] * [[김민수(1991년 3월)|김민수]][* [[권혁]]의 보상선수] * ~~[[정현석]]~~[* [[배영수]]의 보상선수로 한화에서 삼성으로 갔다가 정현석의 위암 투병 사실이 밝혀지면서 삼성이 현금 트레이드 형식으로 한화로 되돌려보냈다.] * [[임기영]][* [[송은범]]의 보상선수] * [[정재훈(1980)|정재훈]][* [[장원준]]의 보상선수] * [[조영우]][* [[정우람]]의 보상선수] * [[박한길]][* [[심수창]]의 보상선수] * [[최승준]][* [[정상호]]의 보상선수] * [[최재원(야구선수)|최재원]][* [[박석민]]의 보상선수, [[우규민]]의 보상선수로 2번 이적] * [[이흥련]][* [[이원석(1986)|이원석]]의 보상선수] * [[강한울(야구선수)|강한울]][* [[최형우]]의 보상선수] * [[이승현(1991)|이승현]][* [[차우찬]]의 보상선수] * [[조무근]][* [[황재균]]의 보상선수] * [[나원탁]][* [[강민호]]의 보상선수] * [[백동훈(야구선수)|백동훈]][* [[민병헌]]의 보상선수] * [[유재유]][* [[김현수(1988)|김현수]]의 보상선수] * [[이형범]][* [[양의지]]의 1차 FA 보상선수] * [[김현수(2000년 7월)|김현수]][* [[안치홍]]의 보상선수] * [[강승호]][* [[최주환]]의 보상선수] * [[박계범]][* [[오재일]]의 보상선수] * [[박정수(야구선수)|박정수]][* [[이용찬]]의 보상선수] * [[강진성]][* [[박건우(1990)|박건우]]의 보상선수] * [[김재성(야구선수)|김재성]][* [[박해민]]의 보상선] * [[하준영]][* [[나성범]]의 보상선수] * [[문경찬]][* [[손아섭]]의 보상선수] * [[김대유]][* [[박동원]]의 보상선수] * [[김유영(야구선수)|김유영]][* [[유강남]]의 보상선수] * [[윤호솔]][* [[채은성]]의 보상선수] * [[전창민]][* [[양의지]]의 2차 FA 보상선수] * [[안중열]][* [[노진혁]]의 보상선수] * [[김태훈(1996)|김태훈]][* [[김상수(타자)|김상수]]의 보상선수] * [[박준영(1997)|박준영]][* [[박세혁]]의 보상선수] * [[이강준]][* [[한현희]]의 보상선수] === [[일본프로야구]] === * [[사카이 토모히토]] * [[아카마츠 마사토]] * [[오노 후미야]] * [[오다 코헤이]] * [[오카모토 신야]] * [[오쿠무라 노부유키]] * [[우츠미 테츠야]] * [[이치오카 류지]] * [[장이(야구)|장이]][* 비일본 출신 선수로는 최초이며(대만), 일본에서 고교와 대학을 졸업하여 외국인선수가 아니다.] * [[초노 히사요시]] * [[쿠도 키미야스]] * [[타나카 세이기]] * [[타이라 켄타로]] * [[타카기 하야토]] * [[타카하마 타쿠야]] * [[타케야스 다이치]] === [[V-리그]] === ==== 남자부 ==== ==== 여자부 ==== * --[[김유리(배구)|김유리]]--[* 2016-17시즌 이후 FA를 통해 IBK기업은행으로 이적한 염혜선의 보상선수로 지명되어 현대건설로 이적했다가 하루 만에 한유미와 트레이드되어 GS칼텍스로 이적했다.] * [[김주향]][* 2018-2019시즌 이후 FA를 통해 현대건설로 이적한 [[고예림]]의 보상선수로 지명되어 IBK기업은행으로 이적했다가, 2022-23시즌 이후 FA자격으로 이적한 황민경의 보상선수로 지명되어 친정팀으로 되돌아왔다.] * [[남지연]] * [[신연경]] * --[[이고은(배구선수)|이고은]]-- * [[염혜선]] * 오지영 * [[정시영]] * [[표승주]] * --[[한유미]]--[* 2016-17시즌 이후 FA를 통해 현대건설로 이적한 황민경의 보상선수로 GS칼텍스로 이적했다가 하루 만에 김유리를 상대로 트레이드되면서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친정팀]]으로 되돌아왔다.] * [[황민경]][* 2015-16시즌 이후 FA를 통해 한국도로공사로 이적한 배유나의 보상선수로 지명되어 GS칼텍스로 이적했고, 한 시즌 만에(2016-17시즌 이후) 본인도 FA자격으로 현대건설로 이적했다.] [[분류:KBO 리그]][[분류:일본프로야구]][[분류:야구용어]][[분류:한국프로농구]][[분류:농구 용어]][[분류:V-리그]][[분류:배구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