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보문사)]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97호 ||<|2> ← || '''98호''' ||<|2> → || 99호 || || [[오공신회맹축]] || '''보문사 석가불도''' || [[보문사 신중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8호}}}]]''' || ||<-2> {{{#fff {{{+1 '''보문사 석가불도'''}}}[br]{{{-1 普門寺 釋迦佛圖}}}}}}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보문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사길 20[br]([[보문동|보문동3가]], [[보문사]]) || || '''{{{#fff 시대}}}''' || [[조선시대|조선 말기]] || || '''{{{#fff 분류}}}''' ||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 || '''{{{#fff 수량 / 면적}}}''' || 1点 || || '''{{{#fff 지정연도}}}''' || [[1996년]] [[9월 30일]]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보문사]]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보문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문사_석가불도.jpg|width=100%]]}}} || || {{{#fff ''' 보문사 석가불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2587787&ccbaKdcd=21&ccbaAsno=0098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보문사]]에 있는 [[탱화]]. 극락보전 내부에 있다. 1996년 9월 30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받았다. == 상세 == 1865년(고종 2년)에 극락보전을 고쳐짓고 2년 후인 1867년(고종 4년)에 제작했다. 석가여래가 《[[법화경]]》의 가르침을 전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이를 영산회상이라 한다. [[여래]]는 '[[열반]]에 다다른 자'란 뜻으로, [[부처]]가 스스로를 일컬은 말이다. 가로 길이는 140㎝, 세로 길이는 180㎝이다. 가운데에 가부좌를 한 부처가 있고, 머리 상단 왼쪽에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자리하고 있다. 오른쪽에는 [[십대제자|부처의 제자 중 특히 능력이 출중한 10명]]과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언제 어디서든 나타나는 미륵보살과 지장보살을 그려넣었다. 하단 양 옆에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두었다. 저 두 [[보살]]을 통틀어 협시보살이라 하는데, 협시보살은 [[부처]]의 옆에서 가까이 모시는 보살이란 뜻이다. 각 모서리에는 [[사천왕]]을 그렸다. [[부처]]와 각 보살, 각 [[사천왕]]마다 머리에 둥근 광배가 있으며, 좌우 대칭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붉은 색을 많이 쓴 것 역시 두드러지는데 이는 [[조선]] 후기 [[불화]]의 특성으로 꼽히는 부분이다. [각주][[분류:불화]][[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의 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