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인명 및 다른 뜻, rd1=보리소프(동음이의어))] [include(틀:태양계)] ||<:><-5><#999999>{{{#ffffff MPC 지정 번호 순 성간 천체(Interstellar objectst) 찾기}}}|| ||<:>[[오우무아무아|1I/ʻOumuamua]]||<:>←||<:>'''2I/Borisov'''|| ||<:><-2>2I/Borisov[br]2I/2019 Q4[br](C/2019 Q4)[br]|| ||<:> '''구분'''||[[성간 천체]] 비주기 [[혜성]]|| ||<:> '''지름'''||0.4 km 이하[*출처1 : Hui, Man-To; Ye, Quan-Zhi; Föhring, Dora; Hung, Denise; Tholen, David J. (2020). "Physical Characterisation of Interstellar Comet 2I/2019 Q4 (Borisov)". [[arXiv]]:[[https://arxiv.org/abs/2003.14064|2003.14064]].]|| ||<:> '''[[근일점]]'''||2.006624 [[천문단위|AU]]|| ||<:> '''궤도 경사각'''||44.0526262° || ||<:> '''근일점 인수'''||209.1246056(±0.0000484)°|| ||<:> '''궤도 이심률'''||3.35619127(±0.0000152)[* 2020년 2월 현재까지 발견된 천체 중 궤도 이심률이 2를 넘는 유일한 천체다.]|| ||<:> '''자전 주기'''||13.2(±0.2)일[* 출처 : [[https://ui.adsabs.harvard.edu/abs/2019RNAAS...3..187G/abstract|The Inbound Light Curve of 2I/Borisov]]]|| ||<:> '''성간 공간에서의 평균 속력'''||32.34(±0.07) km/s[* 출처 : [[https://projectpluto.com/temp/2i.htm|FAQ for gb00234 = C/2019 Q4 = 2I (Borisov)]]]|| ||<:> '''지구 접근 거리'''||1.09302 AU || ||<:> '''겉보기 등급'''||최대 +15 이하 추정|| ||<:> '''절대 등급'''||+13.7(±0.8)|| ||
[[파일:2I/borisov for hubble [2019.10.16].png|width=100%]] || ||<(> 2019년 10월 12일, [[허블 우주 망원경]]이 2.782 AU(4억 1,618만 km)의 거리에서 촬영한 성간 혜성 보리소프 || ||
[[파일:C/2019 Q4 (Borisov)'s orbit (2019-09-21).jpg|width=100%]] || ||<(> 성간 천체 보리소프의 궤도와 2019년 9월 21일 기준 위치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모스크바 대학]] 천문연구소 소속의 겐나디 블라디미로비치 보리소프(Gennadiy Vladimirovich Borisov, Генна́д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Бори́сов) 박사가 발견한 외우주 [[성간 천체]]이다. 특이하게도 본인이 직접 만든 0.65m 구경의 [[망원경]]으로 발견하였고 그가 8번째로 발견한 [[혜성]]이다. 보통 아마추어 천문연구원으로 소개되는데, 소속에서 볼 수 있듯 전문적인 천문 연구 업계소속 [[천문학자]]이지만, 해당 천체는 자신이 여가시간에 취미로 그것도 직접 만든 사제 망원경으로 발견한것이기 때문에, 2I/보리소프 천체를 소개할 때는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발견했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 상세 == [[오우무아무아]]에 이어 인류의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발견된 [[성간 천체]]로, 평균 속력은 약 32km/s 로 오우무아무아보다 약 6 km/s 가량 더 빠르다. 근일점도 오우무아무아보다 훨씬 더 멀어서 궤도 이심률이 3을 넘어간다. [[쌍곡선|궤도 이심률이 1을 넘기 때문에]] 한 번 태양계 바깥으로 나가면 '''영원히 태양계로 돌아오지 않게 된다.''' 25일 간의 관측 끝에 2019년 9월 24일 공식적으로 [[성간 천체]]로 지정되었으며, 2번째로 발견된 성간 천체라는 의미의 '''2I'''라는 번호를 부여받았다. 2019년 12월 7일 경 근일점에 도달하였다. 처음 발견시에는 혜성으로 판단되었기에 혜성 식별기호 C가 붙어 C/2019 Q4 로 명명되었다. 성간 천체로 변경되며 이름이 바뀌었지만, 혜성이 아니게 된 것은 아니다. 즉, 이 천체는 태양계 밖에서 오는 혜성이다. 애덤 맥케이 박사와 그 연구팀이 초당 19㎏의 물을 내뿜는 것을 포착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254696|#]] 반지름이 약 0.5㎞인 고체 핵을 갖고 있으며, 핵에서 방출되는 가스와 먼지로 된 코마(coma) 구조가 둘러싸고 긴 꼬리를 달고 있는 등 겉보기에는 태양계에서 발견되는 혜성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태양계 내 일반적인 혜성과 다르게 일산화탄소(CO)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560810|#]] 이러한 구성 물질은 [[오르트 구름]]에서 날아오는 일부 혜성들과 유사하다. 근일점 접근 이전에 이미 전체 질량의 0.4% 이상 잃은 것으로 추측되며[*출처1], 근일점 도달 당시 관측 결과, 혜성 핵 크기가 예상보다 작은 1km이다.[[https://newatlas.com/space/interstellar-comet-2iborisov-hubble/|#]] 2019년 12월 20일 오후 4시 4분부터 5시 19분(한국시각)까지 1시간 15분 동안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소속 칠레 관측소 망원경으로 ‘보리소프 혜성’을 촬영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343403|#]] 지금까지 관측된 혜성 중 가장 원시적인 상태의 물질을 간직한 것으로 밝혀졌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298234?sid=104|#]] 편광측정법으로 파악한 보리소프의 편광적 특성이 태양계 안의 일반 혜성과는 다르다는 점을 발견했다. 또, VLT의 'X-슈터(shooter)' 분광기로 니켈 원소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https://m.yna.co.kr/view/AKR20210520132000009?section=international/all|#]] 그 바탕으로 태양계 내의 유일한 외계 혜성이 아니며 태양계에서 유래한 물체보다 더 많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https://m.yna.co.kr/view/AKR20210824080000009?section=international/all|#]] [[분류:성간 천체]][[분류: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