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후티]][[분류:단거리 탄도 미사일]][[분류:2017년 공개]][[분류:스커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E0000 33%, #fff 33%, #fff 66%, #000 33%)" '''{{{+3 {{{#fff {{{#!html 보르칸-2H}}}}}}}}}'''[br][[후티|[[파일:후티 상징.svg|height=15]]]] [[후티|{{{#fff {{{#!html 후티}}}}}}]] {{{#fff {{{#!html 추종}}}}}} [[예멘군|{{{#fff {{{#!html 예멘군}}}}}}]]{{{#fff {{{#!html 의}}}}}} {{{#fff {{{#!html 키암 계열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보르칸-2H의 전람회 전시 모습.jpg|width=100%]]}}}|| ||<-2> 2019년 군사박람회에서 공개되는 보르칸-2H[* 뒤의 초상화는 [[후티]]의 창립자 형제 중 하나로 2004년에 사살된 '후세인 바드레딘 알후티'] || || '''명칭''' ||보르칸-2H, 부르칸-2H, 부르칸-H2, 보르칸-H2 || || '''예멘 명칭'''([[아랍어|{{{#fff 아랍어}}}]]) || '''2-Hبركان'''|| || '''영문 명칭''' ||Borkan-2H, Burkan-2H, Borkan-H2, Burkan-H2 || || '''운용 부대''' ||[[예멘군|예멘 공군]]{{{-1 (후티 장악 세력)}}} || || '''최대사거리''' ||1,000km ||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티]] 장악 [[예멘군]]이 운용하는 [[키암]] 재조립 미사일. 넓게 보면 [[스커드]] 계열 미사일, 좁게 보면 보르칸 계열 미사일이다. 2017년 7월 22일 사우디아라비아에 탄도 미사일 공격을 가하면서 국제 사회에 알려졌다. == 명칭 == 명칭에 대해 여러 표기법이 난무하고 있다. [[가셈 솔레이마니]], [[무아마르 카다피]]와 같이 아랍어/페르시아어 단어에 대한 표기 문제다. === 보르칸/부르칸 === 아랍어를 영문으로 표기한 것이 'Burkan, Burqan' 등이었기 때문에 한국어로도 '부르칸'으로 알려졌다. 보르칸-2에서 'ـُ'철자가 명확히 표현되어 있었는데, [[아랍어|표준 아랍어]]에서 이것은 [[모음]] 'u/ㅜ'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후티 측에서 보르칸-3를 'Borkan3'로 표기한 채 공개해 'Borkan'이란 표기도 생겼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보르칸3의 모습.jpg|width=100%]]}}} || || 미사일 측면에 'Borkan3'이 선명하다. || [[아랍어 방언]]은 지역별로, 특히 구어체에서 천차만별이므로 자기들이 [[로마자 표기법]]으로 'Borkan/보르칸'이라 택한 것에는 뭔가 이유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존중한다면 Borkan이 될 것이고, 원래 있던 관용적인 표기를 따른다면 'Burkan/부르칸'이 될 것이다. === '-2H'인가 '-H2'인가? === 다른 후티측 장비에서도 일어나는 문제이다. 후티는 [[아라비아 숫자]]와 [[로마자]]를 혼용한 제식 명칭을 선보이고 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카헤르-M2 명칭.jpg|width=100%]]}}} || || 카헤르-M2인가, 카헤르-2M인가? || 미사일 동체에 쓰인 표기는 '2-Hبركان'이다. 위 사진의 Qaher-M2에 대응하자면 이 미사일은 'Borkan-H2'가 된다.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노버트 브리게는 [[http://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Yemeni-Burkan-missile_riddle/index.htm|이를 택했다.]] 반면 '2-H' 부분을 그냥 읽으면 2H가 된다. 아랍어에서 아라비아 숫자와 로마자는 한글과 읽는 방향이 같기 때문이다. 영국의 미사일 기고가 [[조셉 뎀시]]는 [[https://twitter.com/JosephHDempsey/status/941370959872831488|트위터 글타래]]에서 'Burkan-2H'로 표기했다. == 특징 == 기존의 보르칸-1, 보르칸-2가 [[스커드]]와 직접적으로, 이 미사일은 이란 [[키암]] 미사일의 부품을 조립한 미사일이다. 사거리 면에서는 [[SCUD-ER]] 정도의 성능을 보인다. == 실전 투입 ==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Ke0MOf-Mu_M, width=100%)]}}} || || [[리야드|{{{#fff 리야드}}}]]를 향해 발사되는 보르칸-2H || [[사우디아라비아]]를 공격하는 데 여러 차례 사용되었다. 2017년 공개 영상에서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는 모자이크 처리하였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XInCIZz_yUI, width=100%)]}}} || || [[CNN|{{{#fff CNN}}}]] 기자가 살펴보는 2017 발사 미사일의 파편 || == 후속작 == [[보르칸-3]]이 나왔다. 이후 [[졸파가르#s-3|졸파가르]]로 재명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