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fff 보드카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2px" [include(틀:JRA 현창마)]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include(틀:JRA상 최우수 2세 암말)] [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암말)] [include(틀:JRA 특별상)] ----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 ||<-3> '''2008년, 2009년 [[JRA상]] 연도대표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odka(horse)_20070527R1.jpg|width=100%]]}}} || ||<-2> 이름 || ウオッカ[br]Vodka || ||<-2> 출생 || [[2004년]] [[4월 4일]] || ||<-2> 죽음 || [[2019년]] [[4월 1일]] (15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타니노 김렛]] || ||<-2> 어미 || 타니노 시스터 (タニノシスター) || ||<-2> 외조부 || 루시용 (Rousillon) || ||<-2> 생산자 || 컨트리 목장 || ||<-2> 마주 || 타니미즈 유조[* 컨트리 목장의 소유주다.] || ||<-2> 조교사 || [[스미이 카츠히코]] (릿토) || ||<-2> 성적 || 26전 10승 (10-5-3-8)[br]22전 10승[*중앙][br]4전 0승[*UAE] || ||<-2> 총상금 || 13억 3356만 5800엔[br]13억 487만 6000엔[*중앙][br]2868만 9800엔[*UAE] || ||<|2> 주요[br]우승 || G1/[br]Jpn1[*A 2007년부터 일본이 경마 파트 1으로 승격됨에 따라 국제 등급을 받지 못한 경주는 Jpn등급으로 표기하게 된다.] ||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2006)[*일본GI 일본의 파트1 승격 이전에 국제 등급을 받지 못한 G1 경주로, 파트1 승격 이후의 Jpn1과 사실상 동일하다.][br]'''[[도쿄 우준|일본 더비]](2007)'''[*JpnI][br][[야스다 기념]](2008, 2009)[br][[천황상#s-3|천황상(가을)]](2008)[br][[빅토리아 마일]](2009)[br][[재팬 컵]](2009) || || Jpn3[*A] || [[튤립상]](2007) || ||<-2> 주요 수상 || 2006년 [[JRA상]] 최우수 2세 암말[br]2007년 JRA상 특별상[br]2008년, 2009년 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암말 || || 레이팅 || [[론진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WTRR]] || L117([[틀:2007 세계 서러브레드 경주마 랭킹|2007]])[br] M120 ([[틀:2008 세계 서러브레드 경주마 랭킹|2008]] / [[틀:2009 세계 서러브레드 경주마 랭킹|2009]])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04104258/|[[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0801136/|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word-break:keep-all;"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보드카.jpg|width=180px]]}}}||{{{#!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옥까.jpg|width=180px]]}}}||{{{#!wiki style="margin: -5px -9px" [[파일:Vodka_Portrait.jpg|width=180px]]}}}|| || '''그 강함에, 취하다.[br]{{{-2 その強さに、心酔。}}}''' || '''꺾이지 않는 마음[br]{{{-2 ひるまない心}}}''' || '''멀리[br]{{{-2 遠くへ}}}''' || || '''히어로 열전 No.65''' || '''2013년 명마의 초상''' || '''2019년 명마의 초상''' ||}}} >'''멀리''' > >너는 언제나 >먼 곳을 보고 있었다 >누구의 손도 닿지 않는 >아득한 곳을 목표로 했다 > >그 장소에서밖에 >얻을 수 없는 무언가가 있다고 >믿고 있는 것처럼 > >네가 다다른 땅에 >충족은 있었을까 >안식은 있었을까 >---- >JRA 명마의 초상[clearfix] [youtube(4TcD5bbADN0)] >'''2007년, 일본 더비.''' >'''오크스를 선택하지 않고, 굳이 일본 더비를 선택한 암말.''' >'''이길 수 있을까.''' >'''정말로 이길 수 있을까.''' >'''64년 만의, 암말의 더비 제패.''' >'''보드카.''' >'''누구도 가지 않는 길을 가라.''' >'''가시밭 속에 정답이 있다.''' >'''「일생 단 한 번의 영광으로」''' >---- >2013년 일본 더비 CM ||[youtube(iPeG3Bnvc0g)]|| || 2014 JRA CM 「The G1 story」천황상 가을 편 || ||[youtube(mcy62eZ-fyM)]|| 일본의 경주마. JRA [[현창마]]이자 2008, 2009년 연도 대표마.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타니노 김렛]][br]{{{-2 タニノギムレット[br]1999}}}||<|2>[[브라이언스 타임]][br]{{{-2 Brian's Time[br]198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로베르토(말)|로베르토]]'''[br]{{{-2 Roberto}}}|| ||켈리스 데이[br]{{{-2 Kelley's Day}}}|| ||<|2>타니노 크리스탈[br]{{{-2 タニノクリスタル[br]1988}}}||크리스탈 팰리스[br]{{{-2 Crystal Palace}}}|| ||타니노 시버드[br]{{{-2 Tanino Sea-Bird}}}|| ||<|4>타니노 시스터[br]{{{-2 タニノシスター[br]1993}}}||<|2>루시용[br]{{{-2 Rousillon[br]198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리버맨[br]{{{-2 Riverman}}}|| ||벨레 도리네[br]{{{-2 Belle Dorine}}}|| ||<|2>에너지 토쇼[br]{{{-2 エナジートウショウ[br]1987}}}||[[토쇼 보이]][br]{{{-2 トウショウボーイ}}}|| ||코니스 토쇼[br]{{{-2 コーニストウショウ}}}|| ||<-3>* 그라우스타크 S4×S5 6.25% || 부마는 [[일본 더비|더비]]마 [[타니노 김렛]]이다. 모마 타니노 시스터는 추선마[* 추센바(抽選馬). 구매자를 찾지 못한 말 중 일부를 JRA에서 구매해 자체로 조교 후 추첨 형식으로 회원에 판매 혹은 분배하는 제도로 2003년부터는 JRA 육성마 제도로 바뀜.]로 컨트리 목장 대표 타니미즈 유조의 일임을 받은 조교사 [[모리 히데유키]]가 시라오키[* 시라오키(シラオキ,1946)는 [[코이와이 농장]]의 기초 번식 암말 중 하나인 플로리스 컵의 모계 후손이다. 시라오키의 주요 자마 - [[코다마(말)|코다마]], 신 츠바메(シンツバメ,1958), 주요 모계 후손 - [[산에이 솔론]], [[시요노 로망]], 시스터 토쇼(シスタートウショウ,1988),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스페셜 위크]], 티엠 드래곤(テイエムドラゴン,2002), 보드카 등.]모계인 것을 보고 지명했다. 40마리 중 20 후반대여서 인기 말을 포기하고 암말을 선택한 것이라고 한다. 타니노 시스터는 33전 5승을 거두고 컨트리 목장에서 번식 암말로 활동한다. 모계 3대모 코니스 토쇼는 1991년 [[오카상]] 우승마 시스터 토쇼(シスタートウショウ)의 모마다. 현대 일본 경마 혈통의 주류인 [[선데이 사일런스]]계의 피가 섞이지 않은 몇 안되는 말로, 마주가 후술한 특이한 번식마 활동을 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 생애 == 2002년 일본 더비 우승마인 [[타니노 김렛]]의 딸로, '''JRA 역사상 최초이자 현재까지도 유일한 부녀 [[일본 더비|더비]] 제패라는 대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암말의 클래식 삼관이 명백히 구분되어 있는 탓에 암말은 [[일본 더비|더비]] 우승은 커녕 도전조차 쉽지 않으며, 실제로 더비 우승 암말은 불과 셋 뿐인데다 그레이드제 도입 이후에는 보드카가 유일한데, 거기다 그 부마까지 더비마라는 것은 진기록 중의 진기록이며 앞으로도 보기 쉽지 않을 대기록이다. 이름인 '보드카'는 아버지보다 강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김렛]]이 [[진]]을 베이스로 만든 칵테일이니, 진보다 도수가 높은 술인 [[보드카]]에서 이름을 따 붙인 것.[* 다만 실제 일본어로 보드카를 표기할 때는 "ウ'''ォ'''ッカ"로 '오'표기를 소문자로 표기하며 발음 또한 "웍카"로 발음하는데, 말의 이름에는 '오'표기를 대문자로 하여 "ウ'''オ'''ッカ"로 표기하고 발음도 "우옥카"에 가깝게 발음한다. 참고로 보드카가 활약할 때는 일본 중앙경마(1968)는 물론이고 지방경마(1990)까지 요음/촉음 표기를 허용하는데도 마주가 특이하게 촉음을 썼음에도 요음 표기를 쓰지 않았다.] 또 본래는 관명을 붙여서 '타니노 보드카'가 될 예정이었으나, 술은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게 더 세다는 의미로 관명도 달지 않고 '보드카'라고만 명명했다고 한다. 이름값을 했는지 현역 시절 '[[고릴라]]'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웬만한 수말 못지않은 위풍당당한 몸매를 자랑했으며, 5세가 되자 암말이라고 말하지 않으면 모를 정도로 근육질 체구가 되었다고 한다. 우마무스메 시리즈에 등장하는 동명의 캐릭터가 동기였던 다이와 스칼렛과 비교되는 보이쉬한 디자인인 건 이런 현역 시절 모습을 모티브로 한 것이며 또한 동명의 캐릭터 소개에서의 코피 이야기는, 커리어 후반부에 두 차례나 발생한 비강 출혈로 커리어를 마감한 에피소드를 반영한 것이다.[* 말은 구강 호흡을 하지 않기 때문에, 비강 출혈은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증상이다. 사람으로 치면 각혈이나 폐출혈급의 위험한 증상인 셈.] === 데뷔 전 ~ 2006년 === [include(틀:2006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2대 컨트리 목장주 타니미즈 유조는 종마로 데뷔한 [[타니노 김렛]]을 도우려 목장의 번식 암말 중 8마리[* 1991년 컨트리 목장이 오랜 침체기를 겪은 원인을 목장 내 말이 너무 많아 방목지의 토양 질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번식 암말의 수를 18마리 이내로 제한하는 정책을 시작했다.]와 매년 교배를 연결했는데 보드카는 그 첫해에 태어났다. 목장 내에선 원래 주목 받지는 못했지만 조교가 실시되면서 뛰어난 움직임을 보여 조교사 [[스미이 카츠히코]]에 보내졌을 땐 이미 [[세자리오]] 급의 암말이 온다고 기대받았다. 처음부터 스미이 마사의 G1 경주마들인 [[델타 블루스]], [[해트트릭(말)|해트트릭]]과 함께 조교를 받았으며 주전 기수로 내정된 [[시이 히로후미]]도 데뷔 전 조교에 참여했다. 당초 여름에 데뷔할 예정으로 홋카이도에 이송되었으나 발열로 방목 후 릿토로 돌아왔다. 데뷔 이전인 10월 27일은 제1차 클래식 경주 등록일이었는데 보드카에 큰 기대를 건 타니미즈는 이 때 암수 클래식 5경주[* [[사츠키상]], [[일본 더비]], [[킷카상]], [[오카상]], [[오크스(일본)|오크스]]]를 모두 등록했다. 데뷔 전은 시이 히로후미 기수가 천황상 가을에 기승 일정이 있어 지방 경마인 사가현 소속의 기수 사메시마 카츠야가 기승해 처음부터 선두에 서서 승리했다. 이어진 경기에서는 보드카가 도주마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았던 스미이 조교사의 지시에 따라 중단에 대기했으나 2착을 기록했다. || [youtube(ICLSfFqQWOE)] || || 2006년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 ||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는 상금 부족으로 추첨이었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회피된 말들도 있어 9마리 중 8마리가 추첨으로 나가는 상황이었고 당첨되면서 나가게 되었다. 중단에 위치한 보드카는 직선 주로에서 바깥으로 나와 1번 인기 [[애스턴 마짱]]을 맹렬히 쫓아 2세 잔디 1600미터의 일본 레코드를 세우며 머리 차로 승리, 첫 중상 도전에서 G1을 제패했다. 이 해 JRA상에서 289표 중 271표로 최우수 2세 암말을 수상했다. === 2007년 === [include(틀:2007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youtube(ChEXhYSFKJE)] || || 2007년 튤립상 || 2007년 1월 제2차 클래식 경주 등록도 5경주 모두 등록을 마친 보드카는 첫 경주에 무난히 승리한 후 [[튤립상]]에서 [[다이와 스칼렛]]과 처음 맞붙게 되었다. 보드카는 도주하는 다이와 스칼렛을 직선 주로에서 따라 잡으며 코차로 꺾고 라이벌전의 첫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이어진 [[오카상]]에서는 보드카, 애스턴 마짱, 다이와 스칼렛이 1~ 3번 인기로 3강의 구도가 예상되었다. 다이와 스칼렛의 [[안도 카츠미]] 기수는 앞선 패전 이 후 보드카를 잡기 위해 빠른 시점의 롱 스퍼트로 보드카와 지속력 싸움을 강제했고 작전을 제대로 수행한 다이와 스칼렛에 패하며 2착을 기록했다. 당초 마주 타니미즈와 스미이 조교사는 보드카가 오카상을 우승하면 더비에 도전하려 했으나 패했기 때문에 다이와 스칼렛과 다시 오크스에서 맞붙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릿토에서 두 사람이 만나자 더비를 포기하기 아쉬운 생각이 든 타니미즈는 최종적으로 스미이 조교사의 판단에 맡겼고 결국 더비 출주가 결정되었다.[* 1996년 [[비와 하이디]] 이 후 암말로서 11년만의 더비 출주.] 이 소식에 경마 관계자들 대부분 비판적인 의견을 냈고 특히 라이벌 다이와 스칼렛이 감기에 의한 발열로 오크스 3일전에 출주를 취소하면서 나가기만 하면 우승이 유력한 오크스를 버리고 더비에 굳이 도전하냐는 의견이 빗발쳤다. || [youtube(IBBwwtfQnSc)] || || 2007년 일본 더비 || 보드카는 [[일본 더비]]에서 단승 배당은 높긴 해도 3번 인기라는 높은 순위의 기대를 받았다. 중단에서 대기하며 최종 코너를 8번째로 들어 온 보드카는 직선 주로에서 선두로 달리던 아사쿠사 킹스[* 23전 6승. 2007년 [[킷카상]] 우승마.](アサクサキングス)를 제치고 3마신 차로 승리, [[쿠리후지]] 이 후 64년만의 암말 더비 제패를 이루었다. 암말에 의한 더비 제패는 1937년 히사토모[* 31전 16승. 1937년 [[일본 더비|도쿄우준대경주]], 1938년 [[천황상 가을|제실어상전 (가을)]] 우승마. [[토카이 테이오]]의 모계 조상이다.](ヒサトモ), 1943년 쿠리후지에 이은 3번째 기록이며 [[타니노 김렛]]과 일본 최초 부녀 동일G1 제패, 더비 제패 기록까지 세우게 되었다. 더비 이전 [[개선문상]]도 등록하고 있었던 보드카 진영은 더비 우승 3일 후 개선문상 도전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우선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고마들과 경기 경험을 쌓기로 결정, 팬투표 6위로 나간 경기 당일 배당 인기는 다른 수말들을 제치고 1번 인기를 받았지만 8착으로 부진했다. 프랑스 원정을 앞두고 있던 8월 2일 가벼운 발굽염으로 4일 간 조교를 하지 못해 개선문상 일정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어 8일, 스미이 조교사가 원정 취소를 발표했다. [[슈카상]]으로 직행하게 되어 다이와 스칼렛과의 3번째 대결이 이루어졌고 보드카와 [[애스턴 마짱]]이 암수 혼합 G1을 따낸 이 세대 암말들의 평가가 크게 올라간 상황에서 역대최고의 슈카상 멤버라는 평가 속에서도 당당히 1번 인기를 받았으나 롱 스퍼트를 건 다이와 스칼렛을 따라잡지 못하며 3착으로 패배했다. 보드가 진영은 설욕을 위해 [[엘리자베스 여왕배]]에 출주를 결정해 다시금 라이벌전이 기대되었지만 당일 아침 가벼운 우관절 파행[* 외상, 기형, 기타 질환으로 정상적인 보행을 할 수 없는 상태. 다만 피로, 쇠약, 노화, 조교, 지도법에 의한 것은 파행에 포함하지 않는다.](跛行)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2주 후 열린 [[재팬 컵]]에서는 4착을 기록했고 다이와 스칼렛과의 4번째 대결인 [[아리마 기념]]에서 팬투표 1위[* [[히시 아마존]], [[에어 그루브]](2회)에 이은 3번째 암말 1위 기록이다.], 배당 인기 3위로 출주했지만 11착으로 대패하며 시즌을 마쳤다. 이 해 JRA상에서는 최우수 3세 암말, 최우수 부내 국산마 투표에서 모두 다이와 스칼렛에 크게 밀리며 차순으로 수상에 실패했지만 64년만의 암말 더비 우승의 가치를 인정받아 특별상을 받게 되었다. === 2008년 === [include(틀:2008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2008년 첫 경주인 교토 기념에서 6착으로 다시 부진, 두바이 원정을 떠나 두바이 듀티 프리(G1)에서 [[타케 유타카]]가 처음으로 기승해 4착을 기록했다. 일본 복귀 후에도 타케 유타카를 주전 기수로 내정하고 나간 [[빅토리아 마일]]에서 아시안 윈즈[* 11전 6승. 빅토리아 마일 우승 후 미국 원정을 준비하다 같이 준비하던 2007년 한신 JF, 2008년 오크스 우승마 톨 포피(トールポピー)가 포기하면서 일정이 떠버렸고 결국 복귀하지 못하며 은퇴했다.](エイジアンウインズ)에 패하며 2착을 기록, 오랜 기간 승리를 쌓지 못했다. || [youtube(1BbdkAUg6so)] || || 2008년 야스다 기념 || 타케 유타카가 선약이 있었던 스즈카 피닉스[* 29전 8승. 2007년 [[도쿄신문배]], [[한신 컵]] 우승마. 해당 야스다 기념에서는 5착을 기록.](スズカフェニックス)에 기승하면서 [[이와타 야스나리]]가 대타 기승한 [[야스다 기념]]에서 홍콩의 경주마 아르마다를 3마신 차로 꺾으며 378일만의 승리를 G1 3승째로 장식하며 부활을 알렸다.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는 팬투표 1위에 올랐지만 회피하고 릿토에서 휴양에 들어갔다. 가을의 첫 경주 [[마이니치 왕관]]에서는 타케 유타카가 돌아왔지만 [[슈퍼 호넷(말)|슈퍼 호넷]]에 패하며 2착을 기록했다. 이 후 다이와 스칼렛과의 5번째 대결인 천황상 가을에 출주한다. || [youtube(YSi-4Rg1qdc)] || || 2008년 [[천황상 가을]] 영상 || [[천황상 가을]] 경기에서의 다이와 스칼렛은 평소와 달리 흥분했고 처음부터 단번에 스피드를 끌어 올렸다. 여기에 보드카와 같은 조교사 담당인 14번 인기 토센 캡틴[* 24전 4승. 2007년 [[알링턴 컵]], 2008년 [[하코다테 기념]] 우승마.](トーセンキャプテン)이 쫓아 오자 계속 하이 페이스를 진행해 결국 전반 1000m를 58.7초에 끊었다. 일찌감치 토센 캡틴이 실속한 가운데 직선 주로에서 안쪽 코스에 자리잡은 안도 카츠미 기수는 나쁜 리듬으로 달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사이 보드카와 [[딥 스카이(말)|딥 스카이]]가 쫓아왔고 [[컴퍼니(말)|컴퍼니]]와 에어 셰이디[* 37전 7승. 2008년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우승마.](エアシェイディ)도 뒤를 따랐다. 빠른 도주로 인해 여기서 실속할 것만 같았던 다이와 스칼렛이 다시 근성을 내 버티며 보드카와 결승점을 나란히 통과, 1착을 놓고 보드카와 다이와 스칼렛, 3착을 놓고 딥 스카이와 컴퍼니, 2 부문에서 사진 판정이 되는 일본 경마 역사에 남을 명장면이 펼쳐졌다. 13분간의 판정 끝에 보드카, 다이와 스칼렛, 딥 스카이, 컴퍼니의 순으로 착순이 결정되었다. 천황상 가을에서 암말의 1, 2착은 1958년 셀룰로즈[* 50전 9승. 1958년 계중사상 최우수 5세 이상 암말. 1956년 오크스 우승마 페어 만나(フエアマンナ)의 전형제다.](セルローズ), 미스 온워드[* 28전 14승. 1957년 오카상, 오크스 우승마. 1956년 최우수 3세 암말, 1957년 최우수 4세 암말.](ミスオンワード)에 이은 50년만의 기록이었다. 이어진 [[재팬 컵]]에서는 타케 유타카가 [[메이쇼 삼손]]을 선택하면서 이와타 야스나리가 다시 대타 기승해 3착을 기록했다. 이 후 아리마 기념에서 2년 연속으로 팬투표 1위에 올랐지만 회피하면서 시즌을 마쳤고 이 해 연도대표마와 최우수 4세 이상 암말에 선정되었다. 암말의 연도대표마 선정은 [[에어 그루브]] 이 후 11년만의 기록이었다. === 2009년 이 후 === [include(틀:2009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2009년은 작년과 같이 두바이 원정을 계획했으나 제벨 하타(G2) 5착, 두바이 듀티 프리(G1) 7착에 그치며 일본으로 돌아왔다. || [youtube(LTzZgdR_PO4)] || || 2008년 [[빅토리아 마일]] 영상 || 복귀 후 나간 [[빅토리아 마일]]에서는 레코드를 세우며 2착에 7마신 차 압승, 다이와 스칼렛이 은퇴한 후 암말 상대로는 적수가 없음을 알렸다. || [youtube(P27IaHNO-ks)] || || 2008년 [[야스다 기념]] 영상 || 이어진 [[야스다 기념]]에서는 기수 [[타케 유타카]]의 판단 미스로 인해 마지막 직선 구간에서 마군에 끼어 버리는 불리한 상황에서 스스로 머리를 돌려 경로를 찾아낸 뒤 다른 수말들을 힘으로 뚫어 버리고 그대로 돌진해서 우승해 버리는 무시무시한 파워를 선보였다.[* 2021년 야스다 기념에서 [[크리스토프 르메르]] 기수의 [[그란 알레그리아]]가 같은 상황에 빠지고 우승에 실패하면서 다시 한 번 회자되었다. 다만 패배의 원인을 말로 돌린 르메르 기수와 달리, 타케 유타카 기수는 보드카가 마군에 갇힌 원인은 본인의 실수임을 인정했다.] 이 승리로 [[메지로 도베르]]의 G1 5승을 넘어 최초로 G1 6승을 기록한 암말, 우승 상금 10억엔을 돌파한 최초의 암말이 되었다. 타카라즈카 기념 팬투표에서 다시 1위에 올랐지만 회피하고 여름 휴양에 들어갔다. 이 후 가을 일정 [[마이니치 왕관]]과 [[천황상 가을]]에서 내리 [[컴퍼니(말)|컴퍼니]]에 패하며 2, 3착을 기록한다. || [youtube(mcV0gfM1Cbo)] || || 2009년 [[재팬 컵]] 영상 || ~~[[보드카(코르피클라니)|썸네일이 정말 강해보인다.]]~~ 2경기의 패배 후 진영은 기승법의 변화를 원해 타케 유타카에서 [[크리스토프 르메르]]로 기수를 교체했다. 평소보다 앞에 자리 잡은 보드카는 직선 주로에서 빠르게 선두로 내달렸고 [[오켄 브루스 리]]의 추격에 결승점을 나란히 통과, 7분간의 사진 판정끝에 2cm차이로 승리가 결정되며 G1 7승째를 기록했다. 이는 당시 [[심볼리 루돌프]], [[티엠 오페라 오]],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에 이은 4번째 기록이었다.[* 보드카의 혼성 G1 승리 횟수는 5회(더비, 야스다 기념 2회, 추황상, 재팬컵)로 아몬드 아이와 함께 공동 선두에 위치해 있다. (또 다른 암말 최강자 후보 중 하나인 젠틸돈나는 4회, 부에나 비스타는 2회)] 재팬 컵 출주 후에는 경주 중 코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이 판명되었고 규정 상 1개월 간 출주 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아리마 기념 팬투표에서 처음으로 3년 연속 1위에 올랐지만 정지 기간 이었기에 나가지 못했고 은퇴를 고려했지만 12월 8일 은퇴를 철회했다. 이 해 2년 연속으로 연도대표마에 선정되었다. 2년 연속 암말의 연도대표마는 최초의 기록이며 메지로 도베르 이 후 암말로서 2번째로 4년 연속 JRA상을 수상하는 기록도 세웠다. 이듬해 2010년 다시 두바이 원정을 떠나 알 막툼 챌린지 라운드 3(G2)에서 8착을 기록한 후 또 코에서 출혈이 재발하며 두바이 월드컵을 포기하고 결국 은퇴를 결정하게 되었다. 2011년 84.4%의 득표율로 현창마에 선정되었다. === 라이벌 다이와 스칼렛 === || 나이 || 경주명 || 보드카 || [[다이와 스칼렛|{{{#ffffff 다이와 스칼렛}}}]] || 차이 || ||<|5> 3세 || 2007 튤립상 || '''{{{#RED 1착}}}''' || 2착 || 목차 || || 2007 오카상 || 2착 || '''{{{#RED 1착}}}''' || 1마신 1/2 || || 2007 슈카상 || 3착 || '''{{{#RED 1착}}}''' || 1마신 1/4 이상 || || 2007 엘리자베스 여왕배 || ~~취소~~ || '''{{{#RED 1착}}}''' || - || || 2007 [[아리마 기념]] || 11착 || 2착 || 10마신 이상 || || 4세 || 2008 천황상(가을) || '''{{{#RED 1착}}}''' || 2착 || 2cm(코차) || 보드카의 조교사는 다이와 스칼렛의 조교사 [[마츠다 쿠니히데]]의 제자인 [[스미이 카츠히코]]이고 보드카는 마츠다가 담당한 [[타니노 김렛]]의 딸이라는 인연이 있는데다 다이와 스칼렛의 모마인 [[스칼렛 부케]]와 보드카의 이모 할머니 시스터 토쇼[* 12전 4승. 1991년 오카상 우승마. 보드카의 모계 3대모 코니스 토쇼는 시스터 토쇼의 모마다.](シスタートウショウ)는 동기로 클래식 전선에서 맞붙은 사이다. 두 라이벌의 기묘한 우연. 동세대의 [[다이와 스칼렛]]과는 다섯번이나 맞부딪히며 우승을 두 번씩 나눠 가진 라이벌 관계로, 사진 판독만 13분이 걸린 2008년 천황상·秋는 두 라이벌 최고의 명승부이자 JRA의 역사 전체에서도 손꼽는 레이스로 유명하다. 보드카는 현창마인데다 GI 승리가 7승이나 되지만, 다이와 스칼렛은 현역 생활이 짧았을 뿐 연대율 100%라는 대기록을 세운데다 맞대결에서 승리할 때마다 최소 1마신 차이로 여유롭게 이겼기 때문에[* 다만 튤립상에서 보드카는 우마나리로 채찍 한 번 치지 않고 달렸고, 반면 다이와 스칼렛 쪽은 고삐를 풀며 무자비하게 채찍을 친 것을 감안해야 한다. 코너에 들어서자마자 우마나리로 올라온 보드카가 다이와 스칼렛을 잡았기에 애초에 고삐를 풀거나 채찍을 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누가 더 강한 말이냐에 대해서는 논쟁이 끊이질 않는다. '다이와 스칼렛의 현역이 더 길었다면'이라든가 '보드카가 마일 경기에 집중했다면'이라든가 하는 IF도 무수히 많다. ||[youtube(bOCM-KgzO70)]||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760373|(1)]][[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762415|(2)]]천황상 가을 인터뷰 기사 번역[*출처 Number 738호(2009.10.1)] === 도쿄 전용기 논란 === 도쿄에만 편중된 승리 기록 때문에 저평가를 받는 말이기도 하다. G1 7승 중 6승이 도쿄이고, 최종 직선이 짧은 나카야마에서 열리는 [[아리마 기념]]에서는 11착이라는 참패를 당한 바 있기 때문. 후대에 G1 9승이라는 위대한 기록을 세운 암말 [[아몬드 아이]]가 듣는 비난 중 하나인 '''도쿄 전용기'''라는 말은 사실 보드카에게 딱 어울린다. 아몬드 아이와 다른 점이라면 도쿄 외의 경기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출주해서 적극적으로 졌다는 점,[* 사실 그것도 더비 우승 이후 자신감이 너무 넘쳐서 판단력이 흐려진 것에 가깝다고 볼 수 있긴 하다. 더비를 이겨버리니 중장거리 적성이 있는 것으로 오판했다는 소리.] 다른 대회도 아닌 '''[[도쿄 우준|일본 더비]]''' 우승마라는 점, 그리고 홈그라운드 도쿄에서도 최종 승률이 딱 반타작이 될 정도로 은근히 많이 졌다[* 비교대상이 되는 아몬드 아이의 도쿄 승률은 77%(7승 2패), 2000미터 이상 한정 무패다.]는 점이 있다(…). 도쿄를 제외한 2000m 이상 승률이 아예 0%다. 다만 이에 대해선 반론도 존재하는데, 3세 시절에는 교토와 한신에서도 1착과 2착을 기록했다. 그리고 이 경기의 공통점은 마일 경기였다는 것. 실제로 도쿄에서도 마일 성적이 중거리와 장거리 성적보다 좋다. 보드카의 마일 성적은 9전 7승에 2착 2회로 연대율 100%인데 비해 중거리는 2착 없이 18전 3승[* 그런데 저 3승이 모두 G1 승리다.([[일본 더비]], [[천황상 (가을)]], [[재팬 컵]])], 장거리는 1전 0승에 커리어 최악의 대패였다. 그러니까 애시당초 보드카의 적성은 마일러이며, 도쿄를 제외한 2000m 이상 승률이 0%라는 점에서 지적할 것은 도쿄가 아닌 것이 문제가 아니라 거리가 문제라는 것이다. 도쿄 경마장에 특화되어 있다는 것은 도쿄 경마장에서만 승리할 수 있다는 소리가 아니라 도쿄에서라면 거리가 길어져도 활약할 수 있을 정도로 도쿄 경마장에 특화되었다고 평가하는 게 정확할 것이다. 보드카 이전까지 암말이 수말보다 무조건 아래로 취급받았고 암말이 암수 혼합 G1을 이기는 것 만으로도 업적으로 평가받았던 것을 감안하면, 더비마의 고마 기록 논쟁을 연상시키는[* 더비마는 가혹한 조교의 영향으로 신체 손상이 누적되어 고마 전선에서의 성적이 다른 클래식 우승마보다 평균적으로 나쁜 편이며, 고마 G1 우승 기록이 없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논쟁이 벌어지는 것 자체가 암말 수준이 상당히 올라갔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 번식마 생활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순서 || 생년 || 말 이름 || 성별 || 모색 || 아버지 || 마주 || 조교사 || 전적 || || 1 || 2011 || 볼라레[br](ボラーレ) || 수컷 || 흑갈색[br](黒鹿毛, 쿠로카게) ||<|3> [[시 더 스타즈]][br](Sea The Stars) ||<|3> 타니미즈 유조 ||<|2> [[스미이 카츠히코]] (릿토) || 2전 0승[br]현역 중 죽음 || || 2 || 2012 || 케이스 바이 케이스[br](ケースバイケース) || 암컷 || 흑갈색[br](黒鹿毛, 쿠로카게) || 6전 0승[br]번식마 || || 3 || 2013 || 타니노 어번 시[br](タニノアーバンシー) || 암컷 || 흑갈색[br](黒鹿毛, 쿠로카게) || 스미이 카츠히코 (릿토)[br]→ 나카타케 카즈야 (릿토) || 19전 4승[br]번식마 || || - || 2014 ||<-3> 비임신 ||<|2> [[프랑켈]][br](Frankel) |||||| - || || 4 || 2015 || 타니노 프랑켈[br](タニノフランケル) || 수컷 || 흑갈색[br](青鹿毛, 아오카게) ||<|2> 타니미즈 유조 || 스미이 카츠히코 (릿토)[br]→ 나카타케 카즈야 (릿토)[br]→ 스미이 카츠히코 (릿토)[br]→ 무라야마 아키라 (릿토) || 26전 4승[br]종마 || || 5 || 2016 || 타니노 미션[br](タニノミッション) || 암컷 || 갈색[br](鹿毛, 카게) || 인빈시블 스피릿[br](Invincible Spirit) || 나카타케 카즈야 (릿토)[br]→ 스미이 카츠히코 (릿토) || 18전 1승[br]번식마 || || 6 || 2017 || 세븐 포케츠[br](Seven Pockets) || 수컷 || 갈색[br](鹿毛,카게) ||<|2> 프랑켈[br](Frankel) || 타니미즈 유조[br]→ 하나코 베리언[* 로저 베리언 조교사의 부인이다.] || 로저 베리언 (뉴마켓) || 10전 2승[br]현역 경주마 || || 7 || 2019 || Frannka || 암컷 || ? |||||| - ||}}} 은퇴 후 마주 타니미즈 유조가 타니노 목장을 정리할 때 본인 명의로 남겨둔 채로 아일랜드에 위탁하여 자마를 일본으로 꾸준히 보내오고 있다가 2019년 골절로 인한 제엽염으로 인해 영국에서 안락사되었다. 교배 상대는 2009년 유럽을 평정한 [[시 더 스타즈]](Sea the Stars), 레이팅 역대 1위 [[프랑켈]](Frankel) 등 영국의 최상의 명마들이었다. 하지만 유럽 주류 혈통의 자마들을 유럽 경마장과 확연하게 다른 일본 경마에서 활동시키는 운영의 결과 자마들의 성적은 처참한 편.[* 이는 라이벌이었던 [[다이와 스칼렛]]의 자마들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가장 잘 된 케이스 프랑켈과의 교배로 낳은 '타니노 프랑켈'인데, 오픈 레벨까지는 4승을 올렸지만 그레이드 경주(중상)에서는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장애물 경주로 전향했으나 미승리전도 통과하지 못하고 은퇴, 이 후 일본의 한 경매에 올라올 예정으로 되어 몇 안 되는 비SS계 종마라 많은 관심을 모았으나 경매가 이루어지기 전에 누군가가 종자마로 구매했는지 돌연 취소되었고[* 이에 해당 말이 경매에 나오자마자 트위터를 통해서 구매의사를 밝혔던 [[니시노 플라워]] 및 [[세이운 스카이]]의 마주로 유명한 니시야마씨도 서운함을 밝히면서도 종마로 나온다면 자신이 가진 암말로 교배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2021년 하반기 샤다이 2군 종마장인 렉스스터드로 옮겨져서 2022년부터 본격적인 종자마가 될 예정이라는 게 공개가 되었다. 오너 측의 이야기에 따르면 보드카 산구를 이렇게 비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은 선데이 사일런스 계열이 너무 많아 포화상태를 넘어서고 있는 일본 경마계를 위해 비 선데이 사일런스계 종자마/번식 암말로 만들기 위해서라고 한다. 2022년 2월, [[https://db.netkeiba.com/horse/2018104667/|스칼렛 테일]]이라는 암말과 타니노 프랑켈이 교배를 한 게 알려지면서 일본 내 경마팬들 사이에 화제가 되었는데, 스칼렛 테일이 다름아닌 다이와 스칼렛의 외손녀[* 정확하게는 다이와 스칼렛과 [[킹 카메하메하]]와의 사이에 태어난 다이와 레전드라는 암말이 [[하빈저(말)|하빈저]]와 교배해서 낳은 딸. 2018년생으로 현역 시절에 외할머니와 달리 경주마로서 재능이 부족해 중앙에서 치른 신마전과 미승리전에서 이기지 못해 [[홋카이도]]의 [[몬베츠 경마장|몬베츠]]로 옮기고 나서야 1승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이기지 못해 결국 경주마로서 활동한 1년밖에 안 된 2021년에 13전 1승을 끝으로 은퇴해서 번식마가 되었다.]이기 때문이다. 만일 이 두 말 사이에 산구가 태어나면 다이와 스칼렛과 보드카라는 양대 라이벌 혈통이 한데 섞이는 그야말로 경마팬들 사이에서는 로망 넘치는 혈통이 되는 셈이다. 참고로 스칼렛 테일을 보유한 목장 트위터에 의하면 해당 배합은 스칼렛 테일의 마주인 코사카 유스케씨의 의향에 의한 것이었다고 한다.[* 여담으로 스칼렛 테일과 타니노 프랑켈은 서로가 매우 마음에 들었는지 교배가 끝난 후에도 계속 붙어있으려고 했으며, 헤어질 땐 아쉬워하는 기색이 역력했다고 한다.] 2023년 1월 7일 스칼렛 테일의 상황을 라이브(...)로 방송했고, 이후 예정일(1월 10일)보다 하루 빠른 1월 9일에 출산에 성공했다. 성별은 암컷. 태어난 후에도 종종 모녀의 일상을 라이브로 보여주고 있다. 이 자마는 현재까지도 마메짱(まめちゃん)이라는 애칭으로 농장 직원들과 시청자들에게 애정과 귀여움을 받고 있다. [[https://www.youtube.com/live/synk_Po1ZgE?feature=share|#]] 2월 4일 기준 아직 생후 1개월도 채 안지났지만, 마방에서 펄쩍펄쩍 뛰어다니거나 스칼렛 테일의 뒤에서 장난을 치다가 혼나는 등(...)[* 말은 선천적으로 자신의 뒤에 누군가가 다가오는 것을 싫어해 뭔가가 뒤에서 온다 싶으면 냅다 걷어찬다. 어미가 아닌 다른 말이라면 가차없이 마메짱을 걷어차 죽여버릴 수도 있는 위험한 행동이기에 스칼렛 테일이 엄하게 혼내는 것. 다만 매번 혼내도 잊을만 하면 자꾸 스칼렛 테일의 뒷꽁무니에서 장난을 치는 걸 보면 갈 길이 멀어보인다.] 장난꾸러기 기질을 아낌없이 선보이면서 동시에 구무원에게 스스럼없이 다가가 무릎배게를 하는 애교많은 모습도 보여주며 시청자들의 도네를 갈취하고 있다. 직원들이 스칼렛 테일과 마메짱을 라이브 하면서 재미를 본 건지(...) 이후 [[오르페브르]] 산구를 수태한 [[https://db.netkeiba.com/horse/2015104196/|브라노]][* 2020년부터 번식마가 되면서서 세 마리를 낳았으며, 2023년 현재 네 마리째다.], [[알 아인]] 산구를 수태한 [[https://db.netkeiba.com/horse/2017105115/|지레네]][* 일본어로는 지레네(ジレーネ)이지만, 영어 표기명은 세이렌, 사이렌 등으로 읽을 수 있어 일본을 제외한 외국 경마팬들 사이에서는 헷갈려한다. 2022년에 한 마리를 낳았고, 현재 두 마리째다. 두 마리 모두 부마가 [[알 아인]]이다. 첫째 자마는 알 도령(アル坊)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의 상황을 라이브로 방송했다. 지레네는 예정일보다 늦게 출산했지만 2월 19일에 수컷 한 마리를 건강하게 낳았고, 브라노도 한참 지났다가 2월 23일에 암컷 한 마리를 출산하는데 성공했다. 세이렌의 둘째 자마는 '알 지로(アルジロー)' 통칭 '지로'라는 애칭을 붙였고[* 모마인 지레네 + 둘째를 뜻하는 지로를 합쳐서 지었다고 한다.], 브라노의 자마는 보쵸코(ボチョコ), 통칭 '보쵸'라는 애칭을 붙였다. 보쵸는 밤색털이지만 얼굴 전체를 뒤덮을 정도로 커다란 하얀 무늬가 있는 게 특징이다. 3월 4일에는 지레네와 마찬가지로 [[알 아인]] 산구를 수태한 [[https://db.netkeiba.com/horse/2016104666/|핑크 블로섬]]도 암컷 한 마리를 출산하는데 성공해 블로코(ブロッコ)라는 애칭을 붙였고 이후 이 유튜브는 종종 수태하거나 출산하는 다른 암말들을 보여주긴해도 주로 마메짱, 지로, 보쵸, 블로코 이 4마리를 중심으로 라이브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다가 6월부터 이유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려고 보쵸코와 블로코의 라이브는 종료했고, 지로는 계속 진행했으며 마메짱은 근황을 종종 알려주다가 지로가 있는 목장으로 옮겨 라이브를 재개했다. 이후 농장 측에서 8월 중반에 마메짱의 이유를 진행하기 위해 조만간 라이브를 종료한다는 공지를 올렸다. 현재는 상기 언급한 지로와 같은 마방을 쓰고 있으며 사이는 나쁘지 않은 듯 하다.[* 마메가 잠시 자리를 비우면 지로가 불안해하며 울어댄다는 걸 보면 같이 이유하면서 지로가 마메에게 많이 의지하는 모양.] 그러나 얼마 안 가 둘 다 같은 성별의 말들과 어울리기 위해 떨어지게 된다. 마메짱은 블로코를 포함해 암말들과 지내고 있으며, 지로도 수말들과 지내고 있다. 스칼렛 테일은 마메짱의 출산 이후, [[골드 쉽]]의 생일인 3월 6일에 골드 쉽과의 교배 일정이 잡혔다.[* 다음 교배 대상에 대해 팬들에게 투표를 받았는데 투표 자체는 [[에프포리아]]가 높았지만 결국 그 다음으로 높았던 [[골드 쉽]]으로 정해진 듯하다. 이 외에도 [[오르페브르]]와 [[오쥬 쵸산]]도 후보로 올라왔었다.] 일자는 바로 이튿날인 3월 7일 새벽(...) 커뮤니티에서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팀 스피카]][* 골드 쉽, 보드카, 다이와 스칼렛이 모두 소속된 팀이다.]의 재현이라는 떡밥을 굴려 댔다. == 여담 == * [[히가시하라 아키]]의 저주의 유탄을 맞은 말 중 하나다. 2007년 [[일본 더비|더비]]때 블로그에 '''이름이 적히지 않아''' 말 인플루엔자가 돌때 걸리지 않고 [[일본 더비|더비]]를 이겼지만 대신 부상으로 그 해는 날려먹었기 때문이다. * 보드카가 더비에서 우승했을 때 당시 황태자 신분이었던 현재 일본 덴노 [[나루히토]]가 경기를 관람했다. 경기 승리 후 [[시이 히로후미]] 기수는 보드카를 나루히토 쪽으로 향하게 한 후 모자를 벗고 마상에서 고개를 숙여 경례했다. [[https://youtu.be/MCCt3f1z6Kg?feature=shared&t=947|#]] 또 당시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부부도 같이 왔는데 부인 [[아베 아키에]]가 보드카의 단승식 마권을 사고 아베 신조는 복승식 마권을 사 모두 적중했다고 한다. * 현역 시절 마체중은 최대 498kg이었는데, 라이벌 [[다이와 스칼렛]]도 체중이 거의 비슷했다. 다만 균형있게 잘 빠진 체격으로 아름다운 암말을 거론할 때 빠지지 않는 다이와 스칼렛과는 대조적으로, 보드카는 수말로 착각할 만큼 우람한 근육질 체구였다. * 꽤나 지기 싫어하는 성격이었는지, 데뷔 전 병합조교에서 G1 우승 전적이 있는 경주마에게 바짝 따라붙었다고 한다. * 우락부락한 외모 탓인지, 수말보다 암말들에게 더 인기가 좋았다고 한다. 2010년 두바이로 갔을 때 보드카가 갑작스러운 비출혈로 은퇴 선언 후 번식암말이 되기 위해 아일랜드로 떠나자 두바이에 같이 갔던 후배 암말 [[레드 디자이어]]가 외로워해서 [[https://twitter.com/bianconera_33/status/1113409063797149697|보드카의 사진]]을 대신 붙여놓은 적도 있다. * 컨트리 목장 생산마들 중 역대 G1/Jpn1 승리 수 1위이며, 획득 상금 또한 역대 1위이다. 또한 보드카가 현창마로 선정되면서, 컨트리 목장에서 배출된 최초의 현창마 자리에도 올랐다. * 현역 시절 라이벌이었던 다이와 스칼렛의 오빠인 [[다이와 메이저]]가 보드카를 좋아했다는 설이 있다. 2007년 아리마에서 보드카를 응시하는 사진이 많이 찍혔고 둘이 같이 경기하는 날엔 유독 투쟁심을 불태우듯 달렸기 때문. * 암말로서 유일하게 '''2년 연속 연도대표마 수상''' 기록과,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와 더불어 '''4년 연속 G1 제패'''[* 전자의 경우 [[소다시]]가 도전하고 있었으나 결국 이뤄내지 못했고, 후자의 경우 [[젠틸돈나]]와 [[아몬드 아이]]가 2회 수상을 했으나 연속으로 수상하지는 못했다.(젠틸돈나는 2012, 2014년, 아몬드 아이는 2018, 2020년.)]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암말로서 역대 최초로 G1 7승 달성, 상금 10억엔 돌파 등, 암말로서 최초로 이룩해낸 업적도 여럿 가지고 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06년 {{{-1 (2세)}}} || || 10.29 || [[교토 경마장|교토]] |||| 2세 신마 || 잔디 1600m || 3.3 || 2 || '''{{{#red 1착}}}''' || 사메시마 카츠야 || (레이스 돌) || || 11.12 || 교토 || 키기쿠(黄菊)상 || 500만 || 잔디 1800m || 3.0 || 2 || 2착 ||<|2> [[시이 히로후미]] || 마이네르 솔리스트 || || 12.3 || [[한신 경마장|한신]] ||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 || '''GI''' || 잔디 1600m || 11.1 || 4 || '''{{{#red 1착}}}'''[*레코드] || ([[애스턴 마짱]]) || ||<-10> 2007년[* 이 해부터 일본이 경마 파트 1으로 승격되므로, 모종의 이유로 국제 등급을 받지 못한 Jpn등급 경주를 제외한 모든 중상이 국제 등급을 받는다.] {{{-1 (3세)}}} || || 2.3 || 교토 || 엘핀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600m || 1.7 || 1 || '''{{{#red 1착}}}''' ||<|9> 시이 히로후미 || (니시노 마나무스메)[* [[아그네스 타키온]]과 [[니시노 플라워]] 사이에서 태어난 말. 오픈 클래스에 오르고 중상에도 몇 번 도전했지만 2착만 2회 하고 이기지 못했다.] || || 3.3 || 한신 || [[튤립상]] || JpnIII[*A] || 잔디 1600m || 1.4 || 1 || '''{{{#red 1착}}}''' || ([[다이와 스칼렛]]) || || 4.8 || 한신 || [[오카상]] || '''JpnI'''[*A] || 잔디 1600m || 1.4 || 1 || 2착 || 다이와 스칼렛 || || 5.27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JpnI'''[*A] || 잔디 2400m || 10.5 || 3 || '''{{{#red 1착}}}''' || ([[아사쿠사 킹스]]) || || 6.24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3.5 || 1 || 8착 || [[어드마이어 문]] || || 10.14 || 교토 || [[슈카상]] || '''JpnI'''[*A] || 잔디 2000m || 2.7 || 1 || 3착 || 다이와 스칼렛 || || --11.11-- || --교토-- || --[[엘리자베스 여왕배]]-- || --'''GI'''-- || --잔디 2200m-- ||<-3> --출주 취소-- || --다이와 스칼렛-- || || 11.25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6.1 || 2 || 4착 || 어드마이어 문 || || 12.2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6.9 || 3 || 11착 || [[마츠리다 고흐]] || ||<-10> 2008년 {{{-1 (4세)}}} || || 2.23 || 교토 || [[교토 기념]] || GII || 잔디 2200m || 3.4 || 2 || 6착 || 시이 히로후미 || 어드마이어 오라[* [[아그네스 타키온]] 산구로, [[아르크토스]]의 아비이다.] || || 3.29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나드 알 셰바 || [[두바이 월드컵 미팅|두바이 듀티 프리]] || '''G1''' || 잔디 1777m |||| 미발매 || 4착 ||<|2> [[타케 유타카]] || 제이 페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주마. 2007년에 남아공 G1을 2회 우승하고, 2008년에 두바이 듀티 프리와 싱가포르 항공 인터내셔널 컵을 우승해 통산 G1 4승을 기록했다.] || || 5.18 || 도쿄 || [[빅토리아 마일]] || '''JpnI'''[*A] || 잔디 1600m || 2.1 || 1 || 2착 || [[에이시언 윈즈]] || || 6.8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4.1 || 2 || '''{{{#red 1착}}}''' || [[이와타 야스나리]] || (아르마다) || || 10.12 || 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1.5 || 1 || 2착 ||<|2> 타케 유타카 || [[슈퍼 호넷(말)|슈퍼 호넷]] || || 11.2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2.7 || 1 || '''{{{#red 1착}}}'''[*레코드] || (다이와 스칼렛) || || 11.30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3.7 || 2 || 3착 || 이와타 야스나리 || [[스크린 히어로]] || ||<-10> 2009년 {{{-1 (5세)}}} || || 3.5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나드 알 셰바 || 제벨 하타 || G2 || 잔디 1777m |||| 미발매 || 5착 ||<|6> 타케 유타카 || 발리우스 || || 3.28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나드 알 셰바 || 두바이 듀티 프리 || '''G1''' || 잔디 1777m |||| 미발매 || 7착 || 글래디에이터러스[* 미국에서 생산된 이탈리아/아랍에미리트의 경주마. 이후 이탈리아의 G1 비토리오 디 카푸아 상을 우승해 통산 G1 2승을 달성한다.] || || 5.17 || 도쿄 || '''빅토리아 마일''' || '''GI''' || 잔디 1600m || 1.7 || 1 || '''{{{#red 1착}}}'''[*레코드] || (브라보 데이지) || || 6.7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8 || 1 || '''{{{#red 1착}}}''' || ([[딥 스카이(말)|딥 스카이]]) || || 10.11 || 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1.3 || 1 || 2착 || [[컴퍼니(말)|컴퍼니]] || || 11.1 || 도쿄 || 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2.1 || 1 || 3착 || 컴퍼니 || || 11.29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3.6 || 1 || '''{{{#red 1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오켄 브루스 리]]) || ||<-10> 2010년 {{{-1 (6세)}}} || || 3.4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메이단 || 알막툼 챌린지 라운드 3[* 현재 G1이다.] || G2 || 올웨더 2000m ||<-2> 미발매 || 8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레드 디자이어]] ||}}} [include(틀:야스다 기념,grade=GI)] [include(틀:천황상 가을,grade=GI)] [include(틀:빅토리아 마일,grade=GI)] [include(틀:재팬 컵,grade=GI)] [include(틀:한신 쥬브나일 필리즈,grade=일본 GI)] [include(틀:일본 더비,grade=JpnI)] ---- [include(틀:튤립상,grade=JpnIII)]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version=136)]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씨암말/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2004년 출생/경주마]][[분류:2019년 죽은 동물]][[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브라이언스 타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