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불가리아의 행정구역)] ||||<#87CEEB><:>{{{#gold {{{+3 벨리코 터르노보[br] Велико Търново }}}}}}|| ||<-3><:> [include(틀:지도, 장소=불가리아 벨리코 터리노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tarnovo-gruev2.jpg]] [[파일:터르노보.jpg|width=100%]] * [[불가리아어]]: Велико Търново * [[튀르키예어]]: Tırnovo (트르노보)[* [[오스만 투르크어]]로는 طرنوه] [목차] == 개요 == 별명은 '황제들의 도시' [* 한편 [[불가리아]] [[제2의 도시]]인 [[플로브디프]]는 '일곱 언덕의 도시'(Градът на седемте хълма)라는 별명이 있으며 실제로 로마 시대 고적이 많다.] 벨리코는 큰, 위대한이라는 뜻으로 [[1965년]]에 덧붙여진 이름이다.[* [[튀르키예]]와의 국경도시 중에 말코(작은) 터르노보(Малко Търново)가 있다.]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68,783명이다. == 역사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62px-Medieval_Tarnovo_map_SVG.svg.png]] 중세의 터르노보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였는데, 불가리아 제국은 수도인 터르노보를 원래 [[콘스탄티노플]]을 부를 때 쓰던 말인 차리그라드, 즉 [[황제]]가 계시는 도시라 부르며 제3의 제국을 칭했다. 이는 동로마계로서 제3의 로마론을 처음 주장한 사례이다. 1393년 [[오스만 술탄국]]에 함락되며 오백년 가까이 지배를 받았다. 이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1877년 7월 7일 [[러시아 제국]]의 이오시프 구르코 장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역사적 상징성 때문에 근대 [[불가리아/역사|불가리아 역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1878년 [[불가리아 공국]]의 수도가 되었고 이듬해 불가리아 국민대회가 소집되어 헌법이 제정되면서 수도를 현재의 [[소피아(도시)|소피아]]로 옮긴다. 그리고 1908년 10월 5일, 이 도시에서 [[페르디난트 1세(불가리아)|페르디난트 1세]]가 [[불가리아 왕국]]의 완전 독립을 선언하기도 했다. [[분류:벨리코 터르노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