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트남의 역사)] ||<-3><#ffff00><:> {{{#DA251D {{{+1 '''정부중앙임시월남'''}}}[br]'''Chính phủ Trung ương lâm thời Việt Nam (政府中央臨時越南)'''[br]'''Gouvernement central provisoire du Viêt Nam'''}}} || ||<-3> [[프랑스 제4공화국]]의 [[괴뢰국]] || ||<-2>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width=150]] || [[파일:Coat_of_arms_of_the_Provisional_Central_Government_of_Vietnam_(1948–1949).png|width=100]] || ||<-2><#ffff00><:> [[황저삼선기|{{{#DA251D '''국기'''}}}]] ||<#ffff00><:> {{{#DA251D '''국장'''}}} || ||<-4><:> {{{#DA251D '''Việt Nam thống nhất độc lập'''}}}[br]{{{#DA251D '''베트남을 통일하라'''}}}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20px-Location0fVietnam.svg.png|width=250]] || ||<-3><#ffff00> {{{#DA251D '''1948 ~ 1949'''}}} || ||<:><-2> '''{{{#DA251D 성립 이전}}}''' ||<:> '''{{{#DA251D 바오다이 취임 이후}}}''' || ||<-2><:><#002395>[[통킹|{{{#fff '''통킹'''}}}]] ||<|3><:><#FFFF00>[[베트남국|{{{#DA251D '''베트남국'''}}}]] || ||<:><#002395><-2>[[프랑스령 안남|{{{#fff '''안남'''}}}]] || ||<:><#FFFF00><-2>[[코친차이나 공화국|{{{#002395 '''코친차이나 공화국'''}}}]] || ||<-3> '''{{{#DA251D 역사}}}''' || ||<-3><:> '''[[1948년]] [[5월 27일]] 수립''' [br] '''[[1949년]] [[7월 2일]] [[베트남국]] 건국 선포''' || ||<#ffff00><:>[[국가(노래)|{{{#DA251D '''국가'''}}}]] ||<-2>[[공민에게 고함|청년행진곡]] || ||<#ffff00><:> {{{#DA251D '''위치'''}}} ||<-2>베트남 17선이남 || ||<#ffff00><:>[[수도(행정구역)|{{{#DA251D '''수도'''}}}]] ||<-2>[[사이공]] (현 [[베트남]] [[호찌민시|호찌민]]) || ||<#ffff00><:> {{{#DA251D '''정치체제'''}}} ||<-2>[[임시정부]] || ||<#ffff00><:> {{{#DA251D '''정부수반'''}}} ||<-2>수상 || ||<#ffff00><:> [[언어|{{{#DA251D '''언어'''}}}]] ||<-2>[[베트남어]], [[프랑스어]] || ||<#ffff00><:> {{{#DA251D '''통화'''}}} ||<-2>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8년부터 1949년까지 존재한 베트남의 임시정부이다. 통킹, 안남 두 보호령을 대체하는 정부로서 수립되었다. == 상세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베트민]]과 전쟁 중이던 프랑스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 베트남을 통일하고, 프랑스에 우호적인 정부를 세우려고 했다. 1948년 5월 27일, [[코친차이나 공화국]] 수상이던 응우옌반쑤언이 사임하고 [[프랑스령 안남|안남]]과 [[통킹]]을 통합한 임시정부를 수립했고 수상에 취임했다. 베트남 국민당, 대베트남 국민당 [[까오다이교]], 호아하오교 등 반공 민족주의 세력들은 임시중앙정부 수립을 지원했고, 사람들을 정부에 합류하게 했다. 1948년 6월 5일 [[하롱베이]] 협정으로 [[프랑스]] 연합 내에서 안남, 통킹, 코친차이나를 통일하는 베트남 정부의 창설이 허용되었다. 프랑스는 [[홍콩]]에 망명해 있던 바오다이를 국가원수로 내세우고자 하지만, 바오다이는 자신이 국가원수로 취임하기 전에 베트남의 전 국토가 통일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코친차이나가 빠진 것이었다. 코친차이나는 프랑스 국회의 승인을 얻지 못한 채 한동안 코친차이나 공화국으로서 분리되어 있었다가, 1949년 4월 23일 코친차이나 의회의 승인을, 1949년 5월 20일 프랑스 국회의 승인을 받아 1949년 6월 4일 최종적으로 통일되었다. 이후 1949년 7월 2일 [[바오다이]]를 국가원수로 하는 [[베트남국]]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베트남인 군대도 창설을 허용하여, 1949년 1월 1일, 25,000명 규모의 베트남 국가군도 창설된다. 이들은 [[베트남 공화국군]]의 전신이 된다. [[분류:베트남의 역사]][[분류:20세기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