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이징 지하철의 전동차)] [include(틀:N+P Innovation Design의 철도 차량)] ||<-3>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파일:베이징 지하철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89333b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1 SFM04형 전동차}}}'''[br]{{{-1 Beijing Mass Transit Railway Operation}}} SFM04 series[br]北京市地铁运营 SFM04型 电动车组}}} ||}}} || ||<-3> [[파일:01_035_leaving_Sihui_(20210421103655).jpg|width=100%]] || ||<-3> {{{#89333b 외부}}} || ||<-3> [[파일:Interior_of_01_0646_(20210429103043).jpg|width=100%]] || ||<-3> {{{#89333b 내부}}}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6량 1편성 || || '''운행 노선''' ||<-2>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width=20]] [[베이징 지하철 1호선|{{{#89333b 베이징 지하철 1호선}}}]][br][[파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아이콘.svg|width=20]] [[베이징 지하철 바퉁선|{{{#89333b 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 || '''도입년도''' ||<-2> [[2007년]] ~ [[2011년]] || || '''제작회사''' ||<-2> 남차칭다오쓰팡기차차량[br][[베이징지하철차량장비]] || || '''소유기관''' ||<-2> [[베이징시|[[파일:20190522_033049.jpg|width=100]]]] || || '''운영기관''' ||<-2>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파일:베이징 지하철 로고.svg|width=100]]]] || || '''차량기지''' ||<-2> [[구청차량단]] || ||<-3> {{{#black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2> 19,000㎜[* 운전차량은 19,500㎜] || || '''전폭''' ||<-2> 2,800㎜ || || '''전고''' ||<-2> 3,510㎜ || || '''궤간''' ||<-2> 1,435㎜ || || '''차중''' ||<-2> 29.0 ~ 35.0t || || '''급전방식''' ||<-2>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 || '''운전보안장치''' ||<-2> Casco Urbalis 888 [[CBTC]] || || '''제어방식''' ||<-2> 도요전기제 [[VVVF]]-[[IGBT]] || || '''동력장치''' ||<-2>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기어비''' ||<-2> 100:13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주전동기 출력''' ||<-2> 180kW || || '''편성출력''' ||<-2> 2,160kW || ||<|2> '''최고속도''' || 영업 || 75㎞/h || || 설계 || 80㎞/h || || '''가속도''' ||<-2> 3.0㎞/h/s || ||<|2> '''감속도''' || 상용 || 3.6㎞/h/s || || 비상 || 4.3㎞/h/s || || '''MT 비''' ||<-2> 3M3T ||}}}}}}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이징 지하철 1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로 2011년 기존의 노후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서 제작되었다. 1차분인 SFM04형은 남차칭다오쓰팡기차차량(현 중차칭다오쓰팡기차차량)에서 제작되었으며, 2차분인 SFM04A형은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에서 제작되었다. 전 차량 [[구청차량단]]에 배속되어있다. == 특징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최초로 도입 당시부터 냉방 설비와 자동 출입문이 적용된 전동차다. 실내 인테리어는 오렌지 레드 등 따뜻한 색상의 스테인리스 손잡이와 기둥, 그리고 부드러운 질감의 모켓시트가 적용되어 있으며, 시트 끝단부는 아크릴로 설계되어있다. 또한 손잡이, 팔걸이, 좌석 양 옆의 패널은 모두 휘어져 있고, 출입문 상단부에는 현재 도착역과 노선을 안내하는 안내 LCD가 설치되어있다.[* 1호선만 운행했을 시절에는 LED 전자노선도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바퉁선 직결 대비 때문에 LCD로 개조되었다.] 또한 일부 열차의 조명은 LED로 변경되었고, 또 첫 번째와 여섯 번째 객차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된 휠체어 발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를 당기면 휠체어 페리가 튕겨져 나오며, 동시에 휠체어 2~3개가 함께 차에 오를 경우 객실 옆의 시트 6개가 접혀서 공간을 비울 수 있다. 또한 소음저항기를 설치해 소음을 69dB 이하로 줄였다. [[신칸센 500계 전동차|신칸센 500계]]와 이 열차와 비슷하게 생긴 [[도쿄메트로 10000계 전동차|도쿄메트로 10000계]], [[후쿠오카시 교통국 3000계 전동차|후쿠오카시영 3000계]]를 디자인한 [[독일]]의 산업디자이너 [[알렉산더 노이마이스터]]가 디자인한 차량이다. 그래서 10000계, 3000계와 비슷한 곡선의 차량 디자인을 하고 있다. == 여담 == * G455편성은 2015년도에 빌리빌리 테마 랩핑열차로 운행하었고, G437편성은 2017년도에 아이러브 차이나 테마열차, G438편성은 2019년도에 국박열차로 운행하였다. * 2023년도에는 G437편성이 시광열차라는 이색적인 테마열차로 운행되었다. 외부 랩핑은 물론 내부까지 1960년대부터 2020년대 현재까지의 베이징 지하철 차량을 재현하였다. 1, 6호차는 1960년대의 DK2형과 1970년대 DK3형을 재현하였다. 2, 5호차는 1980년대의 DK11형과 1990년대의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4G형 전동차|DKZ4형]]을 재현하였다. 3, 4호차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으로 개통한 [[베이징 지하철 8호선|8호선]], [[베이징 지하철 10호선|10호선]]의 DKZ15형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으로 개통한 [[베이징 지하철 11호선|11호선]]의 BRMA01형을 재현하였다. 무려 각 차량의 좌석들까지 시대에 맞게 전부 교체했는데, 일시적으로 운행하는 테마열차의 내부까지 개조한 케이스는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드문 케이스이다. [[https://baijiahao.baidu.com/s?id=1773726559946082113&wfr=spider&for=pc&searchword=%E5%8C%97%E4%BA%AC%E5%9C%B0%E9%93%81%E6%97%B6%E5%85%89%E5%88%97%E8%BD%A6|#]] 해당 테마열차는 [[구청역(베이징)|구청역]]-[[푸싱먼역]] 구간에서만 오후 2시~3시 사이에 운행되었다. * 1호선과 바퉁선의 직결로 인해 2021년 4월부터 SFM04/04A형 열차의 번호가 0103201070으로 바뀌며, 첫 번호가 바뀌는 열차는 01047(G447)이다. == 관련 문서 == * [[중국 철도 정보]] * [[중국의 철도 차량 목록]]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 [[전동차]] [[분류:중국의 철도차량]][[분류:베이징시 지하철 운영]][[분류:전동차]][[분류:2006년 출시]][[분류:201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