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이징 지하철 노선)] ||<-2>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파일:베이징 지하철 로고.svg|height=15]]]]{{{#!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width=50]]||{{{#FF8674 '''北京地铁''' {{{+1 '''11号线'''}}}[br]{{{-1 Beijing Subway}}} Line 11[br]{{{-1 베이징 지하철}}} 11호선}}} ||}}} || ||<-2> [[파일:Beijing Subway Line 11 Train.jpg|width=100%]]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ZBM04형 전동차]] || ||<-2> '''노선 정보''' || ||'''분류'''||<-3><(>[[지하철]]|| ||'''기점'''||<(>[[진안차오역]]|| ||'''종점'''||<(>[[신서우강역]]|| ||'''역 수'''||<(>3[* 진안차오 ~ 신서우강 구간이 선행 개통되었다.] || ||'''노선기호'''||<(>{{{#FF8674 '''11'''}}}|| ||'''노선번호'''||<(>11호선|| ||'''개업일'''||<(>[[2021년]] 12월 31일|| ||'''소유자'''||<(>[[베이징시|[[파일:20190522_033049.jpg|width=180]][br]{{{#DE2910 베이징시}}}]]|| ||'''운영자'''||<(>[[베이징시 지하철 운영|[[파일:베이징 지하철 로고.svg|width=120]][br]{{{#000080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차량기지'''||<(> 없음|| ||'''사용차량'''||<(>[[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ZBM04형 전동차]] || ||<-2>'''노선 제원'''|| ||'''노선연장'''||<(>4.2km|| ||'''궤간'''||<(>1435m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보안장비'''||<(>|| ||'''최고속도'''||<(>|| [목차] [clearfix] == 개요 == [[베이징 지하철]]의 한 노선이다. 2022년 동계올림픽 지선으로 건설된 노선으로서 2021년 12월 31일에 개통하였다. 노선 색상은 산호색이다. == 상세 == 11호선 1단계 구간은 '''동계올림픽 지선'''으로 [[베이징 지하철 8호선|8호선]] 올림픽 지선 구간[* [[베이투청역]]~ [[썬린궁위안난먼역]] 구간이다. 10호선 지선이었고, 2008년 개통했다.]처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맞추어 개통되었다. [[신서우강역]]은 원래 스징산 제철소가 있던 곳이나 문을 닫고 서우강 공원이 되었으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설상경기장으로 쓰이게 되었다. 2021년 12월 31일 11호선이 3개역으로 개통되었다. 가장 북쪽에 있는 [[모스커우역]]은 일단 개통시키지 않는다고 한다. 차량은 4량 1편성이며 3M1T비로 가지고 있다. 소자는 [[봄바디어]]제 IGBT이며 초반부에는 [[중국]]에 [[봄바디어]] 소자를 주로 들을 수 있는 [[서울특별시|서울]]의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s-3.1|2호선 1,]]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s-3.2|2차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s-3.1|3호선 1차분]]과 흡사하는 구동음이 아닌 [[광주광역시|광주]]의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광주1호선 전동차]] 구동음과 흡사하다. 2022년에 발표된 [[https://web.archive.org/web/20220708041025/https://www.rails.cn/download/2022/附件1:北京市轨道交通第三期建设规划(2022-2027年)环境影响报告书(征求意见稿).pdf|베이징시 궤도교통 제 3기 건설규획(2022-2027년)]]에 따르면, [[신서우강역]]에서 [[양차오역]]까지 17개역으로 구성된 2단계 구간이 계획되고 있다. [[롄화차오역]], [[베이징시역(지하철)|베이징시역]], [[리쩌상우취역]], [[베이징난역(지하철)|베이징난역]]에서 타 노선들과 환승될 예정이다. 장기 계획인 전 구간 개통까지 완료되면, [[베이징 지하철 7호선|7호선]]과 [[베이징 지하철 14호선|14호선]]에 이어 베이징시 남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노선이 된다. == 노선 == ||<-5> [[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노선도.png |width=70%]] || || {{{#fff 한글 역명}}} || {{{#fff 중국어 역명}}} || {{{#fff 승강장}}} || {{{#fff 행정구역}}} || {{{#fff 환승노선}}} || || ~~[[모스커우역|모스커우]]~~ || ~~模式口~~ || --■││■-- ||<|4> [[스징산구]] || || || [[진안차오역|진안차오]] || 金安桥 || │■│ ||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width=20]] [[베이징 지하철 6호선|6호선]][br][[파일:베이징 지하철 S1선 아이콘.svg|width=20]] [[베이징 지하철 S1선|S1선]] || || [[베이신안역|베이신안]] || 北辛安 || │■│ ||<|2> || || [[신서우강역|신서우강]] || 新首钢 || │■│ || [[분류:베이징 지하철 11호선]][[분류:2021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