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이징10대건축)] |||| '''{{{+1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br]'''北京工人体育场'''[br]'''{{{-1 Beijing Workers' Sports Complex}}}'''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ebe473c9d1f5340c563c7c807e35e762eb2ba3a.jpg|width=100%]]}}} || ||<-2> || || '''{{{#fff 별칭}}}''' ||工体 || || '''{{{#fff 위치}}}''' ||[[중국]] [[베이징시]] [[차오양구(베이징시)|차오양구]] 공런티위창베이루[br]北京市朝阳区工人体育场北路 || || '''{{{#fff 완공}}}''' ||[[1959년]] [[8월 31일]] || || '''{{{#fff 건축면적}}}''' ||80,000㎡ || || '''{{{#fff 소유주}}}''' ||베이징시 총공회[br](北京市总工会) || || '''{{{#fff 운영사}}}''' ||베이징 노동자 체육복무센터[br](北京职工体育服务中心) || || '''{{{#fff 수용인원}}}''' ||66,161명 || || '''{{{#fff 홈 팀}}}''' ||[[베이징 궈안]][br](1996~2005, 2009~2019,[br]2022~)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北京工人体育场, 높이=250px, 너비=100%)]}}}|| || '''{{{#fff 홈페이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베이징]] 차오양 구의 북쪽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써 현재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된다. 경기장은 1959년에 지어졌으며 2004년에 개조되었다.(콘크리트 구조가 강화되고 새로운 회전식 디스플레이 화면과 에너지 절약 장치가 설치됨). 66,161명을 수용할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350,000m^^2^^의 면적을 차지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 기념으로 1959년에 건립된 10대 건축물 중 하나이다.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1990년 아시안 게임]]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1993년 중화인민공화국 제7회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전국운동회]]가 열렸는데 육상 종목에서 어마어마한 세계 신기록이 달성되었다. 왕준샤[* 애틀란타 올림픽에 출전하여 5,000m와10,000m에 출전해 각각 금,은메달을 획득하였다.]가 10,000m에서 29분 31.78초(1993년 9월 8일, 지금은 세계 2위 기록)를 찍더니 여자 1,500m에서 또 3:50.46(1993년 9월 11일 당시 1위, 현재는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여자 3,000m에서 역시 왕준샤가 8:06.11(1993년 9월 13일 당시 1위, 현재도 세계 1위)[* 같은날 2위를 한 쿠 윤샤가 기록한 8:12.18초 현재도 세계 2위의 기록이다.]를 기록하며 계속해서 여자 장거리 세계 신기록을 갱신했다. [[2004 AFC 아시안컵 중국]] 예선 및 결승전을 포함한 토너먼트 경기와 [[2008 베이징 올림픽|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축구 예선 경기를 비롯해 남자 축구 8강과 4강, 여자 축구 결승전을 개최했다. 2009년 프리미어 리그 아시아 트로피을 열어 홈팀 [[베이징 궈안]]이 [[토트넘 핫스퍼]],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헐 시티 AFC]]을 초청해 경기를 갖기도 하고 2012년 [[FC 바이에른 뮌헨]]의 프리 시즌 중국 투어를 개최하여 베이징 궈안과 승부를 펼치기도 했다. 콘서트로써 [[장혜매]], [[GLAY]], [[왕페이]], S.H.E, [[비(연예인)|비]], [[주걸륜]], [[머라이어 캐리]] 등의 가수들이 공연무대를 갖기도 하였다. 주변 도로 정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축구 경기가 있는 날에는 차도 사람도 많아서 '''버스의 운행이 방해될 정도.[* 특히 [[상하이 뤼디 선화]]전 종료 후 더 심각하다.]''' 이때문인지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의 버스 정류장은 방향에 따라 공런티위관, 공런티위창[* 이쪽이 축구 경기장과 가깝다.] 공런티위관동/시먼 네개로 분산되어있다. 그리고 [[베이징 지하철]] [[베이징 지하철 3호선|3호선]], [[베이징 지하철 17호선|17호선]] [[궁런티위창역]]이 2022년 말 개통을 목표로 공사중이다.[* 17호선은 2022년 12월 개통 예정이나 2023년 3월 현재도 소식이 없다, 3호선은 2023년 내로 개통 예정에 있다.] [[2023 AFC 아시안컵]] 개최 경기장 중 한 곳으로 선정되면서 2020년부터 3년간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당시 71,000석 규모로 재탄생될 예정이었으며, 이 곳에서 공식 개막전과 준결승 1경기, 결승전 등이 개최될 계획이었으나 카타르로 개최되면서 무산 되었다. 그 기간동안 홈팀 [[베이징 궈안]]은 베이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임시 홈구장을 쓰게 된다. == 둘러보기 == ||<-5><:>[[파일:FISU 로고.svg|width=60]] '''역대 하계 유니버시아드 주경기장''' || ||<:> 20회 ||<:> {{{+1 → }}} ||<:> 21회 ||<:> {{{+1 → }}} ||<:> 22회|| ||<:> [[1999 팔마 하계 유니버시아드]] [br] [[이베로스타 에스타디오]] ||<:> {{{+1 → }}} ||<:>'''2001 베이징 하계 유니버시아드 ''' [br]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1 →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br] [[대구스타디움]] || ||<-5>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35]] '''역대 [[올림픽|{{{#black,#white 하계올림픽}}}]] 여자 축구 결승전 개최 경기장''' ⚽️ ,,'''(Citius, Altius, Fortius)''',, || || 28회 ||<|2> {{{+1 → }}} || 29회 ||<|2> {{{+1 → }}} || 30회 || || [[2004 아테네 올림픽]][br][[게오르기오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 '''[[2008 베이징 올림픽]][br]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2012 런던 올림픽]][br][[웸블리 스타디움]] || ||<-5>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35]] '''역대 하계 아시안 게임 개폐회식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0회 ||<:> {{{+1 → }}} ||<:> 11회 ||<:> {{{+1 → }}} ||<:> 12회|| ||<:>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br]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1 → }}} ||<:>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br]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1 → }}}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br] [[히로시마 광역공원 육상경기장]] || }}} || ||<-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width=30]] '''역대 AFC 아시안컵 결승전 개최 경기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2회 ||<:><|2> {{{+1 → }}} ||<:> 13회 ||<:><|2> {{{+1 → }}} ||<:> 14회 || ||<:> [[2000년 AFC 아시안컵|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br][[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 '''[[2004 AFC 아시안컵 중국]]'''[br]'''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2007년 AFC 아시안컵|2007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br][[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 }}} || [[분류:중국의 경기장]][[분류:중국의 축구장]][[분류:베이징10대건축]][[분류:베이징 궈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