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O 퓨처스리그 홈구장)] [include(틀:두산 베어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070101795_0.jpg|width=100%]]}}} || ||<-2> '''{{{#ffffff {{{+2 두산 베어스}}}}}}''' || ||<-2> '''{{{#ffffff {{{+2 베어스 파크}}}[br]Bears Park}}}''' || ||<:> '''{{{#ffffff 개장}}}''' ||[[1983년]] 1월 || ||<:> '''{{{#ffffff 소재지}}}'''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원적로 668 || ||<:> '''{{{#ffffff 홈구단}}}''' ||'''{{{#15326f OB 베어스 2군}}}''' (1983~1998) [br] '''[[두산 베어스/2군|{{{#131230,#fff 두산 베어스 2군}}}]]''' (1999~ ) || ||<:> '''{{{#ffffff 면적}}}''' ||44,060㎡ || ||<:> '''{{{#ffffff 잔디}}}''' ||천연잔디 || ||<:> '''{{{#ffffff 관중석}}}''' ||400석 || ||<:> '''{{{#ffffff 명칭}}}''' ||베어스 필드 (1983~2005)[br]이천 베어스 필드 (2005~2013)[br]'''{{{#131230,#fff 베어스 파크 (2014~)}}}''' || ||<:> '''{{{#ffffff 건설비용}}}''' ||7억 [br] 1차 리모델링 (베어스 필드): 150억 [br] 2차 리모델링 (베어스 파크): 550억[* 당초 알려진 400억원에서 150억원이 증가했다.] || ||<:> '''{{{#ffffff 운영사}}}''' ||[[두산]] (1983~2020) [[한국자산관리공사]] (2021~2025) || ||<-2> [[http://www.doosanbears.com/doosanbears/field.do|'''{{{#fff 홈페이지}}}''']] || ||<-2><:> [include(틀:지도,장소=베어스 파크,너비=100%,높이=225px)]|| ||<-2><#131230>
<:> '''{{{#white 두산 베어스 홈구장}}}''' || ||<:> {{{#ffffff 홈구장}}} ||<:> {{{#ffffff 2군 구장}}} ||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글로벌 스포츠·MICE 야구장]] {{{-2 (예정)}}} || '''베어스 파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두산 베어스]]의 클럽하우스이자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의 홈구장. 별칭 '화수분'으로 불리우고 있다.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407011200777202_53b224c2a13d5.jpg|width=500]] [[파일:external/cdn.mydaily.co.kr/201407011229572221_1.jpg|width=500]] == 역사 == [[파일:/image/295/2013/08/13/083425446_2013-08-13-08%253B18%253B55.jpg|width=400]] 1983년 1월에 건설된 경기장으로 '''한국 프로스포츠 역사상 최초의 2군 경기장'''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성 라이온즈]]의 초대 구단주인 [[이건희]] 회장도 프로야구 출범 직후부터 전용 훈련장을 건립할 계획이 있었고 경산 야구장을 짓기 위한 부지 매입도 1983년 1월부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런 저런 사정으로 곧바로 건설하지 못하고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1985년에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그에 대한 포상 형식으로 건설되었다. 경산 볼파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경산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문서 참조.]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OB맥주]] 이천공장 내부에 6억 9,500만원을 투자해 건설되었으며[* 원래 [[김일융]]을 잡으려 했는데 [[삼성 라이온즈]]의 돈에 포기하게 된 사건 이후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야구계에서 "김일융 못 잡아서 아낀 돈으로 지은 야구장"이라는 우스개 소리를 듣기도 했다. [[김일융]] 대신 데려온 선수는 [[최일언]]이다.] 이 경기장은 당시 웬만한 1군 야구장보다 시설이 좋았다고 한다. 다만 2군 리그가 형성되고 시작된 것은 1990년부터이기 때문에 건설 후 한동안은 1군 팀의 전용 훈련장으로 대부분 사용되었다. 2005년 12월 12일에 이천시 백사면에 이천 베어스 필드(Icheon Bears Field)를 신축하여 2013년까지 사용해왔다.[* 기존의 OB맥주 야구장 부지는 신세계에 매각되어 이마트 후레쉬센터가 되었다.[[http://news.hankyung.com/article/2006030738981|관련기사]]] 당시 모습이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kychallenge&logNo=100156943977&parentCategoryNo=74&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 === 신축 구장으로의 변신 ===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070101795_0.jpg|width=500]] [[파일:external/cdn.mydaily.co.kr/201407011205322224_1.jpg|width=500]] [[파일:external/file.mk.co.kr/image_readtop_2014_944899_14041865751409046.jpg|width=500]] [[파일:external/file.mk.co.kr/image_readtop_2014_944929_14041870241409057.jpg|width=500]]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95&article_id=0000001043|(박동희의 야구탐사) 두산 화수분 시즌2 "사람이 미래다."]] [[2013년]] [[8월 8일]], [[두산 베어스]]가 보도자료를 통해 "베어스 필드를 확장하겠다"고 밝혔고 [[2014년]] [[7월]]에 완공되었다. 시공사는 모기업의 또다른 계열사인 [[두산건설]]. 건설 비용만 무려 550억원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이다.[* 다만 이것은 [[두산그룹]] 계열사인 두산건설에 일감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2013년]] 당시 두산건설의 사정이 좋지 않았다.] 최첨단 트레이닝 시설과 [[클럽 하우스]] 등이 완비되어 있고 [[삼성 트레이닝 센터]](STC)와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 [[전북 현대 모터스]]의 클럽하우스에서만 보유하고 있는 수중치료기 또한 도입한다고 밝혀 두산 팬들이 기대에 부푸는 중이다.[* 이후 [[기아 챌린저스 필드]]에도 도입되었다.] 참고로 이 곳에 있는 수중치료기는 [[삼성 트레이닝 센터|STC]]가 가진 수중치료기보다 훨씬 크다고 한다. 사실상 한국에서 가장 큰 [[http://osen.mt.co.kr/article/G1109892247|수중치료기인 셈이다.]] 건설 기간 동안은 [[성남시]]에 위치한 상무 야구장을 2군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며 클럽하우스와 실내 경기장은 6월까지 공사를 했고 완료가 되어 다시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7월 1일]]에 구단주 등이 참석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163523|정식 개관식을 가졌다.]] [[이천시]] 대월면에 [[이천 LG 챔피언스 파크]]가 완공되어 퓨처스에서도 [[잠실시리즈|이천 시리즈]]가 열린다. === 매각 === 모기업 [[두산]]의 자금난으로 인해서 2020년 11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부터 294억 원을 차입하기로 했다. 매각 기사가 나온 직후 선수단이 영구적으로 베어스 파크에서 빠지는 걸로 착각하여 팬들 사이에서 큰 논란이 있었으나, '''[[세일 앤 리스백|매각 후 재임대]]''' 형태로 선수단이 입주하고 5년후 재매입조건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선수단이 이사를 갈 걱정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2012286|@]] 당장에 경영난 때문에 급하게 매각했지만 두산 구단이 다시 매수할 수 있는 권리가 포함되어 있기에 사실상 베어스파크를 담보로 잠시 대주는 대신 돈을 빌려온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 식당 == == 교통편 == 경강선 [[이천역]]에서 내려 [[이천시의 공영버스/백사면|21-3, 21-30, 21-31번]]을 타고 야구장 정문 바로 옆에 있는 경사1리 정류장에 하차하면 된다. == 여담 == * 2016시즌에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8&aid=0002516169&redirect=true|베어스파크 투어]] 패키지가 출시되었다. * [[두산그룹]] 공식 유튜브채널에서 [[베어스포티비]]와 콜라보로, 송예슬 리포터의 1일 [[https://www.youtube.com/watch?v=W3jvZHKeiMs|선수체험기]]를 제작해 업로드하기도 했다.[* 송예슬 리포터는 체력관리가 중요한 무용과 출신인데, 프로선수들의 힘든 훈련을 잘 따라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베어스 필드 시절부터 구내식당의 [[육개장]]이 엄청나게 맛있다고 한다. 한국시리즈 등 1군의 중요한 경기가 있기 전에 베어스 파크에서 직접 요리를 공수해 올 정도라고 한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17&aid=0002007536|관련기사]] 현재는 전지훈련 때 계열사인 라데나리조트 소속 셰프가 동행한다. * 현재 구내식당은 [[KIA 타이거즈]]와 같은 회사인 [[현대백화점]] 계열 현대그린푸드에서 운영하는데, 영양사가 선수 및 직원 식단 관리를 잘해서 호평을 받고 있다. [[http://naver.me/5iznovwX|선수들이 영양사를 엄마라고 부를 정도다]]. 맛있는 음식과 함께 인스타에 고양이, 강아지 사진도 많이 올리고 있다. * 2021년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스프링캠프가 차려진 상황에서 베어스파크 건물 안을 산책하듯이 둘러보는 영상이 [[베어스포티비]]에 올라왔다. 실내가 궁금한 사람은 해당 영상을 보면 좋다. [[https://youtu.be/FrHUM0CzXLk|이천 베어스파크 점심 후 걷기]] * 2009년에 천하무적 야구단의 경기를 이 곳에서 한 적이 있었다. [[분류:경기도의 야구장]][[분류:클럽 하우스]][[분류:1983년 건설]][[분류:OB 베어스]][[분류:두산 베어스]][[분류:이천시]][[분류:한국자산관리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