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목차] ||<-2><#4e5253> {{{+1 {{{#ffffff '''베어 스턴스''' }}}}}} || ||<-2><#FFF,#CCC> || || '''영문명''' ||'''The Bear Stearns Companies, Inc.''' || || '''창립''' ||1923년 || || '''해체''' ||2008년 3월 || || '''업종''' ||[[투자은행]] || || '''상장여부''' ||[[상장기업]] || || '''상장시장''' ||[[뉴욕증권거래소]] || || '''본사'''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뉴욕주]] || || '''주요 인물''' ||Alan Schwartz, 전 CEO James Cayne, 전 의장 & CEO || || '''종업원''' ||13,500명 || || '''모기업''' ||[[JP모건 체이스]] || == 개요 == [[미국]]의 전 투자자산운용은행. == 상세 == [[1923년]] 설립되었으며, [[월가]]에서 잘나가던 미국의 5대 [[투자은행]] 중 하나였다. 그러다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휘말려서 거의 망하기 직전까지 갔다가 [[파산]] 직전 [[JP모건 체이스]]에 헐값에 매각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홈페이지 주소였던 www.bear.com은 현재 [[JP모건 체이스]]의 홈페이지로 [[리디렉션]]된다. == 왜 망했는가?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 망한 [[은행]]이 대개 그렇듯 여기도 [[모기지저당증권|MBS]] 문제로 휘청이게 되었다. 베어 스턴스는 [[투자은행]]으로서 자본 운용 말고도 다른 [[금융기관]]들의 [[브로커]] 역할도 주력 사업으로 밀고 있었는데, 이는 업계에서의 [[신뢰]]와 명성이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요구되는 것이었다. 베어 스턴스가 운용 중이던 MBS [[펀드]]들에서 투자자들의 [[자본]]이 [[2008년]] 들어 술술 빠져나가자 베어 스턴스는 엄청난 [[유동성]]이 필요해졌다. 그런데 이 당시 베어 스턴스는 [[환매조건부채권|Repo]] 거래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베어 스턴스는 Repo를 [[롤오버]]해서 급한 불을 끄고자 하였으나, 당연히 Repo로 돈을 빌려준 투자자들에게는 씨알도 먹히지 않았고 오히려 Repo 가격을 더 후려치거나 높은 Haircut[* [[유가증권]]의 보유가치를 실제에 맞게 재조정하는 행위.]을 요구해왔다. 이에 베어 스턴스가 [[현금|실탄]]이 없다는 소문이 쫙 퍼지게 되고 여기에 [[뱅크런|돈을 넣은 투자자들이 다 같이 몰려들어 돈을 빼자]] 결국 구제 금융을 타먹는 신세가 되어버렸다. == 여담 == [[CNBC]]에서 '''Mad Money'''[* 2005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계속 같은 MC가 진행해오고 있는 장수 프로그램이다. Mad라는 제목에 걸맞게 자주 시끄럽게 소리를 지르는 것과 과장된 리액션을 보여주는게 특징.]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전직 [[헤지 펀드]] 매니저인 짐 크레이머가 베어 스턴스 위기설이 한창 돌던 때 이 회사의 [[주식]]에 대해 걱정하는 시청자를 향해 "베어 스턴스는 문제가 없다, 주식을 팔지 마라, 이건 바보 같은 짓이다."라고 강력히 주장한 적이 있었다. 그가 이 말을 했을 때 베어 스턴스의 주식은 60[[미국 달러|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었는데, 고작 6일이 지난 후 베어 스턴스는 구제금융을 신청했고 주가는 하루만에 90% 폭락, 4달러로 떨어졌다. 이것은 그를 비롯해 방송에 나오는 증권 전문가들을 비판하거나 조롱하는 데 자주 인용되고 있다. [[분류:미국의 은행]][[분류:1923년 기업]][[분류:2008년 해체]][[분류:미국의 없어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