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ffffff 베르베라}}}}}}''' '''{{{+1 {{{#white Berbera, بربرة}}}}}}''' || ||<-2> {{{#fff '''지역'''}}} ||<-2><:>[[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height=15]][[소말릴란드]] || ||<-2> {{{#fff '''시간대'''}}} ||<-2> UTC+3 || ||<-2> {{{#fff '''인구'''}}} ||<-2> 60,753명[* [[2005년]] 기준.] || ||||<#000000><:>{{{#white {{{+3 베르베라}}}}}}|| ||<-3><:> [include(틀:지도, 장소=베르베라)] || [목차] == 개요 == '''베르베라'''는 [[소말릴란드]]의 [[항구]]도시이다. 대외무역항이 자리 잡고 있어 국가적으로 중요한 [[도시]]에 속해 있다. == 지리 == 소말릴란드 북쪽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인도양]]과 접해 있고 지리적으론 [[예멘]]과 가까운 편이다. 아랍권과 가까워서 아랍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했다. == 역사 == 소말리아가 아랍과 교류가 많았기 때문에 베르베라도 아랍의 영향을 받아 대부분의 주민들이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그리고 아랍풍 건축물들이 많이 들어서기도 했다. 게다가 아랍 지역과 매우 가까워서 [[아랍인]]들이 많이 정착하기도 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소말릴란드가 [[영국]]의 지배를 받았고 20세기 중반이 되자 소말릴란드는 영국에서 독립했고 소말리아란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시아드 바레]] 정권이 90년대초에 무너지면서 [[소말리아 내전]]이 발생했고 베르베라도 발전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소말릴란드가 사실상 독립하면서 베르베라도 발전을 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소말릴란드 정부에서 해적들을 퇴치하기 시작하면서 소말리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해진 것도 있었다.] == 경제 == 소말릴란드가 안전해져서 베르베라도 [[항구]]도시로서 발전을 하고 있다. 이미 에티오피아가 소말릴란드 베르베라항에 출자했다.[[http://www.ksg.co.kr/news/main_newsView.jsp?bbsID=news&bbsCategory=KSG&categoryCode=all&backUrl=main_news&pNum=116880|#]] 하지만 소말릴란드가 [[미승인국]]이라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불안한 예멘을 견제하는 차원에서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가 투자를 해서 항구를 개발하고 있어 향후 이들의 군항 및 석유 수출 중계 항구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2021년 5월, DP World라는 두바이 소재 기업이 한화 약 5천억 원(4억 4천만 달러) 규모의 항구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지역 무역 중심지로 개발할 가능성이 매우 커진 상황이다.[[https://edition.cnn.com/2017/08/01/africa/somaliland-new-gateway-africa/index.html|#]] == 교통 == [[아프리카 익스프레스 항공]]의 베르베라 공항과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항로가 있다. [[두바이 국제공항]]에도 [[베르베라 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 [[여행금지|치안]] == 소말릴란드가 소말리아에 비해 안전하긴 하지만, 소말릴란드가 소말리아의 일부라 한국 정부에선 소말릴란드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다보니 베르베라로 가는 경우에는 여권법에 따라 처벌받게 된다. == 여담 == [[소말릴란드 실링]]에 베르베라 항구가 그려져 있다.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캠페인]]에서 베르베라 항구가 나오는 부두 방어 캠페인이 있다. [[분류:소말릴란드의 도시]][[분류:소말리아의 도시]][[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