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베니스 국제 영화제)] [목차] == 개요 == '''"Premio Osella"''' - Golden Osella 골든오셀라상은 [[베니스 국제 영화제]]의 경쟁 부문 상 중에서 '각본상'에 해당하는 상이다. 본래는 골든오셀라상 안에 촬영상, 감독상, 각본상, 음악상, 미술상 등이 모두 포함되었으나, 나머지 부문은 비정기적으로 수여되거나 더이상 수여를 하지 않게 되었고 [* 애시당초 각본상 수상이 제일 많다. 감독상은 딱 두 번만 나왔을 정도. 그 다음 많이 수여한게 칸의 벌칸상에 대응하는 기술공헌상 정도인데 이쪽도 수여하지 않은지 10년이 되어가는 중.], 각본상만이 꾸준히 수여되고 있어 골든오셀라상이 사실상 각본상이 되었다. 때문에 현재는 대부분 이 상을 수여받았다하면, 각본상(Best Screenplay)을 수여받았다고 언론에서 종종 표현한다. ''' 오셀라'''라는 이름은 [[베네치아 도제]]가 1521년부터 1797년까지 다양한 사람들에게 내렸던 메달의 이름에서 따왔다. 수상자에게는 금색 메달이 수여되었으나 2010년대를 기점으로 다른 베니스 영화제 트로피와 마찬가지로 사자 모양 트로피로 바뀌었다. == 각본상 == ||
{{{#e5d85c '''년도'''}}} || {{{#e5d85c '''수상작'''}}} || {{{#e5d85c '''원제'''}}} || {{{#e5d85c '''수상자'''}}} || {{{#e5d85c '''국가'''}}} || ||<-6> {{{#e5d85c 1980년대}}} || || 1987년 제44회 || 위험한 도박 || ''House of Games'' || 데이비드 마멧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1988년 제45회 ||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 ''Mujeres Al Borde De Un Ataque De Nervios'' || [[페드로 알모도바르]]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1989년 제46회 || 집에 가고 싶어 || ''Je Veux Rentrer A La Maison'' || 줄스 파이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6> {{{#e5d85c 1990년대}}} || || 1990년 제47회 || 시럽 || ''Sirup'' || 헬레 뤼스링에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 1991년 제48회 || 미시시피 마살라 || ''Mississippi Masala'' || 미라 나이르[br]수니 타라포레발라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6> 수상작 없음 || || 1994년 제51회 || 달과 꼭지 || ''La Teta Y La Luna'' || 비가스 루나[br]쿠카 카날스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1995년 제52회 || 데트는 소녀란 뜻이죠 || ''Det means Girl'' || 아볼파즐 잘릴리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 || || 1996년 제53회 || 짙은 선홍색 || ''Profundo Carmesi'' || 파즈 알리시아 가르시아디에고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1997년 제54회 || 드라이 클리닝 || ''Nettoyage à sec'' || 안느 퐁텐[br]질 토랑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1998년 제55회 || 가을 이야기 || ''Conte d'automne'' || [[에릭 로메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6> 수상작 없음 || ||<-6> {{{#e5d85c 2000년대}}} || || 2000년 제57회 || 백번의 걸음 || ''I cento passi'' || 클라우디오 파바[br]마르코 툴리오 조르다나[br]모니카 자펠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2001년 제58회 || [[이 투 마마]] || ''Y tu mamá también'' || [[알폰소 쿠아론]][br]카를로스쿠아론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6> 수상작 없음 || || 2003년 제60회 || 굿모닝, 나잇 || ''Buongiorno, notte'' || [[마르코 벨로키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6> 수상작 없음 || || 2005년 제62회 || [[굿나잇 앤 굿럭]] || ''Good Night, and Good Luck'' || [[조지 클루니]][br]그랜트 헤슬러브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2006년 제63회 || [[더 퀸]][* [[헬렌 미렌]]은 이 작품에서 [[엘리자베스 2세|엘리자베스 여왕]] 역으로 열연을 펼쳐 전세계의 여우주연상을 휩쓸었다.] || ''The Queen'' || 피터 모건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2007년 제64회 || 자유로운 세계 || ''It's a Free World...'' || 폴 래버티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2008년 제65회 || 테자 || ''Teza'' || 하일레 게리마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25]] [[에티오피아]] || || 2009년 제66회 || 라이프 듀링 워타임 || ''Life During Wartime'' || 토드 솔론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6> {{{#e5d85c 2010년대}}} || || 2010년 제67회 || 광대를 위한 슬픈 발라드 || ''Balada Triste De Trompeta'' || 알렉스 드 라 이글레시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2011년 제68회 || 알프스 || ''Alps'' || [[요르고스 란티모스]][br]에프티미스 필리포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5]] [[그리스]] || || 2012년 제69회 || 5월 이후 || ''Après mai'' || [[올리비에 아사야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13년 제70회 || 필로미나의 기적 || ''Philomena'' || [[스티브 쿠건]][br]제프 포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2014년 제71회 || 테헤란의 낮과 밤 || ''Tales'' || 락샨 바니 에테마드[br]파리드 모스타파비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 || || 2015년 제72회 || 사랑의 법정 || ''L'hermine'' || 크리스티앙 뱅상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16년 [[제7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3회]] || [[재키(영화)|재키]] || ''Jackie'' || 노아 오펜하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2017년 [[제7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4회]] || [[쓰리 빌보드]] || ''Three Billboards Outside Ebbing, Missouri'' || [[마틴 맥도나]]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2018년 [[제75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5회]] || [[카우보이의 노래]] || ''The Ballad of Buster Scruggs'' || [[코엔 형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2019년 [[제7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6회]] || 7번가 이야기 || 繼園臺七號[br]No.7 Cherry Lane || 욘판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홍콩]] || ||<-6> {{{#e5d85c 2020년대}}} || || 2020년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7회]] || 수업시대 || ''The Disciple'' || 차이타냐 탐하네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 2021년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8회]] || [[로스트 도터]] || ''The Lost Daughter'' || [[매기 질렌할]]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2022년 [[제7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9회]] || [[이니셰린의 밴시]] || ''The Banshees of Inisherin'' || [[마틴 맥도나]]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촬영상 == ||
{{{#e5d85c '''년도'''}}} || {{{#e5d85c '''수상작'''}}} || {{{#e5d85c '''원제'''}}} || {{{#e5d85c '''수상자'''}}} || {{{#e5d85c '''국가'''}}} || ||<-6> {{{#e5d85c 1980년대}}} || || 1988년 제45회 || 검은 옷의 수도사 || ''Чёрный монах'' || 바딤 유소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 || 1989년 제46회 || 오스트레일리아 || ''Australia'' || 요르고스 아르바니티스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5]] [[그리스]] || ||<-6> {{{#e5d85c 1990년대}}} || || 1994년 제51회 || [[동사서독]] || ''東邪西毒'' || [[크리스토퍼 도일]]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홍콩]] || || 1995년 제52회 || [[환상의 빛]] || ''幻の光'' || 나카보리 마사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6> 수상작 없음 || || 1997년 제54회 || 뼈 || ''Ossos'' || 엠마누엘 마쉬엘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2> 1998년 제55회 || 슈팅 더 문 || L'albero delle pere ||<|2> 루카 비가지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우리가 웃는 법 || Così ridevano || == 감독상 == ||
{{{#e5d85c '''년도'''}}} || {{{#e5d85c '''수상작'''}}} || {{{#e5d85c '''원제'''}}} || {{{#e5d85c '''수상자'''}}} || {{{#e5d85c '''국가'''}}} || ||<-6> {{{#e5d85c 1990년대}}} || || 1994년 제51회 || 라메리카 || ''Lamerica'' || 지안니 아멜리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1995년 제52회 || 햄릿 만들기 || ''In the Bleak Midwinter'' || [[케네스 브래너]]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음악상 == ||
{{{#e5d85c '''년도'''}}} || {{{#e5d85c '''수상작'''}}} || {{{#e5d85c '''원제'''}}} || {{{#e5d85c '''수상자'''}}} || {{{#e5d85c '''국가'''}}} || ||<-6> {{{#e5d85c 1990년대}}} || || 1996년 제53회 || 짙은 선홍색 || ''Profundo Carmesí'' || 데이비드 맨스필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1997년 제54회 || 차이니즈 박스 || ''Chinese Box'' || 그레임 러벨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1998년 제55회 || 구름 || La nube || 헤라르도 간디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 == 미술상 == ||
{{{#e5d85c '''년도'''}}} || {{{#e5d85c '''수상작'''}}} || {{{#e5d85c '''원제'''}}} || {{{#e5d85c '''수상자'''}}} || {{{#e5d85c '''국가'''}}} || ||<-6> {{{#e5d85c 1990년대}}} || || 1996년 제53회 || 짙은 선홍색 || ''Profundo Carmesí'' || 모니카 치리노스[br]마리사 페카닌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기술 공헌상 == ||
{{{#e5d85c '''년도'''}}} || {{{#e5d85c '''수상작'''}}} || {{{#e5d85c '''원제'''}}} || {{{#e5d85c '''공헌분야'''}}} || {{{#e5d85c '''수상자'''}}} || {{{#e5d85c '''국가'''}}} || ||<-6> {{{#e5d85c 2000년대}}} || || 2002년 제59회 || [[파 프롬 헤븐]] || ''Far from Heaven'' || 촬영 || 에드워드 러치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2004년 제61회 || [[하울의 움직이는 성(애니메이션)|하울의 움직이는 성]] || ''ハウルの動く城'' || 제작사 || [[스튜디오 지브리]]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2005년 제62회 || 평범한 연인들 || ''Les Amants réguliers'' || 촬영 || 윌리엄 루브챈스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06년 제63회 || [[칠드런 오브 맨]] || ''Children of Men'' || 촬영 || [[엠마누엘 루베즈키]]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2007년 제64회 || [[색, 계]] || ''色,戒'' || 촬영 || [[로드리고 프리에토]]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2008년 제65회 || 종이 병사 || ''Бумажный солдат'' || 촬영 || 막심 드로즈도브[br]알리세르 하미드호드사에브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2009년 제66회 || [[미스터 노바디]] || ''Mr. Nobody'' || 미술 || 실비 올리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6> {{{#e5d85c 2010년대}}} || || 2010년 제67회 || 조용한 영혼들 || ''Овсянки'' || 촬영 || 미카일 크리취만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2011년 제68회 || 폭풍의 언덕 || ''Wuthering Heights'' || 촬영 || 로비 라이언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아일랜드]] || || 2012년 제69회 || 아들이었다 || ''È stato il figlio'' || 촬영 || 다니엘 치프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기타 == [[분류:베니스 국제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