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2><:> '''베네통 포뮬러 1 레이싱 팀'''[br]'''Benetton Formula 1 Racing Team''' || ||<-2> [[파일:40E04603-6984-4C21-B3DA-EA7BB0CD82F7.jpg|width=50%]] || ||<:> '''{{{#000000 본사}}}''' || 베네통 || ||<:> '''{{{#000000 국적}}}'''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1986~1995),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1996~2001) || ||<:> '''{{{#000000 본부}}}''' || 영국 위트니(1986~1991), 엔스톤(1992~2001) || ||<:> '''{{{#000000 팀 수장}}}''' || 플라비오 브리아토레 || || '''{{{#000 역사}}}''' || 톨만 모터스포트 (1981-1985) [br] '''베네통 포뮬러''' (1986-2001) [br] 르노 F1 팀 (2002-2010) [br] [[로터스(자동차)|로터스]]-르노 GP (2011) [br] [[로터스 F1 팀]] (2012-2015) [br] [[르노 F1 팀]] (2016-2020) [br] [[알핀 F1 팀]] (2021~) || ||<-2><:> '''{{{#000000 우승 기록}}}''' || ||<:> '''{{{#000000 드라이버 챔피언}}}'''[BR]'''{{{#000000 (V2)}}}''' || [[미하엘 슈마허|1994, 1995]] || ||<:> '''{{{#000000 컨스트럭터 챔피언}}}'''[BR]'''{{{#000000 (V1)}}}''' || 1995 || [목차] == 개요 == [[포뮬러 1/1985시즌|1985 시즌]]을 끝으로 톨만 모터스포트가 패션 기업인 [[베네통]]에 인수되어 [[포뮬러 1/1986시즌|1986 시즌]]부터 [[포뮬러 1/2001시즌|2001 시즌]]까지 [[포뮬러 1]]에 참가한 레이싱 팀. == 역사 == ||[[파일:32DAA072-07F3-4021-B7E8-B809D48BC002.jpg|width=100%]]||[[파일:racefansdotnet-20171012-075110-1.jpg|width=100%]]|| || 1997 시즌, [[대한항공]] 로고가 붙어있는 베네통 B197. 드라이버는 올리버 개빈. || 1995 시즌, 베네통 B195. 드라이버는 미하엘 슈마허 || 한때 [[포뮬러 1]] 팀을 운영하기도 했다. 80년대 초반부터 티렐, 알파 로메오 팀을 후원해주며 이들 팀 경주차에 광고를 부착하다가 1985년 영국의 톨만 F1 팀[* 아일톤 세나가 F1에 데뷔하던 1984년에 소속되었던 팀이 톨만이다.]을 후원해주던 도중 경영난을 겪던 톨만을 인수하게 되면서 베네통 F1 팀을 창단하고 BMW 엔진을 올리고 1986년 브라질 GP에 데뷔하였다. 먼치킨 [[미하엘 슈마허]]의 초창기 소속팀으로 유명하다. 1991년 조던 팀 소속으로 F1에 데뷔한 슈마허는 이듬해인 1992년부터 이 팀 소속으로 활동하기 시작해 1994년, 1995년 드라이버 챔피언을 연속으로 따냈고, 이 때가 팀의 [[리즈 시절]]이었다. [[르노]]로부터 엔진을 공급받기 시작한 1995년에는 컨스트럭터 챔피언도 따냈다.[* 이해의 성적이 대단한 게, 당시 르노는 1989년부터 엔진을 공급하던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와의 관계로 인해 1995년형 엔진을 베네통에 공급하지 못하고 구형이 된 1994년형 엔진을 공급했다. 그럼에도 1995년 컨스트럭터 포인트십에서 거의 더블스코어에 가까운 성적(베네통 102점 vs 윌리엄스 59점)으로 챔피언에 올랐다.] 그러나 95 시즌 후 슈마허가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로 떠난 뒤로는 성적이 떨어지고, 그저 그런 중위권 팀으로 팀을 유지하다가, 2001 시즌 일본 GP를 끝으로 [[르노 F1 팀|르노]]에 인수되었다. 마지막 시즌의 메인 드라이버는 공교롭게도 윌리엄스에서 데뷔한 후 불과 한 시즌만인 2001년에 이적해온 [[젠슨 버튼]]. 버튼은 르노로 인수된 2002년 시즌에도 르노 팀에서 활동했다가 시즌을 마치고 BAR로 이적한다. == 논란/사건 == 1994시즌 [[영국 그랑프리]]에서 슈마허가 황당한 블랙 플래그를 받았었다. 당시 스튜어드는 본선 14랩에서 슈마허가 첫 번째 포메이션 랩에서 [[데이먼 힐|힐]]을 추월한 것에 대해 5초 스탑&고 페널티를 부과했으나 21랩까지 팀에서 지시를 내리지 않아 페널티를 수행하지 않았고, 그 결과 블랙 플래그가 두 번 표시되어 피트 인 해야 했다. 나중에 슈마허는 이때 블랙 플래그를 인정하지 않았고 깃발을 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베네통은 스튜어드진에게 5초 스탑&고 페널티에 대해 오해가 있었다고 말했고, 팀과 이 문제를 논의한 끝에 스튜어드들이 블랙 플래그를 철회했으며 슈마허는 27랩이 끝날 시점 때 마침내 스탑&고 페널티를 수행하러 피트로 들어와서 수행했으나, 경기가 끝나고 스튜어드들은 2만 5천 달러 벌금을 부과했고 팀과 슈마허는 5초 스탑&고 페널티와 그에 따른 블랙 플래그를 무시한 것에 대해 처분을 받았다. 또한 이 당시 1994 시즌에 베네통이 [[런치 컨트롤]]과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을 원격으로 조작해 치팅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이는 [[보조장치 치팅 게이트]]로 이어져 차량 검사 결과 불법 보조 장치가 발견되어, 94년 7월 26일 이탈리아 GP 이전에 FIA 월드 모터스포츠 평의회(WMSC)는 벌금 50만 달러를 부과했고 슈마허에게 12, 13라운드 2경기 출전 금지 처분을 내렸다. WMSC는 이어 슈마허의 영국 GP 2위 자격을 박탈했으며 이는 8월 30일 항소심에서 확정되었다. == 베네통 차량들의 역사 == == 베네통의 출전 드라이버 및 기록 == == 모형화 == [[아카데미 과학]]에서 1995시즌에 사용한 B195모델을 1996~1997년경에 발매했었다. 1995시즌 드라이버였던 [[미하엘 슈마허]](1)와 [[조니 허버트]](2) 탑승 차량 중 택일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베네통, version=57, paragraph=1.1)] [[분류:베네통]][[분류:포뮬러 1 컨스트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