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지도,장소=법기저수지,너비=500px,높이=281px)]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양산)|동면]] [[법기로]] 198-13 (법기리)에 위치한 [[저수지]]이다. == 상세 == 법기[[계곡]]에서 발원한 법기천을 지나는 저수지로, 저수능력은 150만톤이다.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 동북부([[동래구]], [[금정구]], [[해운대구]], [[연제구]]) 지역의 상수도원[* 서부산 지역의 경우 [[김해시]] [[상동면(김해)|상동면]] 매리에 위치한 매리취수장에서 식수원을 끌어다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낙동강]]을 횡단하는 [[낙동강횡단수관교]]가 [[강서구(부산)|강서구]]와 [[사상구]]를 연결하고 있다.]을 공급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수원지라서 그만큼 관리도 철저하고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주변 지역은 모두 [[개발제한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한 불편이 적지 않아서 최근 들어서는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관광 == 다른 흔한 [[저수지]]들과는 달리 [[일제강점기]] 1932년에 조성된 큰 [[편백나무]]들이 많아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국가보안시설로 상수원보호를 이유로 79년간 사람들의 접근을 차단하다 2011년 일부 개방했기 때문에 개발에 오염되지 않은 호수와 숲으로 이루어진 청정환경을 보존하고 있다. 산책로도 있어 지역민들에게 [[공원]], 나들이 장소로 유명하며,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도 인기가 있다. 살펴보면 [[벼락]] 맞은 나무 같은 것도 있고, 일제강점기 당시 [[사이토 마코토]] 조선총독의 글씨[* '源淨潤群生(원전윤군생)', 깨끗한 물은 많은 생명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이다.]등 역사의 흔적도 남아있다. 다만 [[환경오염]]에 매우 민감해서 그런지 '''수원지 내에서는 음식물을 가지고 입장할 수 없으며 취식행위 또한 전면 금지된다.[* [[과자]]나 [[빵]]이나 [[아이스크림]] 등의 식품이나 [[음료수]]도 당연히 반입 금지며 [[껌]], [[사탕]], [[초콜릿]] 등의 [[기호식품]]은 쓰레기만 남기지 않는다면 몰래 먹으면 그만이지만 원칙적으론 오로지 [[생수]]만 가지고 들어갈 수 있다.]''' 만약 몰래 음식물을 반입하다 걸리면 10만원 상당의 큰 [[과태료]]를 물게 된다.[* 수원지 곳곳에 [[CCTV]]가 설치되어있어 취식행위를 단속하고 있다.] 때문에 수시로 취식행위 금지에 관한 [[안내방송]]을 송출하며 법기수원지 내에서는 [[쓰레기통]]이 단 하나도 없다.[* 오직 [[공중화장실]] 내에만 있을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공중화장실에서 몰래 취식할 수도 없다. 수시로 단속을 하러 공중화장실 내부로 들어오기 때문에 몰래 취식하다 걸리면 [[과태료]] 행이다.~~무엇보다 그렇게까지 먹고 싶냐?~~] 그도 그럴 것이 경상남도 남부 지역(김해, 양산, 밀양)과 부산광역시 동북부 지역의 식수원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수원지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오염]] 되는 순간 동남권 수도 공급 체계가 완전히 마비된다. 수원지 울타리 바깥쪽에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몇몇 식당들이 존재한다. == 교통 == [[양산신도시]]와 [[물금읍]]에서는 [[60번 지방도]]인 [[동서로(양산)|동서로]]를 이용하여 [[법기터널]]을 지나 바로 도착할 수 있으며 [[웅상]]에서는 월평교차로에서 동서로를 이용하여 갈 수 있다. 대중교통으로 오가기는 불편한 곳이다. [[양산 버스 동면1]]이 1시간에 1대, [[양산 버스 동면1-1]]이 하루에 10회 운행한다. 수원지 아래쪽으로 [[60번 지방도]]인 [[동서로(양산)|동서로]]와 함께 [[법기터널]]이 통과한다. 이 지방도는 [[양산신도시]]와 [[웅상]]을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교통로인데 법기터널을 뚫을 당시 [[환경오염]] 문제로 인하여 [[시민단체]]에서 큰 반대가 있었다. 때문에 수원지를 최대한 피해서 우회하는 선형으로 지어졌으며 지도를 보면 월평교차로에서 개곡마을까지는 거의 [[웅상대로]]와 나란히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해발고도와 구배 문제로 인하여 나란히 마주한 두 도로를 실제로 볼 수는 없다.] [[분류:양산시]][[분류:대한민국의 호수]][[분류:경상남도의 저수지]][[분류:1932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