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천주교 주교좌 성당)] ||<-2> {{{#fff [[천주교 대구대교구|{{{#fff '''천주교 대구대교구'''}}}]][br]{{{+1 '''주교좌 범어대성당'''}}}[br]{{{-2 主敎座泛漁大聖堂}}}}}} || ||<-2> [[파일:범어대성당.png]] || ||<-2> '''{{{#fff 기본 정보}}}''' || || '''위치'''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천로 90 {{{-2 ([[범어동(대구)|범어동]])}}} || || '''종교''' ||[[가톨릭]] || || '''교구''' ||대구관구 [[천주교 대구대교구|대구대교구]] || || '''지위''' ||공동주교좌성당{{{-2 (Cathedral)}}}[* 나머지 하나는 공동주교좌 [[계산성당]]이다.] || || '''주임사제''' ||최환욱 베다 || || '''보좌사제'''[br]{{{-2 제1}}} ||이무창 사도요한 || || '''보좌사제'''[br]{{{-2 제2}}} ||김수환 제준이냐시오 || || '''홈페이지''' ||[[http://www.besd.kr/|공식 홈페이지]] || ||<-2> '''{{{#fff 건축 역사}}}''' || || '''본당 설립''' ||[[1951년]] [[3월 10일]] || || '''착공''' ||[[2013년]] [[3월 31일]] || || '''완공''' ||[[2016년]] [[5월 22일]] || ||<-2> '''{{{#fff 건축 정보}}}''' || || '''양식''' ||네오 [[로마네스크]] || || '''전체 면적''' ||21,242 ㎡|| || '''연면적''' ||24,841 ㎡|| || '''규모''' ||지하2층, 지상4층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교좌범어대성당 외관.png|width=100%]]}}}|| || {{{#fff '''성당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교좌범어대성당 내부01.png|width=50%]][[파일:주교좌범어대성당 내부02.png|width=50%]]}}}|| ||<-2> {{{#162637 '''내부 전경'''}}}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천로 90([[범어동(대구)|범어동]])에 있는 [[가톨릭]] [[성당]]. '''[[계산성당]]과 함께 [[대구대교구]]의 양대 주교좌성당'''이다. 정식 명칭은 [[천주교 대구대교구]] 100주년 기념 주교좌 범어대성당. 기존 본당은 [[1951년]] 설립되었으며, 대성당을 증축하여 [[2016년]] [[5월 22일]] 완공하였다. 설계는 현대건축사사무소, 시공은 포스코건설이 맡았다. 건축비는 인테리어 및 조경 비용을 제외하고 432억 원이 들었다.[* 이 성당을 건립하는 과정에서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알려져 있는 야구인 [[선동열]]이 건축헌금 1억 원을 [[천주교 대구대교구]]에 봉헌한 바 있다. [[광주광역시]] 출신이고 건축헌금 봉헌 당시 [[KIA 타이거즈]] 감독임에도 범어 대성당에 헌금을 낸 것은 [[삼성 라이온즈]] 감독 시절 대구 지역의 신부들과 많이 교류하면서 도움을 받았기에, 이에 대한 보답 차원에서 헌금을 했다고 한다.] 성당 건너편에 [[범어동(대구)|범어1동]] 행정복지센터가 있다. == 역사 및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maeil.com/20130401_110935000.jpg|width=100%]]}}}|| [[대구대교구]]는 2011년 [[교구]] 설정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3가지 사업으로 제2차 교구 시노드, 교구 100년사 편찬, 교구 100주년 기념성당 건립을 추진했다. 대구대교구가 교구 100주년을 기념해 새 성당을 짓게 된 것은 실질적 이유 때문이었다. 기존 주교좌 [[계산성당]]은 600석 규모이므로 [[부제(성직자)|부제]]·[[사제(성직자)|사제]]·[[주교]] 서품식, [[성유 축성 미사]] 등과 같은 교구 차원의 [[전례]]를 치를 수 없었다. 그래서 교구 설정 100주년 기념으로 대성당 건립을 계획했다. 논의 단계에선 사제단 내에서도 '새 집이 꼭 필요한가?' 하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지난 100년을 하느님께 감사드리며, 500명에 육박하는 교구 사제단과 신자들이 한자리에 모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건설을 결정했다. 교구 사제들을 포함해 교구 내 모든 성당과 신자들이 모금에 나섰다. 교구장 [[조환길]] 타대오 대주교가 당부한 것은 단 한 가지, '품위는 갖추되 절대 화려하거나 위화감 느끼게 짓지 말자.'는 것이었다. ~~검이불루 화이불치~~ 대신 시대 변화에 맞게 지역민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자고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10w9UJZXl0)]}}}|| [[2012년]]에 제2차 교구 시노드와 100년사 편찬사업을 마무리하고 마지막 사업인 교구 100주년 기념 주교좌 범어대성당 봉헌식을 2016년 5월 22일(일) 오후 3시 범어대성당에서 거행했다. 2013년 기공식 후 3년 만에 완공된 범어 대성당은 2만 7769 ㎡(8400평) 부지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1층에는 프란치스코 성당(500석) , 사무실, 회의실, 드망즈[* [[대구대교구]] 초대 교구장 [[프랑스인]] 플로리아노 드망즈 [[주교]]의 이름에서 따온 것. 드망즈 주교는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에서 파견되었고, 한국 이름은 '안세화'이다.] 갤러리, 카나홀, 폐백실, 주차장이 있다. 2층에는 대성당(2500석)과 [[제의]]실, 드망즈홀, 100주년 기념관, 회합실이 있으며 3층에는 회중석과 회합실, 4층에는 회중석, 음향 조정실, 회합실이 있다. 이 시설들은 신자뿐 아니라 지역 문화단체 등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문화 예술 공간으로서 함께 기능하는 것.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e5WTcsGIWw)]}}}|| || {{{#162637 '''파이프오르간 축복식 영상'''}}}[* [[2017년]] [[11월 17일]]에 설치를 완료하였다.] || 또한 국내에서 2번째로 큰 [[파이프오르간]]도 있다.[* [[오스트리아]] 리거(Rieger)사에서 제작. 참고로 국내에서 가장 큰 [[파이프오르간]]은 [[서울특별시|서울]] [[세종문화회관]]에 있는 파이프 오르간이다. 참고로 구상, 제작, 설치, 정음작업까지 거치는데 4년 5개월이 걸렸다고 한다. 그리고 [[프랑스]] [[노트르담 대성당]] 수석 오르가니스트인 올리비에 라트리의 기술자문도 받고 감사의 표시로 범어 대성당 명예 오르가니스트로 임명하였다.] 제대 양옆, 그리고 뒤쪽 출입문 양옆에 파이프 약 6200개를 설치했다. 또한 오르간은 손건반 4개, 발건반 1개, 떠는 스탑을 포함해 총 62가지 소리를 내는 스탑이 있다. 성당 길이는 총 100 m로 교구 100주년의 의미를 담았다. 건물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현대적 동선을 더했다. 대성당 앞엔 길이 100 m에 이르는 큰 광장도 만들었다. 신자와 주민들, 성(聖)과 속(俗)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곳이다. 성당 내·외부를 감싼 [[스테인드 글라스]]도 좋은 볼거리다. 조광호 신부가 제작한 [[스테인드 글라스]]는 모두 220여 점, 면적으로만 치면 900 ㎡에 이른다. 성당 현관문부터 제구실(祭具室)까지 크고 작은 스테인드글라스를 설치했다. 조 신부는 제대와 [[십자고상]]까지 범어대성당의 상징물 디자인을 맡아 통일된 이미지를 연출했다. 이 밖에도 김옥수 신부가 성경 내용을 그린 타일벽화 180여 점, [[이중섭]]미술상 수상 작가 권순철이 기증한 500호짜리 대작 '[[예수]]' 등도 설치했다. 건물의 벽돌은 황토벽돌로,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재료일 뿐만 아니라 황토빛 색감으로 건물의 분위기가 포근해지는 장점이 있다. == 역대 본당 [[신부(종교)|신부]] == === 역대 주임신부 === ||<:> '''{{{#fff 순서}}}''' ||<:> '''{{{#fff 이름 및 세례명}}}''' ||<:> '''{{{#fff 재임기간}}}''' ||<:> '''{{{#fff 현소임}}}''' || ||초대||권영조(마르코)||1951.09~1959.06||사망|| ||2대||노경삼(다니엘)||1959.07~1965.05||사망|| ||3대||황만용(마리오)[* 꼰벤뚜알프란치스코수도회 소속]||1965.09~1968.03||통진성김대건안드레아수도원 거주|| ||4대||허철(안드레아)||1968.03~1969.01||[[환속]]|| ||5대||지세암(로코)||1969.01~1974.11||귀국|| ||6대||안현철(안토니오)[* 꼰벤뚜알프란치스코수도회 소속]||1974.12~1982.02||부산일광예수마리아성심수도원 거주|| ||7대||장자호(요한가롤로)[* 꼰벤뚜알프란치스코수도회 소속]||1982.02~1985.01||[[천주교 서울대교구|서울대교구]] 국제성당 주임|| ||8대||김옥수(도미니코)[* [[천주교 부산교구|부산교구]] 소속]||1985.01~1988.11||[[은퇴|원로사목자]]|| ||9대||원유동(바오로)||1988.11~1990.11||[[환속]]|| ||10대||김임기(안토니오)[* 꼰벤뚜알프란치스코수도회 소속]||1990.11~1996.01||서울성프란치스코수도원 거주|| ||11대||강택규(예로니모)||1996.01~2001.02||[[은퇴|원로사목자]]|| ||12대||원유술(야고보)||2001.02~2006.02||삼덕성당 주임|| ||13대||신영규(베드로)||2006.02~2008.09||한국SOS어린이마을 본부장|| ||14대||최경환(프란치스코하비에르)||2008.09~2011.08||도원성당 주임|| ||15대||장병배(베드로)||2011.09~2018.01||1대리구 교구장 대리|| ||16대||최창덕(프란치스코하비에르)||2018.01~2023.01||[[은퇴|원로사목자]]|| ||17대||최환욱(베다)||2023.01~ || || === 역대 제1보좌신부 === ||<:> '''{{{#fff 순서}}}''' ||<:> '''{{{#fff 이름 및 세례명}}}''' ||<:> '''{{{#fff 재임기간}}}''' ||<:> '''{{{#fff 현소임}}}''' || ||초대||황성재(프란치스코)||2010.08~2012.08||성토마스성당 주임|| ||2대||여한준(롯젤로)||2012.08~2014.02||성서사도직 담당|| ||3대||김상호(야고보)||2014.02~2016.01||대잠성당 주임|| ||4대||이성인(바오로)||2016.01~2018.01||해외연수|| ||5대||이지훈(안드레아)||2018.01~2019.01||[[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6대||황인욱(마티아)||2019.01~2020.01||1대리구 사무처 차장|| ||7대||구승모(바오로)||2020.01~2022.01||성골롬반외방선교회 파견|| ||8대||이무창(사도요한)||2022.01~ || || == 교통 == [[대구광역시]]를 가로지르는 큰 도로인 [[달구벌대로]]와 [[동대구로]]가 만나는 교차로이자 대구의 [[부도심]] 중 하나인 [[범어네거리]] 옆에 있어서 교통은 상당히 편리하다. 동대구로를 타고 북쪽으로 가면 [[동대구역]]과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가 있고, 2028년 해당 경로를 따라서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이 개통할 예정이다.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범어쌍용예가(02680·05330)'''}}}}}}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순환|{{{#fff 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59;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fff 순환2(-1)}}}]]}}}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234|{{{#fff 23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323, 323-1|{{{#fff 323(-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413|{{{#fff 4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509|{{{#fff 509}}}]]}}}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대구 버스 동구1, 동구1-1|{{{#fff 동구1(-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범어역(00670·02065)'''}}}}}} || ||<-2>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309|{{{#fff 30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09|{{{#fff 60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49|{{{#fff 64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840|{{{#fff 84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939|{{{#fff 939}}}]]}}}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수성4|{{{#fff 수성4}}}]]}}} || ||<-2> '''경산시 시내버스 ''' || || {{{#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경산 버스 990|{{{#fff 99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경산 버스 991|{{{#fff 99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그랜드호텔(02015·02016)'''}}}}}} || ||<-2>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급행|{{{#fff 급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95em" [[대구 버스 급행3|{{{#fff 급행3}}}]]}}}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순환|{{{#fff 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59;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fff 순환2(-1)}}}]]}}}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323, 323-1|{{{#fff 323(-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413|{{{#fff 4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509|{{{#fff 50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724|{{{#fff 724(시지지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814|{{{#fff 814}}}]]}}}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대구 버스 동구1, 동구1-1|{{{#fff 동구1(-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수성1, 수성1-1|{{{#fff 수성1(-1)}}}]]}}} || ||<-2> '''경산시 시내버스 ''' || || {{{#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경산 버스 100|{{{#fff 1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경산 버스 100-1|{{{#fff 100-1}}}]]}}} ||}}} === 도시철도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범어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 * ~~[[파일:Daegu4.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4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 [[범어역]]~~ - 2028년 개통 예정 [[분류:한국 천주교 성당]][[분류:천주교 대구대교구]][[분류:주교좌성당]][[분류:수성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