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범대륙 컬링 선수권 대회'''[br]'''Pan Continental Curling Championship'''[* 약칭은 PCCC]}}} || ||<-2> 창설 || [[2022년]] || ||<-2> 2023년 개최지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켈로나(캐나다)|켈로나]][br](켈로나 컬링 클럽) || ||<|2> 2023년 우승국 || 남자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 여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2> 2024년 개최 예정지 ||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존의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와 아메리카 챌린지 두 대회를 통합해[* 참고로 세계컬링연맹에서는 가입국을 '유럽', '아메리카', '태평양-아시아' 등 3개 지역으로 분류한다. 아프리카의 경우 연맹 가입국도 적은데다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상황인지라 태평양-아시아 지역으로 분류된다.] 매년 11월에 열리는 [[컬링]] 대회로 상위 5개국은 이듬해 열리는 [[세계컬링선수권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는다. 원래 태평양-아시아 지역에서는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가,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아메리카 챌린지로 각각 세계선수권 출전권이 주어졌다. 그런데 PACC의 경우 2010년 이후 [[한중일]] 3파전 양상이 됐음에도 3국 함께 세계선수권에 출전한 적이 손에 꼽을 정도로 세계선수권 출전권이 한정돼 있었다.[* 여자부의 경우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PACC에서 우승해야만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시기도 있었다.] 아메리카 챌린지의 경우에는 참가국이 적고[* 여자부의 경우에는 참가팀이 없어서 8번의 대회 중에서 2번 밖에 안 열렸다.], 캐나다나 미국과 다른 국가와의 실력 차이 때문에 압도적인 결과만 나와 아메리카 챌린지는 캐나다나 미국의 세계선수권 출전을 위한 명목상의 대회로 전락한지 오래였다. 두 대회의 통합으로 태평양-아시아 지역에서는 PACC 때보다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획득하기 수월해졌고,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상위권팀들이 국제대회 경험을 제대로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늘었다.[* 특히 현대 컬링을 사실상 주도하고 있는 캐나다에서는 평창 올림픽 때부터 올림픽 성적이 저조하면서 자국 내에서 그에 대해 자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늘었는데, 그 중에서 캐나다 선수들이 월드 컬링 투어에서의 8엔드 경기에 익숙해져 있다보니 국제대회의 10엔드 경기에는 취약해진 게 아니냐는 반응도 있었다. 올림픽을 제외하면 세계선수권만이 캐나다 선수들이 10엔드 경기를 할 수 있는 대회였기 때문이다.] 세계컬링연맹에 가입한 지 얼마 안 된 컬링 신흥국들은 캐나다 같은 선진 컬링 국가의 인프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경험이 늘어나게 된다.[* A, B 디비전 팀들이 동시에 경기를 치러야 하기에 기존 PACC 때보다 시트가 더 많은 경기장에서 경기를 해야 하는데, 그 정도로 컬링 인프라가 갖춰진 국가는 얼마 되지 않는다.] 한편 참가국이 늘어남에 따라 승강전이 생겨 A 디비전 최하위팀은 다음 대회에서 B 디비전으로 강등된다. == 역대 결과 == === 남자 === || {{{#ffffff 연도}}} || {{{#ffffff 장소}}} || 금 || 은 || 동 || || 2022 || [[캐나다]] [[캘거리]]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br]{{{-2 '''[스킵]''' [[브래드 구슈]][br]'''[서드]''' 마크 니콜스[br]'''[세컨드]''' E.J. 한든[br]'''[리드]''' 제프 워커[br]'''[핍스]''' 네이선 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서울시청 컬링팀]]][br]{{{-2 '''[스킵]''' [[정병진]][br]'''[서드]''' [[이정재(컬링)|이정재]][br]'''[세컨드]''' [[김민우(컬링)|김민우]][br]'''[리드]''' [[김태환(컬링)|김태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br]{{{-2 '''[스킵]''' 코리 드롭킨[br]'''[서드]''' 앤드류 스토페라[br]'''[세컨드]''' 마크 페너[br]'''[리드]''' 톰 하월[br]'''[핍스]''' 리치 루호넨}}} || || [[2023 범대륙컬링선수권대회|2023]] || [[캐나다]] [[켈로나(캐나다)|켈로나]]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br]{{{-2 '''[스킵]''' [[브래드 구슈]][br]'''[서드]''' 마크 니콜스[br]'''[세컨드]''' E.J. 한든[br]'''[리드]''' 제프 워커[br]'''[핍스]''' 짐 코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강원도청 컬링팀]]][br]{{{-2 '''[스킵]''' [[박종덕(컬링)|박종덕]][br]'''[서드]''' [[정영석(컬링)|정영석]][br]'''[세컨드]''' [[오승훈(컬링)|오승훈]][br]'''[리드]''' [[성지훈(컬링)|성지훈]][br]'''[핍스]''' [[이기복]]}}}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SC카루이자와클럽]]][br]{{{-2 '''[스킵]''' 야나기사와 리쿠[br]'''[서드]''' 야마구치 츠요시[br]'''[세컨드]''' 야마모토 타케루[br]'''[리드]''' 코이즈미 사토시[br]'''[핍스]''' 우스이 신고}}} || === 여자 === || {{{#ffffff 연도}}} || {{{#ffffff 장소}}} || 금 || 은 || 동 || || 2022 || [[캐나다]] [[캘거리]]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로코 솔라레]]][br]{{{-2 '''[스킵]''' [[후지사와 사츠키]][br]'''[서드]''' [[요시다 치나미]][br]'''[세컨드]''' [[스즈키 유미]][br]'''[리드]''' [[요시다 유리카]][br]'''[핍스]''' [[이시자키 코토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춘천시청 컬링팀]]][br]{{{-2 '''[스킵]''' [[하승연]][br]'''[서드]''' [[김혜린(컬링)|김혜린]][br]'''[세컨드]''' [[양태이]][br]'''[리드]''' [[김수진(컬링)|김수진]]}}}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br]{{{-2 '''[스킵]''' [[케리 에이너슨]][br]'''[서드]''' 발 스위팅[br]'''[세컨드]''' 섀넌 버차드[br]'''[리드]''' 브리안 해리스[br]'''[핍스]''' 레이첼 브라운}}} || || [[2023 범대륙컬링선수권대회|2023]] || [[캐나다]] [[켈로나(캐나다)|켈로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경기도청 컬링팀]]][br]{{{-2 '''[스킵]''' [[김은지(컬링)|김은지]][br]'''[서드]''' [[김민지(컬링)|김민지]][br]'''[세컨드]''' [[김수지(컬링)|김수지]][br]'''[리드]''' [[설예은]][br]'''[핍스]''' [[설예지]]}}}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로코 솔라레]]][br]{{{-2 '''[스킵]''' [[후지사와 사츠키]][br]'''[서드]''' [[요시다 치나미]][br]'''[세컨드]''' [[스즈키 유미]][br]'''[리드]''' [[요시다 유리카]][br]'''[핍스]''' [[이시자키 코토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br]{{{-2 '''[스킵]''' [[태비사 피터슨]][br]'''[서드]''' 코리 티시[br]'''[세컨드]''' 타라 피터슨[br]'''[리드]''' 베카 해밀턴[br]'''[핍스]''' 비키 퍼싱어}}} || == 역대 메달 집계 == === 남자 === || {{{#ffffff 국가}}} || 금 || 은 || 동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2[br]{{{-3 2022, 2023}}} || 0 || 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0 || 2[br]{{{-3 2022, 2023}}} || 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0 || 0 || 1[br]{{{-3 2022}}}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0 || 0 || 1[br]{{{-3 2023}}} || === 여자 === || {{{#ffffff 국가}}} || 금 || 은 || 동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1[br]{{{-3 2022}}} || 1[br]{{{-3 2023}}} || 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1[br]{{{-3 2023}}} || 1[br]{{{-3 2022}}} || 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0 || 0 || 1[br]{{{-3 2022}}}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0 || 0 || 1[br]{{{-3 2023}}} || == 역대 참가국 == || 금 || 은 || 동 || 세계선수권 출전 || B디비전 강등 || A디비전 승격 || === 남자 === * 2020년대 || {{{#ffffff 국가}}} || {{{#ffffff 2022}}} || {{{#ffffff 2023}}} || {{{#ffffff 2024}}} || {{{#ffffff 2025}}} || {{{#ffffff 2026}}} || {{{#ffffff 2027}}} || {{{#ffffff 2028}}} || {{{#ffffff 2029}}} || ||[[파일:가이아나 국기.svg|width=20]] 가이아나 || 9 || 8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0]] 나이지리아 || 16 ||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 || 5 || 5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0]] 대만 || 6 || 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2 || 2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0]] 멕시코 || - || 12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3 || 4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 || 8 || 15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0]] 사우디아라비아 || 14 || 14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 || 10 || 13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4 || 3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 - || 9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 카자흐스탄 || 12 ||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0]] 카타르 || 13 ||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1 || 1 || ||[[파일:케냐 국기.svg|width=20]] 케냐 || 15 || 16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 || - || 1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 || 7 || 6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홍콩 || 11 || 11 || === 여자 === * 2020년대 || {{{#ffffff 국가}}} || {{{#ffffff 2022}}} || {{{#ffffff 2023}}} || {{{#ffffff 2024}}} || {{{#ffffff 2025}}} || {{{#ffffff 2026}}} || {{{#ffffff 2027}}} || {{{#ffffff 2028}}} || {{{#ffffff 2029}}}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0]] 나이지리아 || 13 ||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 || 5 || 5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0]] 대만 || 10 || 6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2 || 1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0]] 멕시코 || 11 || 7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4 || 3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 || 9 || 11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1 || 2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20]] 자메이카 || - || 1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 - || 9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 카자흐스탄 || 7 ||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3 || 4 || ||[[파일:케냐 국기.svg|width=20]] 케냐 || 12 || 14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 || - || 13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 || 6 || 8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홍콩 || 8 || 12 || == 여담 == * 원래 A디비전은 8팀이 경기를 치르지만, 2021년 PACC 대회에서 호주 여자팀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때문에 출전을 못했었기에 그에 대한 어드밴티지로 2022년 A디비전 여자부는 호주가 포함돼 9팀이 경기를 치르고, 하위 2팀이 B디비전으로 강등된다. * 첫 대회인 2022년 대회에서 중국은 대회 개최를 1달 정도 앞둔 상황에서 돌연 출전을 포기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때문으로 보이는데, 앞서 2021-2022 시즌에서도 중국은 자국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컬링|베이징 올림픽]]을 제외한 어떠한 대회에도 출전하지 않았다. 중국의 출전 포기에 따라 B디비전으로 분류됐던 남자부의 카자흐스탄과 여자부의 대만이 A디비전으로 승격됐다. 출전을 포기한 중국은 2023년 대회에서 B디비전으로 강등된다. * 2023년 9월, 카자흐스탄에서 PCCC 대회 참가를 포기하면서 그 대신 2022년 B디비전 여자부 2위였던 멕시코가 A디비전에 합류한다. [[분류:아시아의 스포츠]][[분류:아프리카의 스포츠]][[분류:아메리카의 스포츠]][[분류:컬링 대회]][[분류:대륙 선수권 대회]][[분류:2022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