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berllejabi2.jpg|width=330]]|| ||||||||||<:>'''[[벌레잡이제비꽃|{{{#green 벌레잡이제비꽃}}}]]'''|| ||||||||||<:><#BDFF12>{{{#000 이명 : '''Butterwort'''}}}[* "벌레잡이오랑캐"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Bóg Vìolet]|| ||||||||||<:><#BDFF12>{{{#000 학명: '''''Pinguicula vulgaris'' L.'''}}}|| ||<|7><#D7FFCE>{{{#000 분류}}}|| ||[[계]]||||||'''식물계'''|| ||[[문]]||||||속씨식물군(Angiospermae)|| ||[[강]]||||||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목]]||||||꿀풀목(Lamiales)Bromhead|| ||[[과]]||||||통발과(Lentibulariaceae)|| ||[[속]]||||||'''벌레잡이제비꽃속'''(''P. vulgaris'')|| [clearfix] [목차] == 개요 == 벌레잡이제비꽃(학명:Pinguicula vulgaris)은 대한민국 북부 높은 산의 습한 바위나 습원에 나는 여러해살이 식충 식물이다. 이름답게 전혀 식충식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름과 달리 [[제비꽃]]과는 '''목 단위 부터 다르다.'''[* 제비꽃은 [[말피기]]목 제비꽃과. 벌레잡이제비꽃은 [[꿀풀]]목 [[통발]]과. ] 높이는 5-15cm이고 잎은 뿌리에서 밀생하고, 땅 위로 퍼지며, 긴 타원형, 좁은 난형, 끝이 둔하고, 다소 안쪽으로 말리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길이 3-5cm, 폭 1-2cm으로 꽤 작은 화초이다. 양면에 작은 선모가 밀생하여 점액을 분비하여, 벌레를 잡는다. 꽃은 대부분 {{{#magenta 밝은 자주색}}}이며, 꽃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린다. 그리고 꽃은 사시사철 피고, 지고를 반복한다. == 사냥법 == || [[파일:99366.jpg|width=300px]] || || 꽃이 없는 시기의 벌레잡이제비꽃. || 도저히 식충식물로 보이지 않는 이 식물은 {{{#green 잎}}}이 '''포충기'''이다. 끈끈한 액체(점액)를 분비하여 먹이를 잡는 식충식물 속의 일종으로, 식충식물 중에서는 더 효율이 좋고 잘 사냥하는 식충식물들인 [[네펜데스]], [[끈끈이주걱]]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날벌레나 [[모기]] 정도의 매우 작은 벌레들은 대부분 잡힌다. 적어도 [[파리지옥]]보다는 에너지 연비 측면이나 효과면에서는 훨씬 낫다. == 종류 == ||[[파일:florian.jpg|width=365]] ''Pinguicula florian''|| ||[[파일:벌레잡이 식충식물.jpg|width=365]] ''Pinguicula esseriana''|| ||[[파일:Pinguicula Laueana.jpg|width=365]] ''Pinguicula laueana''[* 벌새의 눈에 띠기 위해 꽃색이 매우 붉은 것이 특징이다.]|| ||[[파일:Pinguicula_grandiflora_01.jpg|width=365]] ''Pinguicula grandiflora''|| ||[[파일:Pinguicula Planifolia.jpg|width=365]] ''Pinguicula planifolia''|| == 식용 == 특이하게도 [[북유럽]]의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는 이 식물의 잎을 사용해 [[요구르트]]를 만들기도 한다. 작은 용기 내면에 벌레잡이제비꽃의 잎을 문질러 점액을 잘 바른 후, 우유를 따라두고 하루이틀 쯤 놔두면 점액질에 함유된 소화효소 때문에 우유가 걸쭉해지면서 요구르트가 된다. == 대중 매체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벌레잡이 식물과 곤충을 잡아먹는 다른 벌레를 모티브로 한 카드군 [[충혹마]]의 [[시트리스의 충혹마]]가 이 식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이 식물의 일본어 이름 무''시토리스''미레에서 따왔다. [[분류:식충식물]][[분류:꿀풀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