樊子昭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후한]]의 인물. 예주 여남군 출신으로 벼슬을 하기 이전에는 두건 장사를 했으며, 월단평으로 [[허소#s-1]]가 여러 인물들을 평가하는 것 중에 두건 파는 가게로부터 번자소를 찾아냈다고 한다. 허소가 칭찬이나 폄하에 대해 불공평해서 번자소를 높이면서도 [[허정(삼국지)|허정]]을 낮췄다고 하며, [[유엽]]이 번자소에 대해 장사꾼에서 발탁되어 60세에 이르렀지만 물러나서는 평정을 지키고 나아가서 구차하지 않았다고 했다. [[장제(조위 태위)|장제]]는 번자소에 대해 나이 들어서나 어려서나 온전하고 깨끗한 사람이지만 치아를 찧고 뺨을 세워 말을 내뱉는 거을 보면 허정의 적수가 아니라고 했으며, [[방통]]은 [[전종]]에 대해 평가할 때 베푸는 것을 좋아하고 명성을 흠모해 번자소와 닮은 점이 있다고 언급했다. == 창작물에서 == [[같은 꿈을 꾸다]] in 삼국지에는 [[원환]]이 여포를 따라 [[원술]]에게 의지하면서 [[이숙재]], 곽자유, [[최염]]과 함께 데려온 인재 중 한 사람이며, 원래는 여남의 대상인으로 원가의 상행위를 책임졌지만 하북과 양주로 원가가 분리되면서 원환과 함께 내려가 양주에서 독립해 여남의 대상인이 되었다고 한다. 군수품 납품으로 원술군의 일을 대행했고 양주원가의 식솔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했으며, [[한호#s-2]]는 번자소에 대해 인물됨이 약간 경망하지만 한 입으로 두 말하는 인물은 아니라고 했다. [[조조]]가 이끄는 삼군연합을 격파하고 [[유비]]가 몰락해 [[여포]]가 서주를 장악하게 되자 번자소는 서주에도 상권을 확대하기 위해 움직이며, 이준경의 지시로 예장군의 주도인 시상을 발전시키기 위해 유민들을 모아 예장에 내려보냈다. 노릉에서 역병이 돌았을 때 약재를 한 가득 싣고 오면서 [[동봉#s-2]]이 사람들을 치료해주는 약재를 사기로 하며, 그 약재를 사면서 역병이 도는 익주로 가서 사람들을 치료하고 그 대가로 암염산을 받아낼 것이라 했다. 노릉에서 역병이 돌아 이준경이 동봉을 직접 찾아가 초빙하고 수많은 군량을 내는 등 역병을 치료하는 성의를 보였는데, 이로 인해 남월까지 그 명성이 퍼졌다. 남월에서 역병이 돌아 사람을 보내 치료해달라고 요청하자 여러 사람들 간에 논의가 벌어졌는데, 이들의 역병을 치료하는 것에 대해 여러 논의가 오고갔다가 번자소가 이들을 치료하면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했다. 소설 난세의 별에서는 주인공 사인이 서주에 갔다가 교주로 돌아가는 길에 수적의 습격을 받았고 번자소도 수적에 휘말렸다가 사인이 구해주자 사인을 도와주기로 하고 상업에 관해 사인을 도와준다. [[분류:후한의 인물]][[분류:한나라의 관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