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환마)] [include(틀:유희왕 GX의 분기별 보스 몬스터)] ||<#F0C420>
<:> '''{{{#!html번개황제 하몬}}}'''||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fe5ccdf67fc1bf800f24867576e73e3d99b0f20_hq.jpg|width=100%]]}}} || ||<:><#F0C420>{{{#FFFFFF 똑똑히 봐라, 이것이 두 번째 환마! 필드의 세 장의 마법카드를 제물로 바쳐! 나오너라!}}} '''{{{#!html번개황제 하몬!}}}'''[* 유희왕 GX 48화 카게마루 대사.] || [목차] == 설명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원작 === [[파일:external/uploads4.yugioh.com/111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배경색=#ffd700, 글자색=#373a3c, 한글판명칭=번개황제 하몬, 일어판명칭=降雷皇(こうらいおう)ハモン, 영어판명칭=Hamon\, Lord of Striking Thunder, 속성=빛, 종족=번개족, 레벨=10, 공격력=4000, 수비력=4000,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이 컨트롤하는 마법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해야 한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때\, 상대 라이프에 10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수비 표시로 존재할 경우\, 상대는 다른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앞면 수비 표시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그 턴 자신에게 오는 모든 데미지를 0으로 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 등장하는 [[삼환마]] 중 하나. 먼저 나온 [[신염황제 우리아]]와 마찬가지로, OCG판과 달리 세트된 마법 카드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작중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 48화에서 다른 삼환마들과 마찬가지로 [[카게마루(유희왕)|카게마루]]가 봉인을 풀어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삼환마 중에서는 두번째로 등장했으며, 이 때 특이하게도 소환에 쓰이는 마법 카드 3장이 얼음으로 변해 뭉치더니 그 속에서 얼음을 깨부수며 나오는 연출을 보여주었다.[* 물론 3기에서는 번개를 내리치며 나타나는, 번개황제라는 이명에 잘 맞게 연출이 나왔다. 이런 연출을 보여준 이유는 아무래도 봉인에서 풀려났다는 의미를 나타나는 듯하다. 첫번째로 나타난 우리아는 화산에서 나온 불기둥으로 통해 나왔으며 마지막으로 나타난 라비엘은 자신이 갇힌 대지를 깨부수며 나타났다.] [[엘리멘틀 히어로 템피스터]]와 [[프렌도그]]를 파괴하고 2000 데미지를 주는 등 선전하였으나 49화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 + 버블 샷 콤보로 어이없게 파괴된다. 게다가 버블 샷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버블맨 네오는 파괴도 안됐고, 쥬다이는 데미지도 받지 않았다. 물론 얼마 되지 않아 카게마루가 사용한 속공 마법 부활의 제물로 버블맨 네오를 파괴하며 수비 표시로 부활한다. 그러자 쥬다이는 [[현자의 돌-사바티엘]]의 효과로 공격력 4600의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을 소환해 공격, 파괴해 이 카드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주려 하였으나 이 카드의 효과로 무산된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유벨]]에 빙의된 [[카노 마르탄]]이 칠정문의 봉인을 풀면서 회수하고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부터 OCG 사양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유우키 쥬다이]]&[[요한 안데르센]]과의 듀얼 중에는 [[카오스 코어]]의 코스트로 다른 [[삼환마]]들과 함께 묘지로 보내진 후 [[팬텀 오브 카오스]]의 효과로 능력치가 복사되었으며, 이후 [[암흑의 소환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며 다른 환마들과 함께 [[혼돈환마 아미타일]]의 소재로 제외되었다. 이후 [[암흑사도 요한]] 상태로 [[아몬 가람]]과의 듀얼 중에는 트라이앵글 포스 3장을 묘지로 보내고 삼환마 중 첫번째로 등장했으며, [[궁극봉인신 엑조디오스]]를 공격해 [[아몬 가람]]에게 데미지를 주는 등 삼환마 중 가장 크게 활약했다고 할 수 있다. 공격명은 '실락의 벽력(失楽の霹靂)'. 번 효과명은 '지옥의 속죄(地獄の贖罪)'. 지옥의 속죄를 맞은 [[유우키 쥬다이]]가 바닥을 몇 번 구르는 장면은 숨겨진 백미다. 대응하는 [[삼환신]]은 [[라의 익신룡]]이지만, 라비엘보다 아래로 묘사되는 등 색감 외의 공통점은 찾을 수 없으며 안정적인 능력치, 플레이어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 등 스테이터스는 [[오벨리스크의 거신병]]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원판 이름은 '강뢰황 하몬'인데, 한국어판으로 넘어오면서 다른 둘은 원래의 호칭에 "제"가 붙고 끝이었는데 혼자 수식어가 바뀌었다. 이름의 유래는 [[에녹서]] 3서에서 언급되는 천사 '하몬'. [[예로니무스]]의 주관적 해석에 의해 일본에서는 대천사 [[가브리엘]]의 이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include(틀:유희왕/OCG/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파일:降雷皇ハモ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번개황제 하몬, 일어판명칭=降雷皇(こうらいおう)ハモン, 영어판명칭=Hamon\, Lord of Striking Thunder, 속성=빛, 종족=번개족, 레벨=10, 공격력=4000, 수비력=40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지속 마법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다른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번개황제.png|width=100%]]}}} || || {{{#fff '''공식 일러스트'''}}} || 요구 소재는 지속 마법으로 변경. 앞면 표시 함정이면 다 되어서 [[쇠사슬 폭탄]]도 쓸 수 있는 우리아와 달리 [[빛의 봉인검]] 등은 사용하지 못한다. 번개족 중 레벨과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다. 4000이나 되는 높은 공격력과 그 공격력으로 상대 몬스터를 부수면 1000 데미지를 추가로 주는 효과는 상대의 명을 재촉하기 매우 적합하다. 우리아처럼 상대의 마법 / 함정을 견제할 수단은 전무하므로 전형적인 최상급 카드답게 사용 시에는 주의를 요한다. 게다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때' 데미지 효과가 발동하기에 묘지로 안 가고 필드에 남거나, 제외되거나, 패 / 덱으로 되돌아가면 데미지를 줄 수 없다. 수비 표시일 경우 다른 카드를 공격할 수 없게 하는 효과는 [[지박신#지박신 Chacu Challhua|지박신 Chacu Challhua]]처럼 극공형 몬스터인 이 카드에게는 옵션과 마찬가지지만 일단 쓸 수만 있다면 좋다. 유희왕에서 수비력 4000은 절대 만만한 벽이 아니기 때문. 수비 표시인 상태에서 [[어둠의 후작 베리얼]]과 병행해서 필드에 띄울 경우, 상대가 어떠한 공격도 못하게 하는 록을 걸 수 있다. 덱은 지속 마법 위주로 돌아가므로 [[레벨 제한 B구역]]과 [[평화의 사자]], [[암흑의 문]] 등 록 카드와 병용할 수도 있다. 비슷하게 지속 마법을 탄환으로 쓰는 [[배드 엔드 퀸 드래곤]]과도 상성이 매우 좋다. 특히 몬스터 전원이 지속 마법으로 취급될 수 있는 '''[[보옥수]]의 피니셔'''로 많이 들어가서 활약했다. 레인보우 드래곤을 쓰기 어려우던 시절에 하몬이 사실상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었다. 일명 궁극보옥신 하몬 혹은 보옥황제 하몬라고 불릴 정도. 이런 점 때문에 보옥수 스트럭처 덱 [[보옥의 전설]]에 재록되기까지 했다. 패의 지속 마법을 상대에게 보여주는 유지 코스트를 지닌 [[코아키메일]] 아이스와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위저 보드(유희왕)|위저 보드]] 덱에서도 사용되기도 하는데 도저히 위저 보드를 완성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돌연 하몬으로 전투태세에 돌입하기도 한다. 아예 그냥 위저 보드는 위장이고 완성하는 척하다가 하몬을 소환해 어태커로 쓰는 변종 덱들도 존재. 8기 테마 중에서는 [[염성(유희왕)|염성]] 덱에 1장 정도 투입해서 염무 마법 카드를 소모할 일이 더 이상 없을 때 꺼내 피니셔로 써먹을 수 있고, 비슷한 방법으로 상대의 허를 찌르는 것도 가능하다. [[혼돈의 삼환마]] 발매 이후 그야말로 환마 덱의 핵심 카드. 공격, 수비, 퍼미션 모두 가능한 만능 에이스 카드로 자리 잡았다. 필살기 카드인 실락의 벽력의 발동 조건 때문에 우선적으로 뽑아야 하며, 우리아처럼 능력치가 불안정하지도 않고, 몬스터를 깨부수기만 해도 번 대미지를 줄 수 있다. 순간 공격력은 천계유린권이 있는 라비엘이 높지만, 하몬의 공수 4000/4000 스탯도 꿀리지 않는 스탯이다. 특히 암흑의 소환신 때문에 선공을 잡는 것이 유리한데, 선공에 암흑의 소환신으로 삼환마를 특수 소환할 경우 십중팔구 하몬을 특수 소환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무한의 그림자|SHADOW OF INFINITY]] || SOI-JP002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4]] || EE04-JP122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7 Vol.2]] || 17TP-JP202 || [[노멀]][br][[패러렐 레어|패러렐]] || 일본 || 절판 || || [[혼돈의 삼환마|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混沌の三幻魔- 三幻魔解放パック]] || SD38-JPP02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 || [[보옥의 전설|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宝玉の伝説-]] || SD44-JP011 || [[노멀]] || 일본 || || || [[무한의 그림자|Shadow of Infinity]] || SOI-EN002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4]] || DR04-EN122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Collectible Tins 2006 Wave 2 || CT03-EN006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 LC02-EN002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Duelist Saga || DUSA-EN097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혼돈의 삼환마|Structure Deck: Sacred Beasts]] || SDSA-EN043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2021 Tin of Ancient Battles || MP21-EN253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무한의 그림자]] || SOI-KR002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4]] || HGP04-JP122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7 Vol.2]] || AE11-KR001 || [[시크릿 레어]] || 한국 || 절판 || || [[혼돈의 삼환마|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 SD38-KRP02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실락의 벽력 === [[파일:失楽の霹靂.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실락의 벽력, 일어판명칭=失楽(しつらく)霹靂(へきれき), 영어판명칭=Cerulean Skyfire, 효과1=①: "번개황제 하몬"을 자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할 경우\, 자신 필드의 뒷면 표시의 마법 카드를 묘지로 보낼 수도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에 "번개황제 하몬"이 공격 표시로 존재할 경우\, 상대가 발동한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그 후\, 자신 필드의 "번개황제 하몬" 1장을 고르고 수비 표시로 한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중 어느 것이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턴에\, 자신이 받는 모든 데미지는 0 이 된다.)] 하몬의 공격명을 따온 [[필살기 카드]]. ①의 효과는 원작처럼 뒷면 마법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도 하몬 소환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 하지만 하몬은 굳이 정규 소환을 노리기 보다는 소환신들로 소환하는 게 편하기에, 원작 재현 또는 패가 심하게 말렸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된 마법 카드들을 이용하기 위한 덤이라고 보면 된다. ②의 효과가 이 카드의 진가로, 공격 표시의 하몬이 존재할 경우 1턴에 1번 상대가 발동한 마법 / 함정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하몬을 수비 표시로 바꾸는 효과. 마법 / 함정 견제에 취약했던 환마의 약점을 보완해주는 퍼미션 효과로 4000이라는 높은 수비력과 수비표시일 때 모든 공격을 자신에게 유도하는 하몬 본인의 효과와 조합하기도 좋다. 이 카드의 효과가 발동해서 무효화하는 게 아니라 지속 효과로 무효화하기 때문에, [[초융합]] 같은 체인 불가 효과와 카운터 함정도 무효로 할 수 있는 재정이다. 원작에서 초융합의 위상을 생각하면 재미있는 점. 똑같이 체인 블록을 만들지 않는 퍼미션 효과인 [[마술사(유희왕)#마법 카드|마술사의 왼손/오른손]]과 비교했을 때 왼손 오른손은 조건이 마법사족 몬스터로 훨씬 쉬운 대신 무효화가 강제 효과기 때문에 버림패 하나 던져서 해결할 수 있지만, 벽력은 원하는 카드를 무효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돌파할 수는 없다. [[해피의 깃털]] 등 같은 견제 카드에서 빌드를 지켜주기 때문에 고평가를 받고 있다. 아예 하몬 전용 메타비트 덱을 사용할 정도이다. ③의 효과 또한 원작 하몬이 묘지로 보내진 턴 데미지를 막는 효과를 재현한 것에 더해 발동 조건을 삼환마 전체로 넓혔다. 필드를 벗어나기만 하면 되므로 자신 쪽에서 코스트나 아미타일의 소환용으로 필드를 벗어나도 적용된다. 수동적인 효과지만 실락원이 없어 내성이 없는 삼환마가 제거된 후에 턴 킬을 방지해주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편. 지속 마법이라 삼환마 덱 필수 카드인 [[칠정의 해문]]으로 회수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혼돈의 삼환마|混沌の三幻魔]]- || SD38-JP019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혼돈의 삼환마|Structure Deck: Sacred Beasts]] || SDSA-EN01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혼돈의 삼환마|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SD38-KR01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실락의 벽력, version=2)] [[분류:유희왕/OCG/번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