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푸른 뇌정 건볼트)] [include(틀:인류 진화 추진 기구 스메라기)] [목차] == 개요 ==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에 등장하는 존재. 인류 진화 추진 기구 스메라기가 보유한 '''영구 평화 유지 장치'''로, 셉티마를 전 세계 규모로 감시 및 컨트롤하고 있다. [[RoRo(익스 시리즈)|RoRo]]의 말을 빌리자면 스메라기가 '적당한 평화'를 유지하는 수단이며, 익전사들이 깃펜으로 보낸 컨트랙트 사인을 받고 그들을 변신시키는 것도 바로 이 장치이다. 그 외에도 셉티마 홀더들이 [[마이너즈]]에게 무관심해지도록 '''전 세계의 홀더들을 무의식 상태로 만드는 기능'''까지 있다. 익스 시리즈의 주인공인 [[아큐라(익스 시리즈)|아큐라]]가 찾고 있는 대상이기도 하다. == 상세 == >영구 평화 유지 장치── 스메라기는 그렇게 부르나 봐. 전 세계의 셉티마를 감시ㆍ컨트롤할 수 있는 놈들을 위해 적당한 '평화'를 유지시켜 주는 장치... 하지만 아니야... 애초에 그건── ...미안해, 내 입으론 더 이상 말 못하겠어... 아마 아큐라 군도 말하지 않을 거야. >---- >RoRo [[마이너즈]] 아이들과 함께 지내며 그들을 돕고 사는 동안에도 [[아큐라(익스 시리즈)|아큐라]]와 [[RoRo(익스 시리즈)|RoRo]]는 버터플라이 이펙트의 소재 파악에 계속 힘쓴다. 익전사들을 쓰러뜨리면서 조금씩 단서를 얻는데, [[코하쿠(익스 시리즈)|코하쿠]]의 언급에 따르면 시종일관 쿨한 아큐라가 버터플라이 이펙트 이야기만 나오면 매우 험악한 표정을 짓는다고 한다. 결국 아큐라는 모든 익전사를 쓰러뜨린 시점에 버터플라이 이펙트가 숨겨진 장소를 알아내고, 스메라기 제13빌딩의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하 비밀기지에 잠입한다. 그리고 익전사들의 홀로그램을 쓰러뜨리고 마침내 버터플라이 이펙트가 있는 에어리어에 도달하는데... [include(틀:스포일러)] ||<-2> '''{{{#white 프로필}}}''' || ||<-2> [[파일:버터플라이 이펙트 스프라이트.png]] || || '''통칭''' || バタフライエフェクト[br]Butterfly Effect || || '''본명''' || '''ミチル[br]Mytyl''' || || '''1인칭''' || [[와타시]] || || '''셉티마''' || 사이버 디바[* 본편 시리즈와는 달리 독음은 물론 표기까지 전자의 요정이 아니라 사이버 디바이다.] || || '''소속''' || 인류 진화 추진 기구 스메라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2 1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2 11.png|width=100%]]}}} || >드디어 찾아냈다. 버터플라이 이펙트... 아니── >미틸... 내, 단 하나뿐인 여동생... >---- >아큐라 {{{#!folding [ 익스 1 최대의 스포일러 ] >시안이라는 실험체 소녀의 시체로부터 '사이버 디바'의 셉티마 인자를 적출하고, 이를 아큐라의 여동생인 미틸에게 이식한 채 그녀의 뇌만을 생체 유닛으로 이용한 악마의 장치. >연명 조치를 거듭한 결과, 생체 부분인 뇌가 비대화된 상태이다. >익전사가 보내는 컨트랙트 사인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익전사를 변신시킬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전 세계의 셉티마 홀더를 무의식화하는 공작을 벌여 서서히 마이너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잃게 만들고 있다. >---- >하얀 강철의 X 사운드트랙 동봉 소책자}}} 버터플라이 이펙트의 정체는 바로 아큐라의 여동생인 '''[[미틸(푸른 뇌정 건볼트)|미틸]]''', 그것도 [[통 속의 뇌|뇌가 꺼내져 기계 장치에 이식된 모습]]이다. 상단의 이미지에서 기계 장치 밑에 있는 것이 미틸의 뇌. 미틸은 본래 RoRo가 다루는 힘의 오리지널, 즉 '''사이버 디바'''의 셉티마 홀더였다. 그러나 스메라기에 의해 현재의 모습으로 변해버렸고, 감금된 채로 수십 년 동안 이용당한 것. 참고로 뇌가 지나치게 커진 현상은 '''연명 조치'''를 되풀이한 결과물이라고 한다. 버터플라이 이펙트의 실물을 목격한 RoRo는 자신의 유사 셉티마 기관을 통해 미틸이 몸은 없어도 마음으로 눈물을 흘리고 있다는 것을 느끼며, 그녀를 '악마의 장치'로 만든 스메라기의 만행에 분개한다. 그리고 아큐라가 나지막한 목소리로 곧 편하게 해주겠다며 미틸의 뇌에 접근하자, 주변에 있는 디스플레이에 [[가타카나]]로 "'''아큐라 군, [[나를 죽여줘]](アキュラクン, [[나를 죽여줘|ワタシヲコロシテ]]).'''"라는 문장이 출력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2 17.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2 18.png|width=100%]]}}} || >'''아큐라''': "미틸... 오랫동안... 많이 괴로웠지... 적어도 이 오빠의 손에 잠들도록 해... 편안하게." >'''버터플라이 이펙트(미틸)''': "고마워." 끝내 자신의 여동생을 쓰러뜨린 아큐라는 오랫동안 괴로웠을 테니 적어도 오빠의 손에 잠들라며 위로 섞인 말을 건네고, 이에 미틸은 마지막으로 "'''고마워(アリガトウ).'''"라는 문장을 띄우며 폭발한다.[* 이때 폭발하는 과정에서 기계 장치의 파편뿐만 아니라 뇌 조직까지 떨어져 나간다.] 언어 설정을 한글이나 영문으로 바꾸면 이전의 문장은 "PLEASE, KILL ME.", 고마워는 "THAnK you."로 바뀐다. 미틸이 이 지경이 된 이유는 지하 기지 최심부에서 [[관리 AI]] [[데머즐]]이 직접 밝힌다. 100년 이상 전, [[아시모프(푸른 뇌정 건볼트)|아시모프]]가 [[시안(푸른 뇌정 건볼트)|시안]]을 사살한 이후 그녀의 대타가 필요했다는 것. 이로 인해 미틸은 시안의 시체에서 적출된 셉티마 인자를 이식받아 사이버 디바의 셉티마 홀더가 되었고, 그 상태로 뇌만이 생체 유닛으로 이용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 보스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2 13.png|width=100%]]}}} || ||<-3> '''{{{#white 본편}}}''' || || '''PHASE''' || '''획득 쿠도스''' || '''PATTERN''' || || '''{{{#white 1}}}''' || 306 || 배리어 전개, 모르포 어택, 데스 모르포 레이 || || '''{{{#white 2}}}''' || 307 ||<|2> 하이퍼 데스 모르포 블래스터, HP 회복 || || '''{{{#white 3}}}''' || 307 || || '''{{{#white 획득 쿠도스 계산식}}}''' || '''{{{#white 합계}}}''' || '''{{{#white HP 총량}}}''' || || 대미지 × 0.2 || 920 || 4600 || ||<-3> '''{{{#white 버터플라이 이펙트 SP}}}''' || || '''PHASE''' || '''획득 쿠도스''' || '''PATTERN''' || || '''{{{#white 1}}}''' || 666 || 배리어 전개, 모르포 어택, 데스 모르포 레이 || || '''{{{#white 2}}}''' || 667 ||<|2> 하이퍼 데스 모르포 블래스터, HP 회복 || || '''{{{#white 3}}}''' || 667 || || '''{{{#white 획득 쿠도스 계산식}}}''' || '''{{{#white 합계}}}''' || '''{{{#white HP 총량}}}''' || || 대미지 × 0.2 || 2000 || 10000 || * 회피의 경우 카게로우와 스페셜 스킬 등의 요소를 배제한 상태에서 기재한다. * 버터플라이 이펙트와 직접 부딪힐 경우 본편에서는 30, SP 보스전에서는 '''100'''의 대미지를 입는다. 익전사들의 홀로그램을 제외하면 스토리상 뒤에서 두 번째 보스에 해당한다. 공격할 대상은 보스룸 우측의 장치에 박혀 있는 '''미틸의 뇌'''이며, 장치 앞에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배리어가 남아있는 동안에는 뇌에 대미지를 줄 수 없다. 뇌 자체의 약점은 키스 오브 디바의 관통 샷과 스파크 스텔라. 관통 샷으로는 1발당 510의 대미지를 줄 수 있으나 '''차지하지 않은''' 키스 오브 디바는 약점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또한 미틸의 뇌 위로 뻗은 선들은 '''오비탈 에지'''를 여섯 번 맞히면 끊어지는데, 미리 끊어놓으면 HP가 회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VS 미션에서는 [[자이언트 로로]]와 같은 방법[* [[닌텐도 스위치]] 버전 기준으로 ZR 버튼을 누른 채 미션 개시.]으로 SP 버전과 싸울 수 있다. 이전에는 게임 내의 보스 중 기본 HP가 가장 낮았지만, 강화 이후에는 스페셜 미션의 [[리벨리오]] SP나 [[다이나인]] SP와 맞먹는 수준이다. 그리고 키스 오브 디바와 스파크 스텔라 이외의 [[EX 웨폰]]으로는 뇌에 대미지를 줄 수 없으며, 이전과 달리 위로 뻗은 선들 역시 자를 수 없다. 또한 SP 버전의 접촉 대미지는 무려 100으로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 전체에서 1위이다. [[하얀 강철의 X]]에서는 헤븐 or 헬을 인스톨했을 때 '''단순 접촉만으로 즉사가 가능한 유일한 보스'''이므로 뇌를 록온하면서 뒤쪽로 넘어갔다가는 그 순간 게임이 끝난다. === 패턴 일람 === ==== 배리어 전개 ==== ||<-3> '''{{{#white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배리어 전개.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배리어 전개 2.png|width=100%]]}}} || || '''명칭''' ||<-2> バリア展開[br]Barrier || ||<|2> '''대미지''' || 본편 || 30 || || SP || 40 || 주기적으로 HP가 1600인 배리어를 생성하여 본체인 뇌가 손상을 입지 못하도록 막는다. '''배리어에 입힌 대미지는 쿠도스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적절한 무기를 동원하여 빠르게 파괴하는 것이 좋다. 뇌와 달리 '''키스 오브 디바에 강한 내성'''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관통 샷을 배리어에 맞히면 본래 위력의 25%, 즉 1360이 아닌 '''340'''의 대미지밖에 주지 못한다. 반면 '''루미너리 마인'''에는 1발당 200의 대미지를 입기 때문에 웨폰 게이지만 충분하면 매우 빠르게 파괴할 수 있다. SP 버전도 배리어의 내구력은 그대로이다. 대신 배리어와 충돌할 때의 대미지가 10 증가한다. ==== 모르포 어택 ==== ||<-6> '''{{{#white 상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르포 어택.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르포 어택 2.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르포 어택 3.png|width=100%]]}}} || ||<-3> '''명칭''' ||<-3> モルフォアタック[br]Morpho Attack || ||<-3> '''대미지''' ||<-3> 20 || ||<-3> '''난이도''' ||<-3> 中下 || || || || || || || || [[모르포]]의 환영이 다수 나타나 하나씩 수평으로 돌진한다. 돌진 속도는 빠르지만 그냥 높이를 보고 뛰어넘거나 밑으로 지나가면 어렵지 않게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뇌체들은 [[EX 웨폰]] 중 키스 오브 디바나 스파크 스텔라로 공격하면 '''없앨 수 있다.''' 내구력도 그리 높지 않아 차지하지 않은 키스 오브 디바 한 발이면 충분한 수준. ==== 데스 모르포 레이 ==== ||<-6> '''{{{#white 상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스 모르포 레이.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스 모르포 레이 2.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스 모르포 레이 3.png|width=100%]]}}} || ||<-3> '''명칭''' ||<-3> デスモルフォレイ[br]Death Morpho Ray || ||<-3> '''대미지''' ||<-3> 광선: 40[br]폭발: 30[br]환영: 20 || ||<-3> '''난이도''' ||<-3> 中 || || || || || || || || 검은 옷을 입은 환영 하나가 보스룸 한쪽 끝에 나타나고, 수직으로 광선을 발사하며 반대쪽 끝을 향해 천천히 이동한다. 도중에 멈추기 때문에 피할 공간은 있지만, 광선이 바닥에 닿으면서 좌우로 폭발이 일으나므로 공중에서 피해야 한다. 환영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패턴은 '''데스 모르포 레이 A''', 반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패턴은 '''데스 모르포 레이 B'''로 구분된다. 검은 옷을 입은 환영도 흰 개체와 같은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내구력이 상대적으로 높다.''' 차지하지 않은 키스 오브 디바로 잡으려면 다섯 발이나 맞혀야 하고, 관통 샷을 맞히면 단번에 없앨 수 있으니 웨폰 게이지를 잘 관리하는 것이 좋다. 키스 오브 디바의 게이지 잔량이 부족하다면 스파크 스텔라로 공격하는 방법도 있다. 데스 모르포 레이 A의 경우 환영이 버터플라이 이펙트 바로 앞에 생성되는데, 이때 미틸의 뇌 또는 배리어를 록온해서 지지다 보면 환영도 같이 대미지를 입다가 소멸한다. ==== 하이퍼 데스 모르포 블래스터 ==== ||<-3> '''{{{#white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이퍼 데스 모르포 블래스터.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이퍼 데스 모르포 블래스터 2.png|width=100%]]}}} || || '''명칭''' ||<-2> ハイパーデスモルフォブラスター[br]Hyper Death Morpho Blaster || ||<|2> '''대미지''' || 본편 || 환영: 20[br]광선(小): 40[br]광선(大): 60 || || SP || 환영: 20[br]광선(小): 50[br]광선(大): '''200''' || || '''난이도''' ||<-2> 中上 || 페이즈 2 진입 후 HP가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 쓰기 시작하는 기술. 다수의 검은 환영이 나타나 수평으로 광선을 발사한다. 먼저 보스룸 위아래로 동시에 한 줄씩 날아오며, 곧바로 더 굵은 광선이 그 사이로 날아온다. 처음에는 두 줄의 광선 사이에서 체공하다가 굵은 광선이 날아오기 직전에 착지하는 식으로 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 위에 서 있으면 굵은 광선에 맞으니 왼쪽 바닥으로 내려가야 한다. 이 방법이 어려울 경우 벽 바운드를 이용해 보스룸 꼭대기에서 버티고 있거나, 키스 오브 디바 등으로 환영을 제거해도 무방하다. SP 보스전에서는 굵은 광선의 공격력이 크게 증가한다. ==== HP 회복 ==== ||<-3> '''{{{#white 상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P 회복.png|width=100%]]}}} || || '''명칭''' ||<-2> HP回復[br]Anthem || || '''효과''' ||<-2> HP를 50% 회복 || ||<|2> '''실제 HP 회복량''' || 본편 || 2300 || || SP || '''5000''' || HP가 절반 이하로 떨어진 이후, 버터플라이 이펙트를 빠르게 쓰러뜨리지 않으면 HP를 50% 회복하기도 한다. 이 경우 실질적인 HP는 6900이 되며, 회복된 HP만큼 쿠도스를 더 얻을 수 있으므로 스코어링 시에는 일부러 회복하게 두는 것이 유리하다. SP 버전도 이 기술을 똑같이 사용한다. 그런데 기본 HP가 10000으로 늘어났기 때문에, 빠르게 격파하지 않으면 HP가 무려 '''15000'''까지 늘어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 대사 === 아래의 대사에 음성은 없고 배경의 '''붉은 디스플레이'''에 문자만 출력되는데, '''{{{#red 피}}}를 연상시키는 섬뜩한 연출을 보여준다.''' ||<-3> '''{{{#white 버터플라이 이펙트 대사집}}}''' || ||<|2> '''전투 개시''' || '''일본판''' ||<(> "아큐라 군." → "나를 죽여줘." || || '''영문판''' ||<(> "PLEASE." → "KILL ME." || ||<|2> '''격파''' || '''일본판''' ||<(> "고마워." || || '''영문판''' ||<(> "THAnK you." || == 기타 == ||<-3> '''{{{#white 준마이긴조 버터플라이 이펙트[br]「Junmai-Ginjo Butterfly Effect / 純米吟醸 バタフライエフェク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준마이긴조 버터플라이 이펙트.jpg|width=100%]]}}} || || '''코하쿠''': "와!! 이거 귀중품이네! 연료로 쓰자." || '''RoRo''': "술이네..." || '''아큐라''': "술...이군... 버터플라이 이펙트...?" || >팬이 보낸 사케가 건볼트 팀에 도착했습니다. 『Junmai-Ginjou '''Butterfly Effect'''』라니?! 이제 아큐라의 여행도 끝이네요. 팬 A 님 감사합니다! >---- >[[https://twitter.com/t_aizu/status/1176810261245652993|아이즈 타쿠야의 트윗]] * 게임이 발매되기 조금 전에 한 팬이 '''동명의 [[사케]]'''를 [[인티 크리에이츠]]에 보냈다(...). 위의 일러스트는 이후 수석 디자이너인 아라키 무네히로가 남긴 것으로, 원본은 인티 크리에이츠의 CEO 아이즈 타쿠야의 트위터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 본편 시리즈의 [[미틸(푸른 뇌정 건볼트)|미틸]]과 비교하여 행적 면에서 훨씬 비참해졌다. 본편 시리즈에서는 [[시안(푸른 뇌정 건볼트)|시안]]과의 융합으로 기억을 잃고 [[아큐라(푸른 뇌정 건볼트)|오빠]]로부터 의절당했지만 '''그래도 행복하게 살고 있는 반면,''' 이쪽은 [[관리 AI]]에 의해 수십 년 동안 뇌만 남은 채로 고통스럽게 갇혀 살다가 끝내 [[아큐라(익스 시리즈)|오빠]]의 손에 최후를 맞이하여 안식을 얻었다. 때문에 버터플라이 이펙트의 정체는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의 스토리에서 가장 충격적이며 섬뜩한 전개로 꼽힌다. 대신 그와 별개로 보스전은 건볼트 시리즈에서도 손꼽히게 처절하고 슬픈 연출로 인해 호평하는 경우도 없지 않은 편. * 보스전 BGM인 [[https://www.youtube.com/watch?v=2-dF5cyZ3Jw|페인풀 디터미네이션]]은 [[푸른 뇌정 건볼트 爪]]의 토크 룸에서 재생된 '''[[https://www.youtube.com/watch?v=FHQYcqiI7as|창가의 남매]]'''를 어레인지한 곡이다. 사운드 디렉터인 카와카미 료조차도 편곡하는 동안 가슴이 아팠다는 감상을 남겼으며, 곡 제목을 직역하면 '''고통스러운 결정'''이 된다. * 이런 와중에 [[푸른 뇌정 건볼트 爪]]의 스팀 이식이 뒤늦게 결정되자, 인티 크리에이츠는 공식 트위터에 각종 설정자료를 다시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미틸의 설정화에 "[[https://twitter.com/GunvoltOfficial/status/1275998423578075136|'''빨리 건강해졌으면 좋겠네요(´ω`*).''']]"라는 멘트를 덧붙여, [[네놈들의 피는 무슨 색이냐|이미 익스를 플레이한 유저들에게 답글로 온갖 비아냥을 들었다(...).]] * 버터플라이 이펙트를 직역하면 [[나비 효과]]가 된다. 미틸과 시안의 능력을 상징하는 이미지가 [[모르포 나비]]이며, [[건볼트]]와 시안의 생사 여부라는 사소해 보일 수 있는 변수가 세계관의 분기점이 된다는 점에서 더할 나위 없이 잘 어울리는 이름인 셈. ~~사람 죽은 게 사소한 건 아니지만.~~ ||<-3> '''{{{#white 관리 AI 2차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3 4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3 4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3 44.png|width=100%]]}}} || * 스메라기 지하 비밀기지 3에서 관리 AI의 기습으로 아큐라의 왼쪽 눈에 내장된 카메라가 파손된 채로 2차전을 벌이는데, 아큐라의 시점임을 강조하기 위해 화면에 노이즈가 끼는 효과가 연출된다. 이때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다섯 장의 이미지 중 두 장은 [[마이너즈]] 아이들, 다른 두 장은 '''본편 시리즈의 미틸''', 나머지 하나는 '''버터플라이 이펙트'''의 모습이다. [각주] [[분류: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