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클래식 둠의 아이템)] [목차] == 개요 == >'''"누가 반인반신인가? 내가 반인반신이다! 반인, 반버서커! 내 손으로 쳐부술 수 없는 것에는 문제가 없지-내 손으로![* 문장이 조금 이상한데 "내 손으로 쳐부술 수 없는 것은 없으니 문제가 없다"로 해석되어야 맞다. 역으로 수식하는 자화자찬이다. '임프에게 문제가 없다 -> (그 이유는)둠가이 본인 손으로 고치지 못할게 없다 = 둠가이가 자기 손으로 무찌르지 못할 적이 없다'는 뜻.] [[다이너마이트]]!"''' >(Who's [[상남자|a MAN and a Half]]? I'm a MAN and a Half! Berserker packin' MAN and a Half! There's nothing wrong with you that I can't fix... with My Hands! Dynamite!) >'''"누가 진짜 남자냐! 나야! 내가 존나 남자다! 얼마나 존나? 존나게 존나! 나는 10점 만점에 12점인 진짜 싸나이! {{{+2 총 따윈 필요없어! 총은 겁쟁이들만 쓴다고!}}}"''' >(Who's the MAN? I'm the MAN! I'm a Bad MAN! How Bad? Real Bad! I'm a 12.0 on the 10.0 scale of Badness! Don't need a gun... ...guns are for wusses!) >---- >-[[둠(코믹스)|둠 코믹스]] [[둠 시리즈]]의 파워업 아이템. [[전기톱(둠 시리즈)|전기톱]], [[BFG9000]] 등과 함께 '''둠 시리즈를 상징하는''' 아이템 중 하나다. == [[둠|클래식 둠 시리즈]] == [[파일:external/static.giantbomb.com/583815-berserker_pack.jpg]] Berserk Pack. 검은 구급상자 모양의 아이템이다. 획득하는 순간 [[헬스(둠)|체력(Health)]]이 100 미만일 경우 '''체력을 100으로''' 완전 회복해주며, 들고 있던 무기가 강제로 주먹으로 전환되고, 화면이 붉어짐과 동시에 [[주먹(둠 시리즈)|주먹]]의 공격력이 '''10배''' 상승한다. 붉게 변한 화면은 시간이 지나면 원래대로 돌아오지만, 효과는 해당 스테이지를 클리어 할 때 까지 계속 지속된다.[* 둠 콜렉터스 에디션의 매뉴얼에는 효과가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일정 시간 후에 사라진다고 적혀 있다]]. 다만 소스를 뜯어봐서 확인할 수 있는 버서크 팩의 지속시간이 [[https://youtu.be/O_PZCgY74z0?t=275|1억 2,271만 3,351초]] = '''1420일 7시간 2분 31초'''에 달하기 때문에 사실상 무한지속이나 마찬가지.] 습득 치트키는 idbeholds이며 입력할 때마다 온오프된다. 평상시의 주먹 공격력은 2~20으로 쓸모가 없지만 버서크 팩을 획득한 스테이지에서는 10배 판정이 되어 20~200의 공격력을 뿜어낸다. 이는 [[로켓 런처(둠 시리즈)|로켓 런처]]의 직격 대미지와 맞먹는 수준으로, 운 좋으면 [[카코데몬]]을 단 두 번의 주먹질로 골로 보낼 수 있는 값이다. 좀비류나 [[임프(둠 시리즈)|임프]] 같은 하급 몬스터는 한 두 번이면 99% 죽는다. 오버킬이 가능한 대미지 값을 가졌기 때문에 [[좀비맨]], [[샷건 가이]], [[헤비 웨폰 듀드]], [[임프(둠 시리즈)|임프]], 슈츠슈타펠에게 펀치를 가할 시 일정 확률로 [[BFG9000|BFG]]나 폭발에 직격당했을 때처럼 육편이 된다. 활용할 때는 초근접 [[슈퍼 샷건]]이라 생각하면 도움이 되며, 원거리 공격이 없고 근접 공격을 할 때도 선딜레이가 있는 [[핑키데몬]]이 가장 좋은 연습 상대가 된다. 숙련이 되면 [[카코데몬]], [[레버넌트(둠 시리즈)|레버넌트]], [[헬 나이트(둠 시리즈)|헬 나이트]], [[바론 오브 헬]] 같은 중·상급 몬스터에게도 펀치를 이용해 치고 빠지는 식으로 공략 할 수도 있다. 다만 [[맨큐버스]]와 [[아라크노트론]]에게는 사이즈에 비해 피격 판정이 턱없이 좁기 때문에 펀치를 가하기 상당히 힘들고, 히트 스캔 판정 유닛인 [[샷건 가이]]와 [[헤비 웨폰 듀드]]에게 무턱대고 근접 펀치를 가했다간 자신도 피해를 볼 수 있다. 전기톱과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근접전 컨셉을 구상한다면 두 가지 무기를 상황에 맞게 바꿔가며 활용할 수 있다. 전기톱은 근접 체인건의 느낌으로 상대의 연속경직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을 때 빛나며, 버서크 주먹은 근접 로켓 런처라는 느낌으로 딜 타임이 너무 짧고 경직확률이 무의미한 적들을 상대로 빛난다. 경직확률이 3%인 아크바일을 상대로 전기톱을 들이대는 사람은 없으며, 연속경직으로 빨리 끊어내야 하는 [[헤비 웨폰 듀드]]나 [[카코데몬]]을 상대로 주먹을 꺼내면 전기톱에 비해 딜링 텀이 벌어지므로 랜덤 대미지 운이 많이 나쁠 경우 손해를 보기 쉽다. [[타이슨]][* [[주먹(둠 시리즈)|주먹]], [[전기톱(둠 시리즈)|전기톱]], [[권총(둠 시리즈)|권총]]만 허용하고 킬 100%를 달성하는 플레이.] 플레이에서는 매우 중요한 아이템. 이걸 획득하냐 획득하지 못하냐가 난이도를 크게 좌우하게 된다. 버서크는 클래식 둠의 파워업 아이템 중 가장 흔하게 등장한다. 둠 2에서 버서크 파워업의 등장 횟수는 총 33번으로, 사실상 거의 모든 레벨에 등장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특히 [[슈퍼 샷건]]이 없는 둠 1(얼티밋 둠)에서는 일반 샷건에 비해 대미지가 우수하고 핑키데몬, 카코데몬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나름 잘 쓰이는 축에 속한다. 버서크 팩 획득시 무장이 강제로 주먹으로 변경되는 점은 맵 제작자의 활용능력과 플레이어의 상황에 따라 양날의 검이 된다. 원거리 난전이 벌어지는 곳에 버서크가 배치된다면 싸우다 실수로 주웠을 때 1초 가량을 무기 바꾸는 데 허비하게 되는 지뢰로서 오명을 뒤집어 쓰기도 하고, 핑키데몬이 튀어나오는 곳에서 버서크를 미리 주울 수 있다면 꽤 적절한 상황 연출 도구로 쓰일 수도 있다. 사용 장려 차원에서 이러한 기능을 심은 것으로 보이나, 일반적으로는 좀 귀찮은 기능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어드밴티지 요소들은 어디까지나 주먹을 꼭 활용하고 싶어하는 경우에 국한되며, 대부분의 게이머들은 버서크 아이템을 [[슈퍼차지]](소울스피어) 다음가는 훌륭한 체력 회복 수단으로 본다. 공격력에만 관여하지 방어력을 올려 주거나 무적으로 만들어 주는 게 아니기 때문. 이 때문에 스피드런 혹은 나이트메어런에서 슈퍼차치 혹은 메가스피어가 없어도 버서크를 획득할 수 있다면 다소 무리를 하면서도 이득을 본 후 버서크를 먹어 잃은 체력을 회복시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버서크 팩을 먹었을 때 화면이 붉어지는 효과는 굉장히 쨍해서 눈 건강에 썩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판인 도스 버전에서는 아예 새빨간 수준이라 환경에 따라 일시적으로 게임 진행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GZDoom, ZDoom, JDoom 등 대다수의 소스 포트에서는 이 점을 감안해 버서크 이펙트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제공한다. 클리어 집계상 획득 아이템 퍼센테이지에 포함되므로 100%를 노린다면 출구로 나가기 전에 챙겨야 한다. == [[둠 3]] == 이름은 버서크로 동일하지만 상당한 변화가 있었는데, 일단 외형이 공중에 떠 있는 투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한번 먹으면 맵 끝까지 쓸 수 있었던 클래식 시리즈와 달리 25초의 시간 제한이 걸렸다. 하지만 시간 제한이 걸린 만큼 그 위력은 명백히 상향되어서 지속 시간동안 적들의 공격으로부터 '''무적'''이 되며, 주먹뿐만 아니라 '''모든 무기에 공격력 강화가 적용'''[* [[퀘이크 시리즈]]의 아이템 중 쿼드 데미지 기능을 합친 것. 이는 [[둠(2016)]]에서 쿼드 데미지가 아예 정식 아이템으로 등장하면서 분리되었다.]된다. 얼마나 강하나 하면 영양실조 [[아크바일]]이든, 근육덩어리 [[헬 나이트(둠 시리즈)|헬 나이트]]든 비계덩어리 [[맨큐버스]]에 이르기까지 어지간한 몹들은 손전등으로 톡 치기만 해도 나가 떨어질 정도. 그래서 버서크 먹고 전기톱을 들면... [[존나좋군|존나 좋군?]] 다만 시간 제한이 있음을 감안해도 공포감 따위는 쌈싸먹는 사기적인 효과 때문인지 고전 둠 시리즈에서처럼 자주 등장하지는 않고 게임상에 두세번만 나오는 정도로 등장 빈도는 매우 낮다. === [[둠 3: 악마의 부활]] === 확장팩인 [[둠 3: 악마의 부활]]에서는 [[아티팩트(둠)|아티팩트]]의 능력 중 하나인 '''지옥의 힘'''(Hell Power)이 버서크의 능력을 계승해서 등장. [[말레딕트]] 휘하의 [[헌터(둠 3)|헌터]]들 중 두번째로 만나게 되는 광폭 헌터(Berserk Hunter)를 쓰러뜨리면 그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레벨 디자인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 스폰되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구간이 제한되었던 이전의 버서크 아이템들과 달리 '''플레이어가 들고다닐 수 있는''' 무기인 아티팩트의 일부가 되었기에 원작에서보다도 더 자주, 임의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둠(2016)]] == || [youtube(4sz6x96s8DY,start=70)] || '''말 그대로 [[둠(코믹스)|찢고 죽인다!]]''' 몇몇 맵에서 적들이 쏟아져 나오는 넓은 공간에 존재한다. 악마의 해골과 같은 생김새에 해골 주변에 붉은 기운이 감싸진 상태에서 둥둥 떠다니는 모습. [[둠 3]]의 버서커와 비슷하게 지속시간이 있다. 습득시 지속 시간이 끝날 때까지 주먹만 사용 가능한 대신 버서커 시전 시간 동안 공격시 상대가 [[임프]]던 [[바론 오브 헬]]이던 상관 없이 주먹에 맞은 적은 모든 적은 즉사하며, 호쾌한 임팩트와 함께 그대로 공중분해시키는 광폭화 전용 글로리 킬 모션도 존재한다. 적의 심장을 잡아 뽑는다던지, '''정수리를 잡고 머리통을 반으로 찢어 몸통까지 가른다던지''', 사커 킥으로 머리통을 분쇄해 버리거나 산 채로 팔다리를 뽑아버린다거나 펀치 한방이면 머리와 몸이 오체분시되며 저 멀리 날아간다던지...기존의 글로리 킬과 전기톱 썰기를 뛰어넘는 엄청난 쾌감, 타격감과 동시에 되려 악마들이 불쌍할 지경의 정신나간 연출과 위력을 보여준다. 버서크 효과의 지속 시간은 전투복 업그레이드를 통해 늘릴 수 있다. 위 영상은 게임 중에서 처음으로 얻을 수 있는 파워업 아이템인데, 여기서는 사방에서 얼쩡거리는 임프들을 쫓아다니며 하나하나 심판(?)을 내려야 하므로 생각만큼 하드코어한 모습은 안 나온다. 그러나 스토리 후반에 접하는 경우에는[* VEGA 센트럴 프로세싱 맵, 마지막 에피소드 첫번째 대규모 전투 맵 등이 대표적이다.] 상급 악마들로 우글거리는 지독한 전장 한가운데에 있으므로, '''그야말로 사방에서 [[바론 오브 헬]]과 [[맨큐버스]], [[레버넌트]] 등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덮치는데, 얘네들을 손에 잡히는 대로 북북 찢어서 던져버리는 듯한 정신나간 살육을 벌일 수 있다.''' 악마들을 때려 죽이거나 찢어 죽인다는 표현도 부족하고 사실상 '''"썩은 [[토마토]]처럼 터뜨린다"''' 고 봐도 될 정도. 거기다 더 무서운 점은, 버서크 상태의 공격이 글로리 킬 판정이기 때문에, '''추적멸살 룬 같은 글로리 킬 강화 룬의 혜택을 받는다!''' ~~[[장비를 정지합니다|아이고 맙소사 악마들은 끝났어]]~~ 당장 추적멸살 룬과 야만성 룬 업그레이드를 마친 뒤 버서크를 먹으면 통상적으로 슈퍼 샷건을 쏘기 시작하는 먼 거리에서 클릭 한 번 했을 뿐인데 [[순간이동]]해서 찢고 죽일 수 있으며, 여기에 글로리 킬 시 이동 속도를 늘려주는 혈액주입 룬까지 업그레이드 해서 쓰면 그야말로 '''[[버서커|광전사]]'''가 된다.[* 인게임에선 룬들을 장착할시 그냥 클릭만 하고 다녀도 [[둠(코믹스)|악마의 앞날이 어두워지는]] 기적을 볼수있다.] 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둠 코믹스에 나왔던 온갖 대사들을 외치며 악마들을 찢고 터트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이너마이트!! 이 X발놈의 악마 새끼들!!-- 워낙 적들을 재빠르게 처치하는데다 대부분의 시간을 글로리 킬 무적 시간으로 보내기 때문에 무적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무적은 아니라서 공격받으면 데미지를 받으므로 주의. 하단 중앙에 지속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보여주기 때문에 괴성을 지르는 소리로만 남은 시간을 파악해야 하던 둠 3보다 쓰기 더 편해졌다. 하지만 여기서는 오남용에 따른 부작용도 확인되었는데, 체력이 강화됨과 동시에 강렬한 공격성과 괴력을 낼 수 있지만 끝끝내 힘에 도취되어 미쳐버리고 공격성을 해소할 다른 대상이 없다면 자해하기도 하며 설령 버서크를 쓰고 난 뒤 매우 드물게 살아남는다 해도 그 후유증으로 착란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지라 바로 [[살처분]]될 정도다. [[DOOM VFR]]에서도 거의 유사한 기능으로 나온다. 이 게임에서 글로리 킬이 텔레포트를 이용해 바로 터뜨려버리는 방식([[텔레프랙]])이라 직접 찢고 죽이는 맛은 못느끼겠지만, 모션이 없다는 점이 나름 장점으로 작용해서 텔레포트 조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면 주변의 적을 빠르게 정리할 수 있다. == [[둠 이터널]] == [youtube(z1SGfatofSY)] 전작과 마찬가지로 지속시간동안 주먹질 밖에 못하지만 무슨 악마건 글로리킬을 즉시 시행할 수 있다.[* 크루시블과는 다르게 방패를 들고 있는 마라우더나 두번 썰어야 하는 둠 헌터도 한 방에 잡힌다.] 전작보다 글로리 킬 종류는 줄었지만 펀치 한 방에 사지가 폭발하듯이 날아가는 등 박력은 더욱 커졌다. 다만 모션이 2~3가지 정도로 확 줄었기 때문에 호쾌함이 덜하고 단조로워졌다. 그리고 일반적인 싱글 플레이 진행에서는 단 한번밖에 등장하지 않는다.[* ARC 구조물 미션에서 등장] 그 외에 미션에서 사용하고 싶으면 치트 코드를 사용할 수 밖에 없고, 그마저도 몇몇 미션은 사용이 제한돼서 다소 아쉬운 부분. == 여담 == [[듀크 뉴켐 시리즈]]에서는 비슷한 포지션의 아이템으로 [[스테로이드]]가 나온다. 기본 공격인 발차기의 위력을 올려주며, 버서크와 달리 체력 회복은 없는 대신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분류:둠 시리즈/아이템]]